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간
사람
세상
중생계
인간세계
세계
지구
d라이브러리
"
인류
"(으)로 총 3,312건 검색되었습니다.
② 소호위성이 밝혀낸 태양의 새모습
과학동아
l
199807
미치는 나쁜 영향을 예측하고 대비하려는 것이다. 앞으로의 태양 연구는 지구에 사는
인류
가 얼마나 안전하게 살아갈 수 있느냐를 판단하기 위한 수단으로 방향이 잡혀갈 것이다. 이런 연구를 '우주 환경 예보'라고 부른다 ... ...
⑤ 태양은 우리에게 무엇인가
과학동아
l
199807
존재였다. 모 든 힘과 완전성의 상징이었다. 세계의 모든 신화에는 반드시 태양신이 있다.
인류
공통의 태양신화이규보의 '동국이상국집'의 동명왕 신화에서 우리나라 태양신화의 원형을 발견할 수 있다. 고구 려의 시조 동명성왕인 주몽의 아버지 해모수는 천신을 겸한 태양신의 모습이었다. 그는 ... ...
용가리와 고질라에 숨은 뜻
과학동아
l
199807
발달이라는 진보를 결코 포기할 수 없으면서도 운명적으로 그 한계를 늘 염려해야 하는
인류
의 고뇌가 담겨있는 셈이다.가장 무서운 괴물은 인간? - 무의식에 감춰진 적대감1956년에 발표된 영화 '금지된 행성'은 SF영화사상 손꼽히는 고전 걸작일 뿐만 아니라 평론가들 사이에서 새로운 용어를 ... ...
생존을 위한 몸부림 동식물의 화학무기
과학동아
l
199807
노다툼(Penicillium nodatum)에서 페니실린을 뽑아낸 것. 이는 하나의 혁명적인 대업으로
인류
의 건강에 큰 공헌을 했다. 항생제는 곰팡이와 함께 세균에서도 얻어낸다. 1943년 스트렙토마이스 그리세우스(Streptomyces griseus)라는 토양 세균에서 스트렙토마이신을 추출하는데 성공했다. 이 토양세균은 5백종이 ... ...
③ 또다른 태양계를 찾아서
과학동아
l
199807
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는 태양이라는 별이 거느리고 있는 9개의 행성들 중 하나에 불과하 다. 또한 태양과 같은 별은 우주 속에 무한히 널려있다는 것도 잘 알려진 ... 세계관은 다시 한 번 커다란 변혁을 가져오게 될 것이다. 우주과학의 발달이 또한번
인류
를 흥분시킬 것을 기대해본다 ... ...
② 돌다리에서 사장교까지
과학동아
l
199807
짐작할 수 있다. 자연적으로 만들어진 돌다리나 쓰러진 나무가 이용됐을 것이다.결국
인류
가 사용한 최초의 다리는 풍화작용으로 만들어진 구름다리(아치)모양의 돌다리나 쓰러져서 개천 위에 건너질러진 통나무다리, 또는 강 위로 늘어진 나무넝쿨을 엮어서 만든 나무넝쿨다리(후에 현수교로 발달 ... ...
신들이 노닐던 신라의 옛 숲
과학동아
l
199807
테고, 그러한 신성은 하늘과 가장 가까운 나무나 숲을 통로로 해 얻을 수 있다고 고대
인류
는 믿었을 것이다. 하늘의 신성을 받은 한 시조가 나정 숲이나 계림을 통로로 해서 인간 세상에 내려와 한 나라나 한 씨족을 시작했다고 믿었던 신라인의 인식은 동서양의 다양한 문화권에서 나타나고 있는 ... ...
DNA는 생물 블랙박스
과학동아
l
199806
인종구별, 개인식별, 골수이식 대상선정 등에 사용된다. MHC 유전자 분석결과도
인류
가 크게 두 부류로 나뉘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미토콘드리아의 유전 정보근래에 와서 색다른 연구보고가 나와 과학자의 관심을 끌고 있다. 사람과 동물세포 내에는 미토콘드리아라는 기구가 들어있다. 이는 생체에 ... ...
파이(π)의 비밀
과학동아
l
199806
얼마나 정확하게 알고 있는가가 그 문명의 발달 정도를 가늠하는 척도가 되기도 했다.
인류
의 기록이 발견되는 기원전 2천년경의 바빌로니아인과 이집트인들도 π의 중요성을 알고 있었다. 바빌로니아인은 π를 3.125로 계산했고, 이집트인은 3.16049…로 계산했다. 구약성서에는 π값을 3으로 사용한 ... ...
지구를 위협하는 소행성, 혜성 충돌
과학동아
l
199806
상승한다. 극지의 얼음이 녹아 해수면이 올라가서 해안 도시들은 모두 침수된다. 가히
인류
의 생존을 위협하고도 남을 대재앙이다.망원경의 성능이 좋아지면서 계속 새로운 소행성들의 접근이 발견되고 있다. 1989년 3월 23일에는 지름 약 1백m의 소행성(1989FC)이 지구로부터 80만km 지점을 통과했다. ... ...
이전
212
213
214
215
216
217
218
219
2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