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합
협회
합동
합작
협력
연맹
교제
d라이브러리
"
공동
"(으)로 총 4,032건 검색되었습니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병원성의 비밀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항체를 만들 세포를 준비시킨다. 그 결과 바이러스가 침투하면 선천면역과 적응면역이
공동
전선을 펴 일찌감치 쫓아버리니 증상도 거의 없다.그런데 1918년 스페인 독감 바이러스는 이런 면역계의 정교한 신호를 교란해 결국은 숙주에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했다. 보통 선천면역반응을 유발하는 ... ...
팬데믹 막는 역학조사의 세계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그 질병의 잠복기 분포와 같기 때문에 이를 분석하면 질병유행의 원인이 되는
공동
오염원에 노출된 시기인 ‘폭로일’을 추산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전파양식과 2, 3차 유행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가장 간단한 형태의 유행곡선은 최고점이 한번 나타나는 ‘단일봉 형태’로 식중독 역학조사에서 ... ...
고강도 액체금속 개발한 청국장 마니아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있다. 지난 2005년 플러리 박사팀과 고려대 이재철 교수팀, 포항공대 이병주 교수팀은
공동
연구 끝에 기존의 액체금속이 가진 단점을 극복할 수 있는 고강도 액체금속을 개발했다. 고강도 액체금속은 얼마나 큰 힘을 버틸까.원자 배열 구조가 규칙적인 강철은 압력이 최소 600MPa(대기압의 600배)일 때 ... ...
섬유 넣은 콘크리트로 ‘건축 빅뱅’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것은 볏짚으로 인해 인장에 견디는 힘이 강해졌기 때문이다.이번에 상을 받은 논문의
공동
저자 가운데 주저자는 원광대 토목환경도시공학부 최경규 교수다. 그런데 최 교수와 박호근 교수의 인연이 흥미롭다. 1997년 서울대에 부임한 박 교수는 그동안 박사 4명을 키워냈다. 그 가운데 3명이 현재 ... ...
과학의 달인을 찾아서 - 미국과학진흥협회(AAAS) 연례총회에 가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05호
연구할 예정이다.저는 한국과 인연이 깊어요. 한국의 대학교와
공동
연구를 하기로 했거든요. 더욱 활발해지면 한국의 천체물리학 수준도 세계적인 수준으로 높아질 거예요. 기자의 질문에 답하고 있는 스반테 파보 박사(위)와 과학 위성‘플랑크’모형 앞에서 포즈를 취한 조지 스무트 교수(아래). ... ...
[뇌과학]기억력 높이려면 푹 자라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결과가 나왔다. 미국 워싱턴대 의대 해부학 신경과학교실과 위스콘신대 의대 정신의학과
공동
연구팀은 잠을 푹 자면 뇌가 사소한 기억을 스스로 없애 다음날 새 정보를 저장할 공간을 만든다는 연구 결과를 ‘사이언스’ 4월 3일자에 발표했다.연구팀은 사람과 수면 패턴이 비슷한 곤충인 초파리를 ... ...
21세기 지구촌 리더 키우는 탑스라운드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말했다.기간에 관계없이 총 8번 이상 정규모임에 참석한 학생에게는 바이엘과 서강대가
공동
명의로 ‘지성인리더십인증서’도 수여해 자긍심을 높인다. 지금까지는 총 3명이 인증서를 받았지만 앞으로 계속 늘어날 전망이다.인증서를 받은 학생이 증가하는 만큼 우리사회를 이끌 미래의 글로벌 ... ...
초고전압 투과전자현미경으로 3차원 구조 밝힌다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학술지에 HVEM을 이용한 연구 결과가 해마다 실리고 있다. 2007년 연세대 천진우 교수팀과
공동
으로 연구해 ‘네이처 메디슨’에 게재했던 기능성 나노입자 개발도 HVEM을 이용한 결과다. 이 연구로 몸속에서 스스로 암세포 위치를 추적하고 결합하는 초고감도 망간나노입자 ‘메이오’가 탄생했다.권 ... ...
찰나에 깜박이는 초강력 레이저로 세계에 도전!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극초단 광양자빔 연구시설을 이용해 국내 주요 대학은 물론 독일, 씁국, 체코, 일본 등과
공동
연구도 활발 하게 진행하고 있다. 이 교수는 “고성능 레이저를 갖고 노벨 상을 받을 만한 세계 수준의 연구성과를 낼 수 있으며 BT, NT, IT와의 융합기술을 실용화할 수 있는 곳이 바로 이곳” 이라며 ... ...
DNA와 탄소나노튜브로 인공근육에 한걸음 다가간다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연구단은 나노 바이오 연료전지가 실제로 가능한 지에 대해 미국항공우주국(NASA)과
공동
연구를 했다. 연구단이 구상한 나노 바이오 연료전지는 몸속에서 음식물을 소화할 때 철을 흡수하고 저장하는 역할을 하는 ‘페리틴’ 단백질을 이용했다.포도당의 산화와 산소의 환원을 이용하는 ... ...
이전
212
213
214
215
216
217
218
219
2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