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견문
학문
학식
식견
지성
소양
인식
뉴스
"
지식
"(으)로 총 2,663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자 12명, 음악밴드 만들어 ‘엔트로피 사랑’을 노래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6.02.11
그러나 과학의 시작은 신기한 것을 찾은 아이의 호기심과 천진함이다. 호기심을
지식
과 지혜로 바꾸려는 열정은 과학자가 누구보다 뜨거운 가슴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엔트로피 사랑’은 그런 과학자들의 사랑과 열정을 담은 노래다. 빅뱅 이후 단 한 번도 줄어들지 않는 ... ...
연기 잡으러 베트남 간 한국 대학생들
2016.02.05
“이공계 대학생들이 현지 환경을 조사하고 이에 적합한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전공
지식
을 활용했다는 점에서 보람이 클 것”고 말했다. 적정 기술의 최종 목표는 주민 스스로가 이 기술을 활용하고 지속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다. 현재 블루 콘 스모커 가격은 현지 돈으로 60만 동(약 3만3000원). ... ...
인공지능 로봇,
지식
경연대회 출연한다
동아일보
l
2016.02.03
빅데이터에서 스스로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해 질문에 답할 수 있는 ‘아담(ADAM)’을
지식
경연 대회에 출연시키기로 했다고 1일 밝혔다. 국내에서 처음 선보이는 인간과 로봇의 퀴즈 대결이다. 장막 뒤에서 문제를 풀고 시청자들은 누가 AI인지 맞히는 이벤트도 계획하고 있다. 아담은 2013년 5월부터 ... ...
인공지능 로봇, 장학퀴즈 나온다
동아일보
l
2016.02.02
동아일보] 책 50만권-2억개
지식
습득… 인간이 2000년 걸리는 학습, 사흘만에 끝내 올여름쯤 EBS ‘장학퀴즈’에서 고교생뿐만 아니라 인공지능(AI) 로봇도 볼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스스로 생각하고 행동하는 AI 로봇이 공상과학영화속에서만 존재하는 게 아니라 일상생활 속으로 깊숙이 파고들고 ... ...
[신나는 공부]게임처럼 즐기는 사이 과학상식 ‘레벨업’
동아일보
l
2016.02.02
특히 등급별로 제공되는 콘텐츠의 수준도 단계화해 자신의 등급이 올라감에 따라 과학
지식
에 대한 성장이 이뤄지는 것을 실감하도록 구성했다. 예를 들어 ‘과학비기너’ 등급인 사용자가 해당 단계에서 제공하는 게임 콘텐츠인 ‘돌판에 고기를 구우면 더 맛있는 이유는 뭘까’를 플레이하면서 ... ...
산사태 피하고 조난자를 구하라…미래 로봇 공학자들의 경연
2016.02.01
장착한 로봇 컨트롤러를 이용해 로봇을 설계하고 제작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공학적
지식
을 활용했다. 2개 팀이 하나의 동맹을 이루는 만큼 팀워크뿐만 아니라 타 팀과의 협력도 중요하다. 이날 출전한 팀 가운데 유일하게 여학생으로 이뤄진 라온제나팀을 몰리 개빈 퀄컴 부사장이 응원하고 있다. - ... ...
미적분 최초 개발자는 고대 바빌로니아인이다!
2016.01.31
사이언스 제공 “목성이 떠오른다(Jupiter Rising)” 이번 주 ‘사이언스’는 위 문구와 함께 별빛이 쏟아지는 밤하늘 아래 위치한 점토판의 모습을 표 ... “망원경이 만들어지기도 전에 속도가 바뀌는 천체의 움직임을 계산한 바빌로니아인의
지식
수준은 경이로운 수준”이라고 말했다. ... ...
‘인공지능의 선구자’ 마빈 민스키, 그는 누구인가
2016.01.27
이론인 ‘지적 활동의 프레임워크(A Framework for Representing Knowledge)’다. 이는 인간의
지식
을 프레임이라는 데이터 구조로 표현하고 언어 이해, 패턴 인식, 문제 해결 등과 같은 지적 활동을 외부로부터 입력된 데이터와 내부 프레임의 상호작용으로 보는 연구 방식이다. 심리학에서 주로 사용되던 연구 ... ...
고체 물리 한 분야에 일생 걸었던 외곬수 과학자
2016.01.21
스스로 얼마나 자랑스럽겠어요. 하지만 과학의 세계가 너무나 깊고 넓다 보니 경험과
지식
에서 부족할 때가 많아요. 더 정진하면 좋은 과학자가 될 수 있는데 안주하는 모습도 보이고요.” 그는 “아직도 고체물리학에 대해 잘 모르겠다”면서 “나이 50이 되니 겨우 학문의 길이 보이는 것 같으니 ... ...
[김희균 기자의 교육&공감]대학 개편도 좋지만 근시안은 더 위험
동아일보
l
2016.01.18
고부가가치인 해양 플랜트로 중국의 추격을 따돌릴 수 있을 거라 예측했고, 4년 전
지식
경제부는 2011년 1400억 달러 규모인 세계 해양 플랜트 시장이 2030년 5000억 달러 규모로 팽창할 것이라는 장밋빛 전망을 내놓았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해양 플랜트 수주 실적은 2012년 218억 달러로 정점을 찍은 뒤 201 ... ...
이전
210
211
212
213
214
215
216
217
2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