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이팟나노
아이팟
쥐샥
아이팟 나노
아이팟나mp3
아이팟나노 4
아이팟나노 512
뉴스
"
나노
"(으)로 총 3,631건 검색되었습니다.
반도체 칩 크기 한계를 뛰어넘는 고효율 네트워크 광스위치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4.25
개발했다. 240개의 광입력과 240개의 광출력 간 연결을 재구성해줄 수 있는 5만개가 넘는
나노
구조체들을 실리콘 반도체 칩 위에 집적했다. 광스위치를 반도체칩에 집적하여 구현한 소자를 광집적스위치라고 한다. 연구팀이 개발한 광집적스위치는 지금까지 알려진 광집적스위치 중 세계 최대 ... ...
[과학게시판] ETRI 중기 해외진출 글로벌 파트너쉽 성과발표 外
동아사이언스
l
2019.04.25
첨단 응용 제품을 선보이는 국제행사로
나노
테크재팬과 테크커넥트월드와 함께 세계 3대
나노
행사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은 25일 서울 마포 서울가든호텔에서 ‘2019 KESLI 지식정보 공유 포럼’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날 행사는 오픈액세스 추진 사례를 공유하고 ... ...
'옆에서 보면 깜깜이' 특정 각도에서만 보이는 디스플레이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4.25
그렇지 않은 영역에서는 반사를 최소화해 스펙트럼을 조절했다. 비대칭성을 가진
나노
구조체를 사용해 디스플레이 표면에 편광 성질을 부여했다. 편광각에 따라 표면의 색이 능동적으로 변화하는 것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개발한 기술을 이용해 디스플레이에 암호화된 QR코드를 삽입했다. 특정 ... ...
국양 DGIST총장 “창의성 중시하는 DGIST 만들 것”
동아사이언스
l
2019.04.25
AT&T 산하 벨연구소 연구원으로 활동했다. 1991년 서울대 물리학과 교수로 자리를 옮겨
나노
연구를 이어갔다. 그는 2014년부터 DGIST 총장에 선임되기 전까지 삼성그룹 설립한 삼성미래기술육성재단 이사장을 맡아 순수과학 진흥에 기여했다.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이학부 정회원, 서울대 명예교수를 ... ...
[과학게시판] 재료연, 창립 12주년 기념식外
동아사이언스
l
2019.04.24
팀, 27명에게 표창을 수여했다. 재료연의 여덟 번째와 아홉 번째 세계 1등 기술인 ‘금속
나노
갭 기반 분자감지기판소재 기술’과 ‘세라믹 3D프린틴 신기술’도 발표했다. ■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4일부터 27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정보통신기술(ICT) 미래인재포럼2019’를 연다. 전국 30개 대학 ... ...
기능성 촉매 성능 높일 금속
나노
입자 제어 원리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19.04.23
입자를 퍼지게 하는 것이 불가능했다. 연구팀은 투과전자현미경을 사용해 금속
나노
촉매 입자 생성원리를 살펴봤다. 투과전자현미경은 고전압의 전자 빔을 쏘아 얇은 물질을 투과시켜 수십만 배 이상 확대해 관찰할 수 있다. 제 1저자로 연구에 참여한 조용륜 GIST 박사과정생은 “입자의 크기는 ... ...
효소 모방한
나노
물질 이용해 알츠하이머 조기 진단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4.23
수 있는 기술을 확보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미국화학회(ACS)
나노
’ 지난달 25일자에 발표됐다. 촉매의 과산화효소와 산화효소 활성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KAIST 제공 ... ...
‘아른아른’ 화면 빛반사 줄일 기술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4.23
ETRI가 화면의 빛 반사를 줄여줄 새로운
나노
소재를 개발했다. 다양한 색상의 빛을 흡수해 반사를 줄여준다. 사진제공 ETRI 노트북의 액정디스 ... “이를 통해 흡수 대역을 넓혀 색 재현율을 높이겠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2월
나노
분야 국제학술지 ‘응용재료 인터페이스’에 발표됐다. ... ...
효소 닮은 촉매 통해 친환경적이고 효율적으로 수소 생산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4.23
특정 조건에서 특정 물질과만 결합을 잘 하는 촉매를 만들었다. 먼저 이산화티타늄(TiO2)
나노
입자 위에 구리 원자를 올렸다. 여기에 연구진이 빛을 가하자, 구리와 이산화티타늄이 서로 전자를 주고받으며 이산화티타늄의 구조를 바꿨다. 야구공을 잡는 장갑의 상태가 된 것이다. 이 상태에서 반응을 ... ...
[표지로 읽는 과학] 태양계 기원 간직한 소행성
동아사이언스
l
2019.04.21
색상, 지형 구조, 열적 특성 등이 분석됐다. 류구의 알베도는 가시광선 파장인 550
나노
미터(㎚, 10억분의 1m) 4.5%로 나타났다. 알베도는 행성이 태양광선을 반사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값으로, 행성의 구성성분에 따라 알베도 값이 바뀐다. 지구의 알베도는 30%다. 4.5%는 수분이 적은 탄소질의 ... ...
이전
212
213
214
215
216
217
218
219
2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