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절
당
파
편의
편익
떡
떡밥
d라이브러리
"
편
"(으)로 총 4,072건 검색되었습니다.
여인의 초상 제8화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기다리시오.”래빗이 눈을 찡긋 해보였다.나는 기대 반 우려 반, 방을 나와서 건너
편
호텔로 갔다.택시를 부른 뒤 고개를 들어 래빗이 묵고 있는 호텔 최상층을 올려다보았다. 복도는 물론 층층마다 경호 인력이 깔려 있으리라. 다시 시선을 내려 호텔 입구를 살폈다. 중절모를 깊이 눌러 쓴 코트 ... ...
거북이 몸 뒤집는 비결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수 있듯 긴 목을 지렛대로 이용해 자신의 몸을 쉽게 뒤집는다. 등껍질이 높지도 않고 평
편
하지도 않은 거북은 다리와 목, 돔 모양의 등껍질을 모두 이용해야 하기 때문에 몸을 뒤집기 가장 힘들다. 도모코스 교수는 “거북의 기술을 모방해 로봇이 스스로 일어서거나 몸을 뒤집는 기술을 연구하는데 ... ...
로보카, 무인자동차 대회 출격 준비 완료!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물질로 변하는 현상이며 자기광학적인 것은 직선
편
광이 자극(磁極)에서 반사하면 타원
편
광으로 변하는 현상공기가 흐르는 현상이나 공기의 흐름이 물체에 미치는 힘 또는 흐름 속에 있는 물체의 운동 등을 조사하기 위해 인공적으로 공기가 흐르도록 만든 장치(이것이 풍동)를 가지고 하는 실험 ... ...
3. 줄기세포로 사람 살리는 맞춤형 쥐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유전자를 교환한 유전체만 골라내는 방법도 중요하다. 교환 성공률은 100만분의 1로 낮은
편
이다. 운반체와 유전자를 교환한 세포는 A 유전자가 제거된 곳에 네오마이신 저항유전자가 들어가 항생제인 네오마이신을 포함한 세포배양 배지에서도 살아남는다. 반면 유전자가 재조합되지 않은 세포는 ... ...
땅이 둥근지 몰랐던 옛사람, 경위도 개념 있었다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동경 127°의 표준시를 써야 하지만, 다른 나라와 30분 차이가 나는 표준시를 쓰기는 불
편
하기 때문에 그렇게 하지 않는다.위도를 정밀하게 측정하는 일이 과학적이라고 할 수 있지만, 조선시대에는 중국과의 관계 때문에 그렇게 하지 않았다. 반대로 현재는 우리의 경도를 정확히 측정할 수 있지만 ... ...
싱글족의 함정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더 들어있다”며 “건강식품을 종류별로 챙겨먹는 것보다 자연식품을 섭취하는
편
이 좋다”고 조언했다. 소금과 카페인에 노출된 일상 실험에 참여한 두 사람 모두 나트륨의 하루 섭취량이 WHO(세계보건기구) 권고량인 2000mg을 훨씬 초과했다. 식당에서 음식을 자주 사먹거나 인스턴트식품을 먹어 ... ...
말레이시아 첫 우주인 ISS 입성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활동했다. 스스로 한계에 도전해보기 위해 한 분야에서 성공을 하면 또 다른 일을 찾는
편
이다.우주인 프로그램이 끝나면 파일럿에 도전할 생각이다.스타시티에서 함께 훈련을 받은 한국 우주인 후보를 평가한다면?스타시티에서 같은 아시아인과 훈련받아 정말 기쁘다.지난 6개월 동안 함께 지낸 ... ...
무인비행기 '제퍼'(Zephyr) 최장시간 비행기록 달성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바이러스의 총칭 인체에서는 33가지 이상의 유형이 분리된다1953년 W P 로 등이 사람의 구개
편
도(口蓋扁桃)나 아데노이드의 조직배양에 의해 처음으로 분리했다 핵 속에서 증식하고 DNA를 함유하고 있는 것이 특징적이다 호흡기 · 눈 · 소화기 등에서 볼 수 있는 아데노바이러스의 감염으로 일어나는 ... ...
모든 병은 '페트'로 통한다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속이 안 보이고 한 번 따면 다 먹어야 하는 알루미늄 캔. 페트병에 익숙해질수록 이런 불
편
함이 더 거슬린다. 게다가 이제는 담지 못하는 내용물이 거의 없을 정도로 다양한 기능성 페트병이 나오고 있다. 이제 모든 병은 페트로 통하는 게 아닐까 ... ...
PART2 한국발 스푸트니크 쇼크는 계속된다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FIMS)으로 우리은하 전체를 관측하는 쾌거를 거뒀고, 관측 결과를 바탕으로 작성한 논문 9
편
은 지난해 7월 천체물리학 분야 국제저널 ‘아스트로피지컬 저널 레터’ 특별호에 실렸다.2005년 말 개발을 마친 100kg급 소형위성인 과학기술위성 2호는 우리나라 우주개발 역사에서 남다른 의미를 갖는다. ... ...
이전
213
214
215
216
217
218
219
220
2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