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미점
좋은점
강점
이점
메리트
가치
매력
뉴스
"
장점
"(으)로 총 2,454건 검색되었습니다.
렌즈 하나로 3D 찍는 카메라 기술 60억 원 유치
2014.12.02
정도의 가격대로 출시할 것”이라며 “한 번 촬영으로 입체정보를 동시에 얻을 수 있는
장점
을 살려 혈관의 3차원 위치까지 인식하는 홍채인식 카메라 등의 보안 분야는 물론 교통안전 분야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 덧붙였다. ... ...
KAIST 학생 UNIST에서 수업 들을 수 있다
2014.11.28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다. 박현욱 KAIST 교무처장은 “이번 협약은 각 대학이 보유한
장점
을 상호 활용하는 대학 공동체의 새로운 협력모델”이라며 “5개 대학이 서로 문을 활짝 열고 협력해 나간다면 우리나라 공학교육 발전을 위한 커다란 시너지를 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국운(國運) 건 각축전, 아시아 국가 달탐사 경쟁 2라운드 돌입
2014.11.28
연구, 달 표면 로봇 개발 등 다양한 과제를 논의하고 있다”면서 “정보기술(IT) 강국의
장점
을 살린 우주 인터넷 연구도 우선 검토 대상 중 하나”라고 말했다. 탁민제 KAIST 항공우주공학전공 교수는 “미국은 1인당 국내총생산(GDP)의 0.24%를 우주 개발에 투자하고 있는 데 비해 경제 규모가 훨씬 ... ...
이젠 ‘탠덤 태양전지’ 시대
2014.11.24
기존 단일 접합 태양전지 분야에서 발전한 사항을 바로 적용할 수 있다는 것도
장점
”이라며 “유무기 하이브리드 탠덤 태양전지를 이용하면 이론적 한계효율을 뛰어넘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 연구결과는 ‘네이처’의 자매지 ‘사이언티픽 리포트’ 21일 온라인판에 실렸다. ... ...
UHD TV로 생방송 가능해졌다
2014.11.19
소프트웨어 방식으로 구현해 유지·보수가 쉽고 업그레이드도 편리하게 할수 있는 것도
장점
이다. 최진수 ETRI 실감방송미디어연구부장은 “우수한 압축 성능과 화질을 필요로 하는 차세대 실감 미디어 기술에 적합하게 개발했다”며 “향후 다양한 멀티미디어 서비스 시장의 활성화에도 크게 ... ...
[청년드림/인터뷰]3D 프린터 전문업체 후나인쓰리디피 이정훈 대표
동아일보
l
2014.11.19
관심이 크다. 기존에 아기의 손과 발을 본떠서 조형 액자로 만드는 것과 차별화한 것이
장점
”이라고 말했다. 이어 “아기와 접촉하지 않고 사진만 있으면 제품 생산이 가능하고 몸 전체뿐 아니라 얼굴 표정까지 자세히 표현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라며 “부모와 아기의 성장 과정 스토리를 넣은 ... ...
KAIST생이 개발한 3D 프린터, 大인기
2014.11.18
주문 받아 화제다. 가격이 100만 원 정도로 기존 보급형 3D 프린터의 3분의 1에 불과한 것도
장점
이다. 서석현 KAIST 전산학과 3학년생 등 학부생으로 이뤄진 개발진은 수직 방향으로 움직이며 출력하는 ‘델타’ 방식의 3D 프린터를 개발했다. 기존 3D 프린터의 90%가 수평 방향으로 움직이며 출력하는 ... ...
끊김없는 한국형 영상회의 기술개발
2014.11.16
이른다. 이 시스템은 소프트웨어로 구현돼 다른 영상회의 기기들과 접목이 쉬운 것도
장점
이다. 올해 7월부터 정부 영상 회의 시스템을 통합 연계하는 영상회의공통기반시스템 상에서 다른 기기들과 호환성시험을 거쳐 합격점을 받기도 했다. 최완 클라우드컴퓨팅연구부장은 ... ...
‘퀀텀닷’이 뭐길래 이렇게 뜨나
2014.11.14
바꾸지 않고 결정의 크기를 조절하는 것만으로 원하는 색을 얻을 수 있다는 게 가장 큰
장점
”이라며 “퀀텀닷의 지름이 짧을수록 푸른빛이 나오고 길수록 붉은빛이 나온다”고 말했다. ● 무독성 퀀텀닷 개발 세계 최고 수준 국내 퀀텀닷 연구는 세계 최고 수준이다. 이창희 교수 등 서울대 ... ...
녹조 광합성이 방사능 물질 제거한다
2014.11.12
제염이 가능하다. 기존 물리화학적 흡착이나 침전 방식보다 비용이 저렴한 것도
장점
이다. 이승엽 책임연구원은 “이 미세조류가 대량의 오염수를 저비용, 친환경 방식으로 처리하는 데 효과적일 것”으로 기대하며 “향후 미세조류와 미생물을 이용해 오염수 및 오염토양 등에 존재하는 ... ...
이전
212
213
214
215
216
217
218
219
2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