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겉
외면
외부
바깥
얼굴
낯
밖
뉴스
"
표면
"(으)로 총 4,101건 검색되었습니다.
체중 늘리고 궤도 바꾼 한국 첫 달탐사선 사업 어떻게 진행되고 있나
동아사이언스
l
2020.04.20
궤도 수정이 이뤄졌다. 하지만 지난해 11월 변수가 생겼다. 한국의 달 궤도선에 달
표면
영상을 촬영하는 '섀도캠'을 탑재할 예정인 미국 항공우주국(NASA)이 변경된 타원 궤도에 '제동'을 걸었다. 2024년으로 예정된 미국 유인 달 탐사선 착륙에 필요한 데이터를 섀도캠을 통해 수집할 예정인 ... ...
달 뒷면에 천문대 세운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4.20
0년 넘게 시도한 달 탐사는 모두 달 앞면에서 이뤄졌다. 위투는 달 뒷면
표면
에 인류 최초의 발자국을 남겼다. 이런 달 뒷면에 거대한 전파망원경을 짓고 인류가 그간 보지 못했던 우주신호를 찾는 임무가 본격적인 출범을 앞두고 있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은 이달 초 달 뒷면에 있는 충돌구 ... ...
"신종 코로나 '사이토카인 폭풍' 막는 인공 단백질 개발"
연합뉴스
l
2020.04.17
아미노산을 비슷한 구조의 친수성 아미노산으로 대체하는 QTY 코드를 개발했다. 세포
표면
단백질의 소수 영역(hydrophobic region)을 수용성으로 변하게 조작한 것이다. 여기에다 'FC 리전(FC region)'이라는 항체 조각도 붙였다. 수용체 단백질이 혈류를 타고 도는 동안 더 안정적인 구조를 유지하게 ... ...
코로나19 일으키는 바이러스는 어떻게 증식할까...게놈 총정리
동아사이언스
l
2020.04.17
단백질 E, M, N 3개의 단백질은 모두 바이러스 안팎의 몸체를 구성한다. M은 바이러스
표면
을 이루는 막 단백질이다. E는 바이러스 외피 단백질이다. N은 RNA를 둘러싸는 일종의 보호물질인 뉴클레오캡시드 단백질이다. RdRp가 만든 복제 RNA는 이들 단백질과 결합하거나 안에 담긴 뒤에야 비로소 하나의 ... ...
물 잘 빨아들이는 고분자 코팅해 전기분해 효율 5배 높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4.16
수전해 방식의 단점을 해소했다”고 말했다. 이 교수는 “젤 코팅을 이용해 다양한 고체
표면
에 기체를 밀어내는 성질을 구현한 첫 연구로 수전해뿐 아니라 이산화탄소 자원화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가능하다”고 말했다. 전다솜 UNIST 박사과정생과 박진우 석박통합과정생이 공동 1저자로 참여한 ... ...
태양계 첫 성간 천체 '오우무아무아'는 별에 찢긴 천체 파편
연합뉴스
l
2020.04.14
코마를 보이지 않으면서도 혜성처럼 태양을 돌아나갈 때 가속 현상을 보인 것과 관련,
표면
의 휘발성 물질은 모두 날아갔지만, 지하 깊숙이 박힌 얼음은 승화하지 않고 남아 있다가 태양을 돌아나갈 때 증발해 비중력 가속 현상을 유발하게 된 것으로 설명했다. 연구팀은 오우무아무아가 떨어져 ... ...
"사람 몰리는 오전 9~11시 피하세요" 4.15총선 투표 안전하게 하는 법
동아사이언스
l
2020.04.14
9 바이러스가 지폐나 유리와 같은
표면
에서는 4일, 플라스틱이나 스테인리스스틸과 같은
표면
에서는 4~7일간 생존했다는 연구결과가 나와있기 때문이다. 일회용 장갑을 낀 손이든 벗은 손이든 얼굴과 마스크를 만져서는 안된다. 투표소에 사람이 몰리는 시간을 파악해 그 시간대를 피하는 것도 ... ...
"국산 당뇨 합병증용 신약후보물질 코로나19 억제 효과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20.04.14
클로로퀸이나 하이드록시클로로퀸은 바이러스가 인체세포에 감염될 때 인체세포
표면
의 표적 단백질(ACE2)에 붙는 과정을 방해한다. 칼레트라(로피나비르-리토나비르 복합제)는 단백질 분해효소를 방해해 바이러스가 필요한 단백질을 이용하지 못하게 방해한다. 압타바이오는 국내에 코로나19 ... ...
RNA 첨가한 메르스 바이러스 백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0.04.14
첨가해 RNA가 면역력을 높여주는 시간을 1시간 30분으로 늘렸다. 금 단장은 “RNA의
표면
은 음이온이 있는데 여기에 양이온인 아연 금속을 둘러싸 붙이면 RNA 구조가 몸 속에서 오래 버티게 된다”고 말했다. 이번에 개발된 메르스 백신 플랫폼은 쥐에서는 한 차례 접종만으로 치사량의 메르스 ... ...
"신종 코로나 감염 수용체, 흡연자가 훨씬 더 많다"
연합뉴스
l
2020.04.13
면역력만 떨어지는 게 아니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가 폐에 침투할 때 결합하는 세포
표면
수용체가 일반인보다 훨씬 더 많은 것으로 확인됐다. 이 ACE2 수용체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가 폐 세포에 들어가 감염을 일으키기 위해 반드시 통과해야 하는 일종의 '관문'과 같다. 신종 ... ...
이전
211
212
213
214
215
216
217
218
2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