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신
자기자신
자기
d라이브러리
"
스스로
"(으)로 총 3,997건 검색되었습니다.
엑스맨탄생 울버린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한계는 어디까지인지 궁금해지는 대목이다. 만물의 영장이라고는 하지만 우리 인간은
스스로
하늘을 날지 못하고 산소통 없이는 물속에서 5분 이상 버틸 수도 없다. 남극을 정복하고 우주를 여행하는 것도 과학이라는 울타리 안에서만 가능한 일이다. 그렇다면 영화적 상상력이 뒷받침되지 않는 ... ...
사막개미의 내비게이션은‘냄새’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06호
혹시 페로몬을 분비하기 때문인가요? 개미는 페로몬이라는 화학물질을 분비해서
스스로
길을 찾거나 동료들과 신호를 주고받잖아요.오우, 잘 알고 계시는군요! 하지만 페로몬도 사막에서는 그리 효과적이지 않답니다. 사막은 기온이 무척 높은데다 바람이 강하게 불어 먹이가 있는 장소를 종종 못 ... ...
잠든 야성 깨우는 동물행동 풍부화 프로그램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동물의 정형행동을 줄일 뿐 아니라 사육동물이 받는 자극이나 스트레스 수준을
스스로
조절할 수 있도록 돕기 때문에 번식력을 높이고 건강하게 만드는 효과가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서울대공원은 풍부화 프로그램을 도입한 뒤 멸종위기에 처한 야생 수달(유라시아 수달)을 2006년 ... ...
[뇌과학]기억력 높이려면 푹 자라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위스콘신대 의대 정신의학과 공동 연구팀은 잠을 푹 자면 뇌가 사소한 기억을
스스로
없애 다음날 새 정보를 저장할 공간을 만든다는 연구 결과를 ‘사이언스’ 4월 3일자에 발표했다.연구팀은 사람과 수면 패턴이 비슷한 곤충인 초파리를 이용해 잠과 기억력 사이에 어떤 관계가 있는지 실험했다 ... ...
나노로봇 움직이는 나노발전기의 힘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체외에서 투여하지만, 앞으로 약물전달시스템이 나노발전기와 결합하면 체내에 삽입돼
스스로
제시간에 약물을 공급할 수 있다.‘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의 꿈흔들리는 다리가 붕괴할 위험은 없는지, 공기가 얼마나 오염돼 있는지, 무릎관절에서 뼈의 손실은 없는지 등을 파악할 수 있는 길은? ... ...
초고전압 투과전자현미경으로 3차원 구조 밝힌다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메디슨’에 게재했던 기능성 나노입자 개발도 HVEM을 이용한 결과다. 이 연구로 몸속에서
스스로
암세포 위치를 추적하고 결합하는 초고감도 망간나노입자 ‘메이오’가 탄생했다.권 박사는 “HVEM과 자기공명영상(MRI)장비나 핵자기공명(NMR)장비 같은 다양한 장비들을 조합해 크게는 개체에서 작게는 ... ...
[물리]전하 세계에서도 에너지는 보존된다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거대하게 선회하는 은하계까지, 존재하는 모든 사물과 관련된 스칼라 양이다. 에너지는
스스로
존재하지 않는다. 우리는 물질이 변화하는 과정을 관찰함으로써 에너지가 어떤 형상으로 존재할지 추론할 수 있다. 우리는 에너지의 양과 변화의 정도를 연관시킨다. 이때 에너지의 가장 중요한 특징은 ... ...
우리 몸 작동법-생화학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공급해 주지 않으면 박테리아는 비활성 단백질의 형태로 변형되고 물질대사가 뒤바뀌어
스스로
의 몸을 녹여 에너지를 생산하지 않으면 안 되는 상황이 된다. 피를 공급받지 못하면 자기 몸이 파괴되는 고통을 느끼게 되는 것이다. 햇빛에 대한 과민성 알레르기, 생체 아교 형태로 변형된 피부조직 ... ...
불치병 치료의 꿈 R·N·A 앱타머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않는다.하지만 대장암조직에서는 베타카테닌이 핵 안으로 들어가 전사를 시작한다. 세포
스스로
배아 세포인 것처럼 착각해 활발하게 분열하면서 암을 유발한다는 뜻이다.정 교수팀은 베타카테닌의 경로를 막아 대장암을 억제하는 RNA 앱타머 치료제를 개발 중이다. 그리고 베타카테닌에 특이적으로 ... ...
DNA와 탄소나노튜브로 인공근육에 한걸음 다가간다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우리 몸의 자세를 조절하는 골격근의 구조와 기능을 본떠 인공근육을 개발하고자 한다.
스스로
움직이며 자율신경계에 의해 조절되는 심장근이나 내장근과 달리, 골격근은 대뇌가 내리는 명령에 따라 즉시 수축과 이완을 하면서 움직이기 때문이다. 그만큼 다른 근육에 비해 동작이나 자세가 ... ...
이전
212
213
214
215
216
217
218
219
2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