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살코기
고기
육질
살가죽
살갗
식용부분
가죽
d라이브러리
"
살
"(으)로 총 3,721건 검색되었습니다.
멜라민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20호
4년 독일의 화학자 유스투스 폰 리이비히가 처음 만들었어요. 사람 나이로 따지면 벌써 175
살
이나 된 할아버지 화합물이지요. 최초의 인공 유기화합물인 요소가 처음 만들어진 게 1828년이니, 멜라민은 가장 오래된 화합물 중 하나예요.멜라민은 화장의 천재!멜라민에 ‘포름알데히드’라는 물질을 ... ...
있다? 없다? 별난 신종 생물을 찾아서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7호
살
수 있다. 2003년 태평양의 한 열수구에서 발견된 미생물은 121℃의 물 속에서도 멀쩡히
살
며 번식까지 한다. 이렇게 뜨거운 곳에서 사는 미생물에서 뽑아낸 효소는 높은 온도에서도 효과가 있다. 이런 효소는 높은 온도에서 이루어지는 DNA분석 과정에 쓰여 범죄현장을 분석하는 일에 도움이 된다 ... ...
월•E 가 밝히는 지구의 미래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5호
보다. 지구는 점점 거대한 쓰레기통이 되어 갔고, 인간들은 더 이상 아무런 생물체가
살
수 없게 된 지구를 버리고 우주로 떠나갔으니 말이다. 그런데 인간들은 우주로 떠나 갈 때 한 가지를 잊고 말았다. 바로 나의 전원을 끄는 것. 그래서 난 지구에 홀로 남아 700년 동안 쓰레기를 치우게 됐다.그러던 ... ...
21세기를 위협하는 전염병의 역습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4호
있군. 하지만 명심하라고! 질병과의 전쟁은 결코 쉽지 않을 테니까. 모두가 건강하게
살
수 있는 세상을 위한 길고 힘든 싸움에서 승리할 수 있기를 바라겠네. 허허허 ... ...
[생명과학]흰개미 생존의 비밀은 이중 공생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무려 10만 마리나
살
면서 원생생물이 만들어내는 당을 빨아먹는다. 이들은 흰개미 장에
살
고 있는 전체 박테리아의 70%를 차지한다.일본 이화학연구소 혼고 유이치 박사팀은 CfPt1-2가 단순히 기생하는 게 아니라 질소를 고정해 원생생물과 흰개미에게 아미노산을 공급한다는 사실을 게놈을 분석해 ... ...
‘다이아몬드 손’ 가진 과학자 최희욱 교수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 이때 짬을 내서 FIS 단백질이라는 DNA에 결합하는 단백질의 결정도 만들었다. 1989년 41
살
나이에 박사학위를 받은 그는 이듬해 전북대 화학과에 전임강사로 부임했다.1990년 귀국할 때 부인과 자녀들은 독일에 남았다. 대신 여름방학, 겨울방학 때 최 교수가 독일로 날아가 2달씩 가족과 함께 했다. ... ...
‘순간’을 필름에 담는 엔지니어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달라고 조르는데 주지 않고 있다(웃음). 만약 꼭 팔아야 한다면 350만 원 정도? 니콘 FM2를
살
당시 35만 원이었는데, 지금까지 이 카메라가 내게 적어도 10배의 부가가치는 제공하지 않았을까. 생생현장 따라잡기 달 사진 찍으려면 용감해져라? 지난 3월 20일 경북 포항시 구룡포읍을 찾았다. 매년 ... ...
길 위의 공포, 로드킬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2호
대해 너무 몰랐다는 사실이 미안했거든요.Q사람들은 계속 길을 만들려 하고 동물들은
살
곳이 줄어들어요. 어떻게 하면 되나요?A길을 전혀 내지 않을 수는 없을 거예요. 하지만 없어도 되는 길이 만들어질 때도 많아요. 길을 낼 때 정말 필요한 길인지 백 번이고 천 번이고 다시 생각해서 꼭 필요한 ... ...
지구 멸망 시나리오 3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아열대기후로 바뀌고 있고, 난개발로 지금까지 인류의 발길이 닫지 않았던 곳이 몸
살
을 앓고 있다. 아프리카 깊숙한 곳 원숭이 사회에서만 있던 에이즈바이러스나 에볼라바이러스가 인간 사회에 들어와서는 핵폭탄보다 무서운 결과를 야기한다는 사실은 모두 잘 알고 있으리라.방법은 하나다. 미리 ... ...
[지구과학]탄소 순환 고리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여러 복잡한 작용에 의해 용해된 이산화탄소의 형태로 존재하고, 기권에서는 생명체가
살
수 있는 적정 온도를 유지시켜 주는 온실가스인 이산화탄소의 일부로 존재한다. 탄소의 순환은 생물권에 의해 촉진된다. 식물은 봄부터 가을까지 광합성을 통해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를 매년 수백억t 이상 ... ...
이전
214
215
216
217
218
219
220
221
2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