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요점
중심
알맹이
정수
중앙
중추
중점
뉴스
"
핵심
"(으)로 총 6,058건 검색되었습니다.
손상 기능 치유해 성능 높이는 2차원 반도체 소자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9.26
보고된 가장 높은 전자 이동도를 달성했다”며 “차세대 유연, 웨어러블 기기의
핵심
소자로 활용 가능성을 높였다”고 밝혔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즈’ 표지 논문으로 지난 4일 온라인 게재됐다 ... ...
[2021노벨상]미국판 노벨생리의학상 '래스커상'에 mRNA백신에 기여한 과학자들 수상
동아사이언스
l
2021.09.26
바이오엔테크와 모더나의 백신 개발의
핵심
적인 기술을 개발한 커털린 커리코 바이오앤테크 수석부사장(왼쪽)과 드루 와이스먼 펜실베니아대 의대 교수. 펜실베니아대 의대 제공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 메신저리보핵산(mRBNA) 백신 개발에 기여한 두 명의 과학자가 미국판 노벨 ... ...
[프리미엄 리포트]고체발사체는 민간 우주개발 도약 시발점 될까
동아사이언스
l
2021.09.25
우주개발을 견인하고 우주사업 발전을 통한 국가경제 및 과학기술 경쟁력 강화를 위해
핵심
기술 개발, 인프라 구축, 제도개선 등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국형발사체 누리호의 시험발사체가 75t급 엔진을 달고 2018년 발사에 성공했다. 누리호는 올해 10월 첫 발사가 예정돼 ... ...
[프리미엄 리포트]플라스틱과 공존 꿈꾸는 젊은 기업들
2021.09.25
아름답다’란 글자가 크고 굵은 글씨로 강조돼 있다. “우아함은 몽세누에서 가장
핵심
적인 가치입니다. 사전적 의미로 ‘고상하고 기품이 있으며 아름답다’라는 뜻인데, 아름다운 제품은 외형이나 분위기뿐만 아니라 의미도 있어야 한다는 몽세누의 철학을 잘 녹이는 단어라고 생각합니다.” ... ...
SKC, 배터리·반도체 소재 신사업…2025년 기업가치 30조원 목표
연합뉴스
l
2021.09.24
이완재 사장은 "글로벌 선두 수준의 실리콘 회사와 협력해 음극재 기술을 확보하고
핵심
사업으로 키워갈 것"이라며 "양극재도 글로벌 기업과 협력해 사업화를 추진한다"고 설명했다. SKC는 2025년 동박 등 2차전지 사업 매출을 현재의 10배인 4조 원 규모로 확대하는 것이 목표다. 모빌리티 소재의 ... ...
2만3000년 전 아메리카 정착민 발자국 화석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1.09.24
위주의 유물이 인류가 사용한 석기인지 여부에 대해 확신하진 못했다. 이번 연구의
핵심
인 탄소동위원소 연대 측정 대상인 씨앗에 대한 논란은 있다. 씨앗이 더 오래된 퇴적물에서 침식된 뒤 퇴적층에서 발굴돼 발자국 화석보다는 더 오래됐을 수도 있다는 지적이다. 연구진은 발자국 주변 ... ...
[우주산업 리포트] 미국 텍사스가 세계 우주산업의 중심이 될 수 있었던 이유
2021.09.24
약 1000개가 우주 관련 연구와 생산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며 “관련 연구와 생산의
핵심
주체인 우주센터와 대기업 그리고 대학과 물리적으로 가까운 곳에 있기 때문에 얻는 사업적 이점은 분명히 있다”고 했다. 이들이 공통적으로 언급한 텍사스 소재 대학은 미국 댈러스 텍사스대와 미국 ... ...
유전자 가위 특허를 무료로 허하라
동아사이언스
l
2021.09.24
연구기관이 크리스퍼 유전자가위 특허 등록을 주도하고 있다. 이들 특허에 영향을 줄
핵심
특허는 대학이나 공공기관이 대부분 선점하고 있다. 따라서 이런 주요 특허를 보유한 대학과 기관들이 무료 공개 대열에 합류한다면 불필요한 특허 확보 경쟁이나 분쟁 없이 전세계에 이익을 주는 ... ...
뇌의 독성 단백질 분해하는 면역세포 '분업 시스템' 발견
연합뉴스
l
2021.09.23
걸린다. 그러다 보니 일하다 지친 소교세포가 되레 사멸하는 일도 생긴다. 이번 발견은
핵심
은, 소교세포가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일종의 '분업(division of labor)' 메커니즘을 이용한다는 것이다. 소교세포는 튜브 같이 생긴 돌기로 다른 인접 소교세포들과 결합해 하나의 네트워크를 형성했다 ... ...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개발자 "코로나19, 더 치명적 변이 가능성 없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9.23
말했다. 길버트 교수는 다국적 제약사 아스트라제네카와 옥스퍼드대가 개발한 백신의
핵심
연구자다. 길버트 교수는 코로나19 변이로 인해 백신이 무력화될 가능성에 대해서도 선을 그었다. 그는 “갑자기 변이를 일으켜 백신에 내성이 생기거나 백신 효과가 떨어질 가능성은 없다”고 강조했다. ... ...
이전
213
214
215
216
217
218
219
220
2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