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일의"(으)로 총 20,677건 검색되었습니다.
-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크리에이터가 되고 싶다고요?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23호
- 친구들! 여기는 디지털 세계의 바른 생활을 연구하는 잼랩이야. 요즘 심심할 때면 습관적으로 유튜브를 보고 있어. 그러다 보니 문득 내가 직접 영상을 만들어 보면 어떨까 생각하게 됐지! 그…, 그런데 생각보다 쉽지가 않네?! 크리에이터를 꿈꾸고 있나요? 요즘 어린이들 사이에서 ‘크리에 ... ...
- [특집] “너…, 아픈 냄새가 나….” 입냄새로 질병 진단하는 센서 개발!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23호
- 이다솔 기자의학상입냄새의 원인은 입속 질환부터 위장 질환까지 다양해요. 어떤 질환이 원인이 되어 입냄새가 나는지를 알려면, 날숨에 어떤 물질이 있는지 찾아내야 하죠. 이런 진단을 집에서도 간편하게 할 수 있는 센서가 개발됐어요. 구취(입냄새) 환자가 병원에 가면 가장 먼저 날숨에 휘발 ... ...
- [만화 뉴스] 화성에서 돌아오는 연료, 미생물로 만든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23호
- 10월 25일, 미국 조지아공과대학교 닉 크루이어 박사팀은 화성에서 키운 미생물로 직접 로켓 연료와 산화제를 생산할 방법을 발표했습니다. 연구팀은 ‘미생물 연료’ 후보로 ‘시아노박테리아’와 ‘대장균’을 꼽았습니다. 시아노박테리아는 광합성을 통해 로켓 산화제로 쓰이는 산소와 대장 ... ...
- [4컷 만화] 알아서 상처의 상태 알려주는 ‘스마트 밴드’!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23호
- 지난달 25일, 이탈리아 볼로냐대학교 마르타 테사롤로 교수 연구팀은 상처 부위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해주는 ‘스마트 밴드’를 개발했습니다. 상처의 습도는 상처의 회복 상태를 알려주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밴드를 붙인 채로는 상처가 얼마나 나았는지 확인하기 어렵고, 상처가 덜 나았는 ... ...
- [이달의 과학사] 1934년12월 7일 와일리 포스트, 최초로 제트기류를 타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23호
- 포스트 본인도 모르는 사이에 제트기류를 타고 비행했던 것이죠.5년 후인 1939년, 독일의 기상학자인 하인리히 자일코프가 이 바람에 제트기류라는 이름을 붙였지요. 하지만 처음으로 제트기류를 타고 날았던 와일리 포스트는 이 단어를 들을 수 없었어요. 1935년, 비행기 사고로 추락해 사망했기 ... ...
- 과학동아천문대와 함께하는 이달의 우주 날씨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23호
- 12월 14일 올해 마지막 우주쇼 쌍둥이자리 유성우!유성은 우주를 떠도는 먼지가 지구 대기권에 돌입하면서 빛과 열을 내는 현상 혹은 그런 물체를 말해요. 소행성이나 혜성은 지나간 자리에 많은 먼지를 남기는데, 이 주변을 지구가 지나면 여러 개의 유성이 한꺼번에 떨어지는 유성우가 생기죠.유성 ... ...
- 마이보의 과학 영상 읽어줌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23호
- 요즘 날씨가 정말 추워졌지? 따뜻한 방에서 과학 영상을 보며 귤을 까먹고 싶은 계절이야. 그런데 너희 키위 좋아하니? 영상을 보다가 키위가 키위새에서 난다는 믿을 수 없는 소식을 들었어. 내가 내용을 확인해 볼 테니, 너희는 3억 원짜리 멜로 진주와 조상님들의 화장실 영상을 보면서 기다리고 ... ...
- [특집] 수백억 원의 명품 바이올린, 그 비결은 사실 살충제?!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23호
- 이혜란 기자약학상최고의 바이올리니스트를 꿈꾸나요? 그렇다면 살충제부터 준비해 보세요. 바이올린의 명가 ‘스트라디바리우스’의 화려한 음색이 살충제 덕분이라고 최근 연구를 통해 밝혀졌거든요. 살충제와 바이올린은 환상의 짝꿍? 이탈리아에서 17~18세기에 만들어진 바이올린 스트라디바 ... ...
- [방탈출 in 스페이스] 드디어 지구에 도착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23호
- “국제우주정거장(ISS)은 지구에서 400km. 바로 저기가 지구야!”동글이가 가리킨 곳엔 지구가 푸른빛을 내며 수연과 동글이를 환영하고 있었다. “이제 집에 갈 수 있어!”우주 식물에게 잡아먹힐 뻔하고 우주 해적으로 오해받고…. 그동안의 일들이 지구를 바라보자 주마등처럼 스쳐갔다. ...
- [통합과학 교과서] 화원을 되살려라!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23호
- 식물로 추측하고 있어요. 코스 교수팀은 2019년 감귤 세포의 액포가 산의 양을 조절해 과일의 신맛과 단맛을 조절할 거라 판단했어요. 연구팀은 논문을 통해 “기존의 감귤류 식물의 생물학적 정보에 RAB5a 유전자 등을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추가로 연구할 계획”이라고 밝혔어요. 에필로그“정말 ... ...
이전2142152162172182192202212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