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실
실상
진실
실질
현실
실태
실천
d라이브러리
"
실제
"(으)로 총 6,115건 검색되었습니다.
삼각형 내각의 합은 180°가 아니다?
과학동아
l
2014년 04호
삼각형을 그리면 뚱뚱한 삼각형이 되기 때문에 세 내각의 합은 180°보다 크다.지구는
실제
로는 구에 가까운 타원체지만 구라고 가정한다면, 지구 표면에서 두 지점을 잇는 가장 짧은 선은 직선이 아닌 호다. 가령 서울과 LA 사이의 최단 경로를 평면지도에 그리면 직선이 아니라는 얘기다. 이처럼 ... ...
내 허파에 낀 초미세먼지는 정말 중국산일까
과학동아
l
2014년 04호
연구관의 말대로라면 평상시 우리나라에 떠다니는 미세먼지의 60%는 국내산이다.
실제
우리나라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는 결코 적지 않다. 국립환경과학원에서 대기오염물질 배출량을 분석한 자료를 보면 2010년 11만7000t, 2011년 13만1000t 등으로 매년 증가하는 추세다. 제조업에서 석탄연료 사용이 ... ...
2014 소치 동계올림픽 과학으로 100배 즐기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03호
111.12m로 짧은 쇼트트랙 경기는 직선 구간과 곡선 구간이 절반 정도씩 나눠져 있지만
실제
는 80~90%가 곡선으로 주행하는 구간이랍니다. 직선이 없다고 봐도 무방하대요. 아! 지금 선수들이 출발선에 섰네요. 씽씽 달려라~! ● 가장 낯선 종목 1낯선 동계올림픽 종목들 썰매 3종과 컬링하얀 눈이 세상을 ... ...
수학교과서에 오류 있다?!
수학동아
l
2014년 03호
신전의 측정결과를 이용해 정면과 옆면의 길이 비를 구해 보면 황금비가 나오지 않는다.
실제
로 박 교수는 뉴욕대 미술사학과 마빈 트라첸버그 교수와 이자벨라 하이만 교수가 저서 에서 제시한 파르테논 신전의 측정결과를 이용해 계산해 보았다. 뉴욕대 교수팀이 제시한 신전의 폭은 1215.7 ... ...
BRIDGE. 경주 방폐장 부지, 과연 ‘안녕’한가?
과학동아
l
2014년 03호
통해 동굴의 구조적 안정성 확보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고 평가돼 있다.그렇지만
실제
부지조사 보고서에서는 4개 시추공의 평균 RQD값이 21~31%의 낮은 값을 보이고 있다. 부지선정위원회는 어떤 이유에서인지 부지조사보고서에서 불량한 기반암이라고 나온 결과를 가지고 틀린 숫자까지 ... ...
발모제 먹어도 성욕 감퇴 없다
과학동아
l
2014년 03호
꽤 있다.이런 현상은 왜 일어나는 걸까. 전문가들은 약이 해롭다는 믿음으로 인해
실제
안 좋은 효과가 발생하는 ‘노시보 효과’ 때문이라고 말한다. 노시보 효과는 약효가 전혀 없는 가짜 약이라도 진짜 약인 줄 알고 먹으면 심리적 효과 때문에 병세가 호전되는 ‘플라세보 효과’의 반대말이다 ... ...
서울대 가서 망했다?
과학동아
l
2014년 03호
골리앗이 다윗을 이기기 위해서는 말을 타고 기마병이 됐어야 했다. 역사에 나타난
실제
전투는 어땠을까. 10배 이상 강한 나라와 약한 나라가 전쟁한 사례를 모아봤다. 강한 나라의 승률이 100% 아니겠냐고? 그랬으면 책이 안 나왔을 게다. 약소국의 승률은 의외로 28.5%나 됐다. 약한 나라가 게릴라전 ... ...
가속기가 지구 멸망 시키나?
과학동아
l
2014년 03호
한다”고 주장했다.설계 당시 ‘릭’의 최대 에너지는 100기가전자볼트(GeV). 하지만
실제
로는 이보다 낮은 에너지에서 입자를 충돌시켰고, 올해는 7.3GeV 수준의 충돌실험도 계획돼 있다.이들은 ‘릭’ 운영 직전인 1999년 안정성 평가 보고서를 근거로 “100GeV보다 낮은 에너지에서 실험할 때 오히려 더 ... ...
가창오리의 억울한 죽음
과학동아
l
2014년 03호
높다는 점이다. 지난 2003년부터 살처분이 이뤄진 농장의 수는 모두 2793곳인데, 이 중 AI가
실제
발생한 곳은 129곳에 불과하다. 95% 이상이 예방적 살처분 농장이란 말이다. 조류 입장에서는 억울한 죽음이다.세계동물보건기구(OIE)는 AI가 발생했을 때 해당 농가의 조류만을 살처분하고, 3km 범위 안에 ... ...
PART3. '알도둑' 오비랍토르의 누명을 벗기다
과학동아
l
2014년 03호
함께 뭉쳐진 덩어리로 나왔는데 우리는 이 속에서 갈리미무스의 발톱을 확인했다! 이는
실제
타르보사우루스가 갈리미무스를 먹었다는 것을 처음으로 보여준 발견이었다. 타르보사우루스는 크기 12~14m로 아시아에서 발견된 육식공룡 중에서 가장 크다. 크기 4~5m인 갈리미무스는 ‘닭 닮은 ... ...
이전
210
211
212
213
214
215
216
217
2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