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회화
이미지
영상
화상
초상
그래픽
사진
d라이브러리
"
그림
"(으)로 총 3,645건 검색되었습니다.
신비로운 무늬 연출하는 선의 조화 무아레
과학동아
l
200009
나타난다.무아레 무늬를 이용하면 동양상을 만들어볼 수 있다.2쌍의 날개가 그려진 새
그림
위에 흑백의 줄무늬판을 한쪽으로 이동시키면서 어떤 모습이 나타나는지 살펴보자.줄무늬판이 이동하면서 캐릭터는 손을 위아래로 흔든다.어떻게 이런 일이 일어날까.이것은 평행선의 위치에 따라 보이는 ... ...
Ⅰ. 지평선의 보름달이 커보이는 이유
과학동아
l
200009
심하게 굴절돼 지표면에 도달한다. 지표면에 도달한 달의 위와 아래 빛을 연장해보면
그림
처럼 원래의 달보다 상하로는 작아져 보이게 된다. 반면에 달의 좌우에서 나란히 들어온 빛은 같은 정도만큼 굴절을 일으키므로 달의 좌우 크기는 변화가 거의 없다. 그리고 달이 하늘 높이 떠오를수록 ... ...
Ⅲ. 추석달이 1년중 가장 멋진 달일까
과학동아
l
200009
약을 찧고 있는 흰 토끼가 등장한다. '광한옥토도' 라는 민화 속에도 옥 토끼가 등장하고,
그림
위쪽에는 '광한전'이라 쓰여 있는데 항아선녀가 사는 곳으로 달 속에 있는 궁전을 뜻한다.달 속의 등장인물이 하나 더 늘었다.“태평성대의 요 임금 때 재앙이 닥쳤다. 하늘에 해가 갑자기 열개나 나타나 ... ...
보름달 숨은
그림
찾기
과학동아
l
200009
한가위에는 휘영청 밝은 보름달을 바라보는 일만으로도 마음이 넉넉해진다.하지만 이번 한가위에는 보름달에서 계수나무 아래 방아찧는 토끼를 직접 확인해보자.옛날 사람들은 하늘에 모래알처럼 뿌려진 별들을 바라보면서 하늘을 도화지 삼아 자신들과 친숙한 대상을 그렸다. 현재 우리에게 잘 ... ...
피아노 도와 바이올린 도가 다르게 들리는 이유
과학동아
l
200009
정상파의 파장은 반파장의 정수배가 된다.그리고 반파장의 정수배는 현의 길이가 된다(
그림
1). 파장이 현의 길이의 2배가 될 때의 진동수를 현의 기본진동수라고 한다. 그 외의 진동수는 기본진동수의 정수배가 되는데 이들을 배음이라고 부른다. 배음들의 진동수는 기본진동수보다 크므로 높은 ... ...
1. 달러덩어리 가속기 왜 필요했나
과학동아
l
200008
도서관에서 논문을 뒤적이다가 우연히 독일어로 쓰여진 위데로에의 논문에 실려있는
그림
을 보고 아이디어를 얻었다. 위데로에의 선형가속기를 사용해 높은 에너지를 얻기 위해서는 길게 설치해야 하는데, 연구실 안에 설치하기에는 너무 길었다. 좀더 소형으로 만들 궁리 끝에 긴 직선을 나선 ... ...
은하수 속의 발광성운과 암흑성운
과학동아
l
200008
불리는 작지만 유명한 암흑성운 B72가 있다. 은하수 속에 꼭꼭 숨어 있는 숨은
그림
을 찾아보자.망원경으로 볼만한 암흑성운으로는 맨눈으로도 보이는 은하수의 밝은 지역인 궁수자리 별구름 M24의 등에 얹힌 콧구멍같이 생긴 B93(위)과 B92가 있다. 특히 B92는 검은 공간이 상당히 뚜렷하고 클 뿐만 ... ...
Ⅲ. 지구 대기권 밖으로 나가자
과학동아
l
200008
천체를 관측할 수 있지만, 수분 이상의 관측자료가 필요할 때에는 무용지물이 되고 만다.(
그림
3)에는 허블우주망원경(HST)과 팔로 마산 5m 망원경으로 촬영한 M100 은하의 같은 시야를 비교했다. HST의 구경은 팔로마산 망원경 구경의 1/2에 불과하지만, 대 기에 의한 효과를 받지 않기 때문에 처녀자리는 ... ...
e북의 시대
과학동아
l
200008
그림
을 인쇄할 수 있는 기술을 말한다. 이렇게 제작된 지폐를 불빛에 비춰 보면 숨은
그림
이 나타난다. 예를 들면1만원권 지폐의 여백부분에서 희미한 세종대왕 초상화가 보인다.디지털 워터마킹은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한 소유권 정보를 사용자 모르게 파일에 첨가하는 기술이다. 이를 통해 ... ...
과학관 2백배 즐기기
과학동아
l
200008
상의 종류를 실험해볼 수 있는 ‘렌즈 놀이’라는 것이 있다. 교과서에 그려진
그림
으로만 익숙한 렌즈로 물체의 상을 직접 만들어 볼 수 있다. 렌즈와 스크린을 이동시켜가면서 만들어지는 상의 크기와 모양을 보면 자연스럽게 빛의 경로를 추적할 수 있다.하지만 대부분의 경우 렌즈를 만져보다가 ... ...
이전
213
214
215
216
217
218
219
220
2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