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월
일개월
계월
현토
글월
문장
한달
d라이브러리
"
달
"(으)로 총 3,688건 검색되었습니다.
라이트 형제의 인류 최초 동력 비행기
과학동아
l
200312
라이트 형제의 플라이어호는 동력 비행에 기본적으로 필요한 3가지 문제를 해결했다. 인간을 태울 수 있도록 설계됐고, 상당한 무게를 띄울 수 있는 추진시스템을 갖췄으며, 하늘을 날 때 자유로운 ... 등이 있게 된다대뇌반구의 아랫부분(기저부)에 있는 회백질괴(塊) 뇌의 발
달
과 함께 ... ...
4백30년전 애
달
픈 사연 담은 파평윤씨 母子 미라
과학동아
l
200312
경우도 겨울이 시작되는 12월에 사망했다.그 당시 사대부 집안의 풍습에 따랐다면 세
달
정도의 긴 장례 의식을 치뤘을 것이다. 실제로 미라가 걸치고 있던 수의를 보면 단기간에 준비될 수 없는 것들이다. 따라서 사망한 후 염하고 나서 매장할 때까지의 기간이 비교적 길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
2003년 가장 '쿨'한 발명품들
과학동아
l
200312
수륙양용 자동차영국 깁스 아쿠아다사가 개발한 것으로 지상에서는 일반 자동차로
달
리다가 물에 들어갈 때 버튼을 누르면 12초만에 바퀴가 차체 안으로 들어가면서 보트 모양 ... 배터리로 전류를 흘려주면 디스코텍에서처럼 가방이나 옷이 스스로 빛을 낸다.1m당 약 3백
달
러 _ www.luminex ... ...
북쪽하늘 모범생 은하 M33
과학동아
l
200311
아니다. 18일, 하현을 조금 지난
달
이 사자자리의 한가운데에 위치하기 때문이다. 그나마
달
빛이 그리 강하지 않다는 점이 위안이라 하겠다. 해마다 사자자리 유성우를 관측했던 많은 사람들이 올해에도 한번 더 관심을 갖기를 부탁드린다 ... ...
2010년 우주정거장에 한국인 보낸다
과학동아
l
200311
설치하고 본격적인 우주환경의 산업활용에 나설 것이다. 2020년도에 예상되는
달
기지 건설, 2030년대의 유인 화성탐사에도 우주선 개발과 한국 우주인의 동참 등으로 적극적인 참여를 할 것이다.우리나라의 유인우주계획은 무인 위성개발에서 얻어진 기존의 우주기술을 한단계 향상시킬 것이다. 우주 ... ...
로켓개발 용쟁호투
과학동아
l
200311
로켓의 역사는 원래 아시아로부터 시작됐다. 좀더 정확히는 중국이 로켓의 발명국이다. 11세기 중국에서 화전(불화살)에 불과했던 로켓기술은 유럽으 ... 의지는 매우 높다. 아시아의 주요 나라인 우리도 우주로 가야 한다. 지구궤도뿐 아니라
달
과 화성, 그리고 그 너머의 먼 우주로 말이다 ... ...
2003 제2회 닮고 싶고 되고 싶은 과학기술인의 끼끈꾀꿈
과학동아
l
200311
단위에 대한 새로운 정의를 제시한 것이었다. 의존적 생명의 단위인 ‘낱생명’과
달
리 자족적인 생명의 단위로 태양과 지구를 포함하는 ‘온생명’ 개념을 설정했다. 장 교수는 “프리고진의 생명 이론, 노벨물리학상 수상자인 어빈 슈뢰딩거의 생명론 등을 비롯해 동서양사상을 바탕으로 창안한 ... ...
따돌림의 고통
과학동아
l
200311
소뇌(小腦) · 척수 · 후각 · 흑질(黑質) · 해마 등에 많이 존재하는 억제성 신경전
달
물질로 생각되고 있다 아미노산을 생산물로 하는 호기적 발효(好機的醱酵) L-글루타민산 발효가 1956년 일본에서 최초로 발견되어 개발되었고 그 외에 리신발효 · 오르니틴 발효 등이 알려 졌다 아닐린알데히드 ... ...
1 우주로 가는 중국
과학동아
l
200311
위해
달
려있는 태양전지판은 전체가 24m2의 크기로 0.87KW의 발전을 하는데, 소유즈와
달
리 최대한 효율적으로 발전하기 위해 회전이 가능하다. 중심축선상에는 로켓엔진이 있어 회전(Roll)과 도킹을 위한 기동이 가능하다.선저우를 발사한 발사체는 창정(CZ)-2F로서 기존의 CZ-2E를 개량한 것이다. CZ-2F는 ... ...
최초의 나노과학자 돌턴
과학동아
l
200311
이해를 바탕으로 오늘날 나노기술이 어떻게 발전하고 있는지를 소개했는데, 이 강연은 한
달
전에 좌석 예약이 끝날 정도로 큰 관심을 불러 일으켰다. 강연 전날 기자와 만난 크로토 박사는 “물질에 대한 진정한 이해는 구성요소의 구조를 이해하는 데서 비롯된다”며 “현대 나노기술도 원자와 ... ...
이전
210
211
212
213
214
215
216
217
2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