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임무
구실
노릇
직무
직분
역활
기능
d라이브러리
"
역할
"(으)로 총 7,338건 검색되었습니다.
[Hot Issue] ‘늙지 않는’ 뱀파이어와의 인터뷰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노화를 방지하는 miRNA가 있다는 건가요?기: 맞아요! miRNA는 특정 단백질의 발현을 낮추는
역할
을 하는데요. 이광표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이하 생명연) 전임연구원은, 근육줄기세포가 근육으로 분화하는 것을 저해하는 단백질(SMAD4)의 발현을 억제하는 miRNA를 발견해 7월 29일 국제학술지 ‘유전자와 ... ...
[Knowledge] 우주의 풍경을 그려내다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상당히 오래 전에 만들어졌고, 또한 우리은하같이 큰 은하가 만들어지는 데 중요한
역할
을 했다. 아마도 우리은하 규모의 은하 주위에는 이런 왜소타원은하가 꽤 많이 있을 것이다. 마젤란은하의 어울림. 대·소마젤란은하는 우리은하 주위를 돌면서 서로 간의 중력 영향으로 가스로 이뤄진긴 꼬리 ... ...
PART3. 쓰레기 RNA가 암 정복한다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받는 이유는 이것이 메틸화나 히스톤 변형과 같은 후성유전적 요인들을 조절하는 제어자
역할
을 하기 때문이다. 다른 후성유전적 요인이 오케스트라의 단원이라면 비암호화 RNA는 오케스트라를 총괄하는 지휘자다. 가령 CEBPA라는 유전자에서 전사되는 lncRNA는 DNA를 메틸화시키는 DNA 메틸전달효소를 ... ...
PART5. 어떻게 살 것인가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짧기 때문에 연구도 덜 된 것이다.노 : 내가 대학을 다니던 1980년대에는 히스톤 단백질의
역할
을 단순히 DNA를 감는 실패 정도로만 이해했다. 이것이 DNA의 사용을 조절한다는 것을 알게 된 건 비교적 최근의 일이다. 경험은 어떻게 저장되고 전달되는가송 : 이렇게 여러 분야에서 증거가 있는데도 아직 ... ...
개미 10마리 중 4마리는 ‘베짱이’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5개 집단, 250마리의 행동을 비디오로 분석한 결과 10마리 중 4마리가 집단에서 아무런
역할
도 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알아냈다.연구팀은 각각의 개미를 다른 색 물감으로 칠하고 이들의 행동을 3일 동안 녹화 관찰했다. 그 결과 개미들은 크게 두 집단으로 나뉘었다. 한 집단은 전형적인 일개미 ... ...
[핫이슈] 폭염은 재난이다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존재가 아니다. 한반도에서 폭염지속일수를 늘려 사망자를 증가시키는 데 핵심적인
역할
을 한다.2040년대, 열사병 사망자 7.2배 증가한다한여름 땡볕에서 축구를 한다고 해보자. 전반전 30분을 뛴 다음, 그늘에서 시원한 수박을 먹으며 10분간 쉬면 기운을 차려 다시 후반전 30분을 뛸 수 있다. 그런데 ... ...
[수학뉴스] 사회적 연결망에서는 작은 고추가 맵다
수학동아
l
2015년 08호
사용자가 1억 명이 넘는 트위터나 페이스북이 아니었습니다. 연결 수는 적지만, 다리
역할
을 하는 작은 소셜네트워크가 슈퍼 전파자였어요.이렇게 슈퍼 전파자를 찾는 일은 실생활 곳곳에서 매우 중요한 문제입니다. 메르스나 에볼라 같은 바이러스의 전염을 막을 때도, 거꾸로 더 넓게 퍼뜨려 홍보 ... ...
PART 2 학문을 품은 브릭
수학동아
l
2015년 08호
브릭의 매력은 어디까지일까? 분명 브릭은 우리 주변에서 단순한 장난감 그 이상의
역할
을 하고 있는 게 확실하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팔방미인 수학자 브릭PART 1 기하학을 품은 브릭PART 2 학문을 품은 ... ...
[생활] 디자인 놀이터에서 즐기는 수학데이트
수학동아
l
2015년 08호
아름답게 디자인할 수 있었을까요?비정형 건축물을 디자인할 때는 컴퓨터가 가장 큰
역할
을 합니다. 실제로 종이 위에 그리는 평면도면 설계 방식만으로는 DDP와 같은 비정형 건축물을 지을 수 없어요. 그래서 DDP는 ‘빌딩정보모델링(BIM)’이라는 소프트웨어를 활용해 3차원 입체설계 방식으로 ... ...
PART1. 후성유전학이 태어나다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Rpd3p 단백질이 포유류의 탈아세틸효소와 비슷하다는 사실도 밝혀졌다. DNA를 감는 실패
역할
을 하는 히스톤의 아세틸화가 DNA를 풀었다 감으면서 전사를 조절하는 것이 확실해졌다.1996년 이후의 후성유전학은 이전과는 완전히 다르다. 이전에는 후성유전학의 개념을 뒷받침할 증거가 없었다. ‘DNA ... ...
이전
214
215
216
217
218
219
220
221
2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