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용
사용
응용
굴절
적용
끝바꿈
어미변화
d라이브러리
"
활용
"(으)로 총 7,067건 검색되었습니다.
[Career] ‘하버드 공대 공부벌레들’과의 2주일
과학동아
l
2018년 08호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포토리소그래피(사진을 찍는 것처럼 회로선을 만드는 기법)를
활용
해 전극도 형성했다. 이때 빛 반사율을 최소로 줄여 전자와 정공을 효율적으로 잡을 수 있도록 전극을 설계해야 하는데, 이 과정 역시 학생들의 몫이었다.서 교수는 “전문가들이 태양전지를 만들 때는 ... ...
[Issue] 난민에 관한 과학적 팩트 4
과학동아
l
2018년 08호
새로운 난민이 유입될 경우 A의 거주 지역으로 배정하라고 권유한다. 연구진은 이 기술을
활용
해 난민의 취업률을 최대 70%까지 올릴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연구진은 2011~2016년 미국에 들어온 18~64세 난민 3만 명의 통계자료를 분석했다. 이후 2016년 말 난민 신청자를 대상으로 이 알고리즘을 ... ...
[서울대 공대] 원자핵공학과, 미래 에너지 개발 주역 꿈꾼다
과학동아
l
2018년 08호
위해 필요한 요소지만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등 산업계의 다양한 분야에서도
활용
된다. 한국의 핵융합 연구 수준은 세계적으로도 인정받고 있다. 국가핵융합연구소에 2007년 건설된 초전도핵융합연구장치 ‘K스타(KSTAR)’는 2016년 수천 도의 플라스마를 70초간 유지해 세계 최장 운전 기록을 세우기도 ... ...
Part 5. 수학으로 새 옷 입은 초고층건물
수학동아
l
2018년 07호
증가하면서 묘지를 만들 공간이 부족해지고 있다. 오른쪽은 초고층건물의 공간
활용
성을 이용해 이를 해결할 수 있다는 아이디어로 만든 수직 묘지다. 소중한 사람들을 안락하게 보살필 수 있는 미래의 묘지 형태가 될 수도 있지 않을까?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수학으로 쌓아올린 ... ...
[과학뉴스] 사소한 차이까지 포착하는 암 진단 센서
과학동아
l
2018년 07호
사소한 오류까지 확인할 수 있는 초정밀 암 진단 센서가 개발됐다. 이태걸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책임연구원팀은 염기서열 한 개 차이까지 구별 ... 진단뿐 아니라 miRNA의 양을 추적해 약물 투여 전과 후의 치료 효과를 분석하는 센서로도
활용
할 수 있다”고 말했다. doi:10.1016/j.bios.2018.04.03 ... ...
Part 2. 알고리즘이 만든 가상 생태계
과학동아
l
2018년 07호
곳으로 가면 된다.그는 사실적인 동물계를 구현하기 위해 동물생태학과 행동학 이론도
활용
했다. 예를 들면 트리케라톱스 무리에서는 부모 너댓 마리와 새끼 두세마리가 다니도록 했다. 또 사냥을 하거나 천적을 피할 때는 개별적으로 움직이지만 먹이를 찾아 이동할 때는 무리지어 다니도록 ... ...
[Issue] 빅데이터 하나로 미래 도시 탈바꿈
과학동아
l
2018년 07호
데이터의 90%는 지난 2년간 축적된 것이다. 이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수집하고, 처리하고,
활용
하기 위해서 인공지능(AI), 블록체인, 사물인터넷(IoT) 기술이 발전하게 된 만큼 데이터 대국이 미래를 선도할 것으로 보인다.신기술에는 항상 부작용이 따른다. 빅데이터 산업은 사생활 침해 우려 등으로 ... ...
[수학공작실] 빨대로 만드는 정사면체 복합체
수학동아
l
2018년 07호
5개가 복잡하게 얽힌 모습은 사람들을 매혹시켰습니다. 수많은 종이접기 전문가가 이를
활용
한 작품을 선보였고, 지금은 교구나 목재로 이를 재현한 작품도 볼 수 있습니다. 정사면체-5개-복합체는 복잡하기 때문에 만들기가 정말 어렵습니다. 많은 사람이 3개 째의 정사면체를 결합할 때 ... ...
과학동아 대중 과학강연 ‘2018 사이언스 바캉스’
과학동아
l
2018년 07호
결국 세균과 바이러스의 전쟁에서 나온 진화적 산물”이라며 “이를 인류가 유전공학에
활용
하고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강연 예고: 김 교수는 “수만 년에 걸친 인류의 역사에서 유전정보 전체가 단 한 번의 단절도 없이 대물림됐다”며 “이런 엄청난 일이 어떻게 가능했는지 강연에서 설명할 ... ...
Part 3. 1인칭 슈팅게임의 생명 밸런스 디자인
과학동아
l
2018년 07호
실감나고 스릴 있다.그래서 개발자들은 인간의 본능과 심리에 대한 이론을 게임 개발에
활용
한다. 김 디자이너는 FPS에 인간의 본능과 심리를 더하기 위해 미국 실험심리학자 아서 멜톤의 ‘미술관 전시의 문제(Problems of Installation in Museums of Art)’, 미국 환경심리학자 파코 언더힐의 ‘쇼핑의 과학’ ... ...
이전
210
211
212
213
214
215
216
217
2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