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생물"(으)로 총 6,615건 검색되었습니다.
- 알고 나면 깜짝 놀랄걸? 아주 사소한 과학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1호
- 나는 모습을 연구한 사람이 있어요. 바로 미국 캘리포니아공과대학교 생물학 및 생물공학과의 마이클 디킨슨 교수예요. 디킨슨 교수 연구팀은 원통 모양의 실험 상자 안에 초파리 40~50마리를 넣었어요. 그리고 원통의 가운데에서 두 개의 빛이 교차하도록 레이저빔을 설치한 다음, 초파리가 그 ... ...
- [PART 1] 화석이 알려주는 인류의 진화수학동아 l2015년 11호
- 비교해 8분의 1( 1/23)밖에 되지 않는다면, 이 화석은 5700년의 3배인 1만 7100년 전에 살았던 생물이라 추정할 수 있다. 유인원보다는 사람에 가까운 ‘호모 날레디’버거 박사팀은 디날레디 동굴에서 발견한 뼈화석을 맞추기 시작했다. 뼈화석 중에는 발처럼 거의 대부분 보존된 부위도 있었지만, ... ...
- PART2. 파브르가 사랑한 곤충, 그리고 우리 곤충과학동아 l2015년 10호
- 함께 읽어야 한다.프랑스와 우리나라는 생물의 지리학적 분포에 따라 나눈 지역 구분인 생물지리구(生物地理區)에서 모두 구북구(舊北區, Palearctic)에 포함돼 있다. 그러나 프랑스와 우리나라는 생태환경이 달라서 곤충상이 다르다. 파브르가 관심을 가졌던 신비로운 곤충 중에는 우리나라에 ... ...
- [흔들리는 인류기원] Part2. 콜럼버스가 신대륙에서 만난 원주민의 기원은?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사실 나는 대부분의 시간을 컴퓨터 앞에서 보낸다. 이 분야에서 수학은 필수다. 나는 생물학을 공부했지만, 이 분야에서는 통계와 수학에 익숙해지는 게 ‘매우매우(extremely)’ 중요하다.아메리카인의 기원에 대한 논란이 유독 시끄러운 것 같다. 특별히 신대륙인의 기원이 논란이 되는 이유는 ... ...
- 신나는 지사탐 활동 시작!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중요한 점이 뭔지 확실히 알게 됐어요. 바로 자발성과 즐거움! 지사탐 활동은 스스로 생물을 탐사하고 자연의 소중함을 느끼는 과정이랍니다.앞으로 귀화식물, 꿀벌, 매미, 귀뚜라미 현장교육이 차례로 이어질 예정이에요. 전국 방방곡곡에서 지사탐의 활발한 탐사 소식이 들려오길 함께 기대해 ... ...
- PART3. 나는 한국의 파브르입니다.과학동아 l2015년 10호
- 또 있느냐”고 묻자, “전 아무것도 아니에요”라는 답이 나왔다. 건혁 학생이 속한 ‘생물자원연구회’는 그와 비슷한 아마추어 연구가 100여 명이 모여 있는 온라인 카페다. 고등학생 신분이라 자유롭게 움직이진 못하지만, 종종 함께 곤충채집을 다니고 정보를 교류한다. 2013년 초엔 운영진들끼리 ... ...
- [Life & Tech] 우리는 왜 ‘언프리티랩스타’에 열광하는가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안전하다는 감정을 신뢰감으로 이어지게 한다”고 밝혔다.여기서 언급한 동조 현상은 생물학 용어로 내부와 외부의 리듬이 서로 맞춰지는 현상을 말한다. 우리 몸에는 일정한 리듬이 있다. 심장이 뛰고 숨을 쉬며, 일132정하게 걷는 모든 동작이 고유한 박자를 가진다. 이를 타임키퍼(time keeper)라 ... ...
- 세포들의 사회 들여다보는 융합 연구의 대가과학동아 l2015년 10호
- 분자 등 다양한 대상을 연구하고 있다.폭넓은 분야를 모두 아우를 수 있는 비결은 화학과 생물학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로 연구진을 구성했기 때문이다. 세포가 물질을 적재적소로 운반하는 원리를 밝힌 것도 ‘레비 워크’라는 수학 개념을 알고 있는 연구원 덕분이었다.레비 워크는 프랑스 ... ...
- [수학뉴스] 먹이 사슬을 한눈에 보다수학동아 l2015년 10호
- 교수는 “지금까지 수많은 전문가가 수학방정식을 이용해 먹이 사슬 관계를 연구했지만, 생물마다 적용해야 하는 모형이 다르다는 한계가 있었다”고말했습니다. 이번 모형은 생태계에서 보편적으로 받아들여지는 성질과 포식자 전략의 관련성을 수학적으로 밝혀 성공적으로 일반화했다는 의의가 ... ...
- 논문에서… 내 이름이 사라졌다과학동아 l2015년 10호
- 꾸준히 듣는다.마지막 원인은 한국사회에 뿌리 깊게 박힌 교수와 학생의 갑을 관계다. 생물학 연구자 D는 “일상생활에서 갑과 을인데, 논문 쓸 때도 그 관계가 이어진다”며 “연구를 계속하려면 교수의 추천서도 엄청 중요하다”고 했다. 또 “교수와 대립하면 연구실을 떠나야 하는데, 그러면 ... ...
이전2112122132142152162172182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