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대학원"(으)로 총 3,256건 검색되었습니다.
- KAIST 빛낸 연구성과에 신개념 양자컴퓨터·투명 터치센서 선정동아사이언스 l2019.04.17
- 김대수 교수·생명과학과) △뇌종양의 원인 규명과 새로운 치료법 (이정호 교수·의과학대학원)이 우수 연구성과로 선정됐다. 공학 분야에서는 △시공간 경계를 이용한 빛의 선형 주파수 변환 기술(민범기 교수·기계공학과) △투명 유연 포스 터치 센서(윤준보 교수·전기및전자공학부) △반도체 ... ...
- 심뇌혈관 질환 예방하려면 단 음식에 ‘꼬리표’ 붙여야동아사이언스 l2019.04.17
- 달아야 한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레나타 미샤 미국 터프츠대 프리드먼 영양학·정책대학원 교수와 마틴 오플레어티 영국 리버풀대 역학과 교수 공동 연구팀은 음식에 설탕이 얼마나 들어갔는지만 알려도 20년간 약 100만 명의 건강을 지킬 수 있다는 분석 결과를 미국심장학회가 펴내는 ... ...
- 스마트폰 위치 찾기 오차 30m이내로 줄어든다동아사이언스 l2019.04.16
- 정확도로 스마트폰 위치를 측정하는 기술이 개발됐다. KAIST는 공승현 조천식녹색교통대학원 교수 연구팀이 LTE 신호만으로 정밀하게 스마트폰 위치를 찾아내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16일 밝혔다. 연구팀은 KT와 협력해 기술 상용화를 추진중이다. 한국은 이동통신 기지국과 중계기가 도심에서 ... ...
- "케미포비아 줄이겠다" 화학 대중화 선언한 김성수 화학연 원장 …동아사이언스 l2019.04.16
- 화학 대중화 사업은 크게 캠페인과 콘텐츠 행사로 나뉜다. 초중고생, 전공 학부생·대학원생, 일반 국민을 대상으로 인식 조사를 진행하고 부정적인 인식을 개선하는 프로그램을 진행할 계획이다. 캠페인은 화학대중화 캐치프레이즈 공모전, 기획기사 및 광고, 주기율표의 해 기념 온라인 이벤트 ... ...
- "한국 AI대학원 성공하려면 로봇공학 함께 해야"동아사이언스 l2019.04.16
- “교육과 연구 역시 어느 쪽도 치우침 없이 절반씩 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AI 대학원이 발전할 방법은 달리 없다”며 “아이디어, 사람, (금전적) 자원을 확충하는 방법뿐”을 강조했다. 그는 특히 사람과 자원이 중요하다고 꼽았다. 어떤 조직도 혼자서는 운영할 수 없다는 게 이유였다 ... ...
- 블랙홀 사진 탄생 주역 20代 여성과학자, 업적 놓고 설왕설래동아사이언스 l2019.04.15
- 정보를 수집해 컴퓨터로 처리한 다음 사람이 보기 쉬운 영상 형태로 바꾼다. 보우먼은 대학원생이던 2016년 공개 강연인 테드(TED)에 나와 이번 블랙홀 관측에 사용된 전파망원경 네트워크인 '사건의 지평선 망원경(EHT)'을 소개했다. 이번에 관측된 블랙홀은 5500만광년 떨어져 있는 M87은하에 있는데 ... ...
- 삼성전자 고문 정칠희 씨 등 산학연 전문가 참여 ‘2045 미래전략위’ 출범동아사이언스 l2019.04.12
- 물리학과 교수 ▲언론/과학기술정책 김소영 한국과학기술원(KAIST) 과학기술정책대학원 교수 손병호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부원장 곽수진 더쉐이크 크리에이티브 대표 이석봉 대덕넷 ... ...
- UST 졸업생, 포브스 선정 아시아 영향력 있는 젊은 리더동아사이언스 l2019.04.11
- 019 아시아의 영향력 있는 30세 이하 리더 30인에 선정된 김영진 테솔로 대표.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UST) 졸업생인 김영진 테솔로 대표가 미국 경제 전문지 포브스가 선정한 '2019 아시아의 영향력 있는 30세 이하 리더 30인 : 제조&에너지 산업 부문'에 이름을 올렸다. 포브스는 해마다 아시아, ... ...
- [블랙홀 첫 관측]천문연·서울대·연세대 등 국내 연구자 8명도 참여동아사이언스 l2019.04.10
- 연구팀도 인류 최초의 사건의 지평선 관측에 참여했다. 한국천문연구원,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서울대, 연세대 소속 한국 연구자 8명이 동아시아관측소(EAO) 산하 제임스 클러크 맥스웰 망원경(JCMT)과 아타카마 밀리미터 서브밀리미터 전파간섭계(ALMA)의 협력 구성원으로서 EHT 프로젝트에 ... ...
- [이강운의 곤충記]날개를 달고 어딘들 가지 못할까마는…2019.04.10
- Fragmented Landscapes.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 필자소개 이강운 곤충학자 서울대 대학원을 졸업했다. 현재 홀로세생태보존연구소장, 서식지외보전기관협회장이며 국립인천대 매개곤충 융복합센터 학술연구 교수를 맡고 있다. 과학동아에 ‘애벌레의 비밀’을 연재했다. 2015년 《한국의 ... ...
이전2112122132142152162172182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