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내포
후미
뉴스
"
작은 만
"(으)로 총 2,446건 검색되었습니다.
[신나는 공부]산책하고 TV보며 수학실력 UP
동아일보
l
2015.08.25
제곱미터(m²)를 비롯해 100m²를 뜻하는 1아르(a), 1
만
m²를 뜻하는 1헥타르(ha) 등 넓이의 단위를 배운다. ... 타면서 “같은 속도로 페달을 밟는데 왜
작은
바퀴를 가진 자전거는 더 느리게 달릴까? 원의 ... 쉽게 접근할 수 있다. “저 요리엔 간장을 얼
만
큼 넣어야할까?” 6학년 2학기 때는 △비례식과 ... ...
식중독 일으키는 노로바이러스, 공기 타고 감염?
2015.08.20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연무질이란 지름이 1㎛(마이크로미터·100
만
분의 1m) 이하의 눈에 보이지 않는
작은
물방울로 장시간 공기 중에 머무를 수 있다. 6월 한국을 강타한 메르스(MERS·중동호흡기증후군) 또한 연무질 감염 가능성을 두고 논란이 된 바 있다. 리안 제이커스 미국 ... ...
곡물과 석유가 드나드는 미시시피 강
2015.08.16
타고 미시시피 강을 내려갔다고 했다. 하지
만
지난 달 20일 미국 뉴올리언스 주에서 미시시피 ... 아무래도 불가능할 것 같았다. 실제로
작은
배를 타고 미시시피 강에 올랐다. 보이는 것
만
큼 거친 물살에 배가 일렁였다. 강에서 허클베리 핀의 뗏목 대신 긴 기차 배를 자주
만
날 수 있었다. 기차 ... ...
얼음이
만
들어지는 시간 = 백
만
분의 1초!
2015.08.10
핵’을 형성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불과 '백
만
분의 1초’에 불과한 찰나의 순간이라는 것을 알아냈다고 3일 밝혔다. 구름 속의 얼음은 처음엔
작은
알갱이에 불과하지
만
주변 수증기가 붙어 더 큰 덩어리를 형성해 무거워지면 비나 눈이 돼 내린다. 온도가 떨어지면 주변 물분자들은 서로 뭉쳐
작은
... ...
달 뒷면과 지구, 첫 동시 촬영
동아일보
l
2015.08.07
동아일보] 심(深)우주기상관측위성(DSCOVR)이 달 뒷면(앞의
작은
원형)을 촬영했다. 달의 뒷면은 앞면보다 분화구와 돌로 된 산맥이 더 ... 5일 미국항공우주국(NASA)에 따르면 올해 2월 발사돼 지구로부터 약 160
만
km 지점에 자리 잡은 이 위성은 지난달 16일 지구(큰 원형)를 배경으로 달 뒷면 사진을 ... ...
머리 겔
만
과 펜타쿼크
2015.07.27
같은 학교에 있으면서 서로 으르렁거렸다. 겔
만
은 동료 물리학자들도 그 과정을 이해하지 못할 ... 펜타쿼크 모형. 중입자(커다란 공) 내부에 쿼크(
작은
공) 다섯 개가 들어 있고 각각은 글루온(흰색 선)으로 묶여있다. - CERN 제공 1961년 겔
만
이 이스라엘의 물리학자 유발 네
만
과 함께 제안한 팔중도 ... ...
‘독한 놈들’ 인공 세포막으로 확인한다
2015.07.21
판단할 수 있어 주목받고 있다. 우리 몸의 세포는 머리카락 두께의 약 2
만
분의 1수준인 얇은 세포막으로 둘러싸여 있다. 이 세포막을 통해 10조 개 ... 하는 요소다. 연구팀은 인공세포막에 있는 10억 분의 1m 크기의 아주
작은
구멍인 ‘이온통로’에 흐르는 전류를 포착해 물질이 세포막을 ... ...
노바티스 연구성과 발표 현장 가보니
동아일보
l
2015.07.20
국경을 마주하는 스위스 서부도시 바젤. 인구 20
만
명 규모의
작은
도시지
만
1년 중 보름 정도는 전 세계에서 취재진과 방문객으로 북적댄다. 세계 최대 규모의 보석·시계 박람회(바젤월드)와 국제아트페어(아트바젤)가 열리기 때문. 지난해부터는 취재진들이 바젤을 찾는 이유가 하나 더 늘었다. ... ...
“저는 잘 살아 있답니다”…명왕성
만
난 ‘뉴호라이즌’ 지상에 첫 교신
2015.07.15
탐사선의 온도와 각종 시스템은 모두 정상 작동 중이었다. 명왕성에 1
만
2500㎞까지 다가가는 데 성공한 뉴호라이즌과 교신이 이루어진 뒤 오바마 ... 명왕성 접근 성공을 축하하면서 “수십 억 ㎞ 떨어진 우주에서 이
작은
탐사선이 보내오는 비밀들은 우리 태양계가 어떻게 형성됐는지 알려 줄 ... ...
[명왕성 첫 탐사] 인류, 9년 6개월
만
에 드디어 명왕성과
만
났다
2015.07.15
지름 100㎞ 이상인 상대적으로 큰 천체
만
관측할 수 있는
만
큼 추리를 비롯해 그보다 지름이
작은
혜성들이 카이퍼 벨트에서 왔는지 확인할 수 있다. 최 연구원은 “카이퍼 벨트를 구체적으로 알게 되면 지구를 비롯한 태양계 전체 역사를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 ...
이전
210
211
212
213
214
215
216
217
2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