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개소
뉴스
"
데
"(으)로 총 17,984건 검색되었습니다.
잡아당겨도 고해상도 유지하는 OLED 디스플레이
동아사이언스
l
2024.06.11
늘리기 전 97%에 달하는 발광 면적비가 양쪽에서 30%씩 잡아당긴 후에도 87%로 감소하는
데
그쳤다. 기존 방식으로 만든 디스플레이에서는 똑같이 잡아당겼을 초기 69%에서 42%로 발광 면적비가 감소한다. 연구팀은 "이 디스플레이는 구형 물체, 실린더, 인체 부위와 같은 곡면에서 안정적으로 ... ...
초신성 80개 새롭게 발견…"우주 팽창 연구 큰 자원"
동아사이언스
l
2024.06.11
제임스웹우주망원경(JWST)이 2022년 포착한 초신성 폭발. 미국항공우주국(NASA) 제공 별이 진화의 마지막 단계에서 밝은 빛을 내며 산화하는 초신성 폭발은 우주에서 ... 연구팀은 "이번 발견은 초기 우주에서 별의 형성과 초신성 폭발 메커니즘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 ...
상온 양자컴 가능성 열었다…2차원 '스커미온' 생성·제어 첫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4.06.11
전압과 자기장을 공급해 스커미온을 구현하고 전류를 가해 원하는 방향으로 제어하는
데
성공했다. 기존 3차원 스커미온과 비교해 제어에 소비되는 전력이 1000분의 1 정도로 감소했다. 크기는 10배 이상 작아져 안정성이나 속도 측면에서도 유리해졌다는 분석이다. 연구팀은 지난해 2월 3차원 ... ...
코끼리도 사람처럼 서로 '이름' 부른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6.11
어린 코끼리 두 마리가 케냐 삼부루 국립보호구역(SNR)에서 인사를 나누고 있다. George Wittemyer 제공 돌고래나 앵무새처럼 상대가 내는 소리를 모방해 서로를 부르 ... 먼 미래다"라며 "이번 연구가 코끼리와 사람이 공존하기 위해서 코끼리에게 경고하는
데
쓰일 수 있으면 좋겠다"고 밝혔다. ... ...
태양계에서 가장 높은 화산 꼭대기에도 '서리' 내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6.11
계절 타르시스 고원에 있는 화산들의 정상 부근과 화산 폭발로 생긴 커다란 구멍인 칼
데
라에서 이른 아침마다 서리가 생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에 따르면 서리는 일출 후 햇빛에 증발하기 전까지 단 몇 시간 동안만 존재했다. 서리의 두께는 머리카락 굵기 정도에 불과할 정도로 매우 얇았지만 ... ...
"혈당 낮추려면 오전보다 오후에 운동하세요"
동아사이언스
l
2024.06.10
위험이 높다. 이런 사람들이 중간에서 고강도 운동을 하면 혈당 항상성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는 것이 선행 연구 결과다. 하지만 하루 중 언제 신체활동을 할 때 특히 혈당 조절이 잘 되는지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었다. 이번 연구를 통해 오후 운동이 가장 효과가 있다는 점이 확인됐다 ... ...
레이저로 열에너지 정밀 제어…고효율 AI반도체 공정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6.10
상대적으로 저온인 250°C 이하에서 FeFET를 만들고 성능을 테스트한 결과 10만 번 이상
데
이터 쓰기·지우기 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정보 저장 상태도 10년 이상 유지 가능했다. 장재은 교수는 "열에너지를 최소화한 레이저 어닐링 기술은 강유전체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의 상용화 가능성을 높이는 ... ...
차세대 강유전체 메모리, 정보 저장 능력 극대화
동아사이언스
l
2024.06.10
연구 방향을 제시했다"며 "후속 연구를 통해 저전력·고속·대용량 메모리를 개발하고
데
이터센터와 인공지능의 전력 문제 해결에 기여하겠다"고 전했다. ... ...
실내조명 활용해 초고감도로 이산화질소 감지
동아사이언스
l
2024.06.10
주목받고 있지만 그동안 인체에 유해한 자외선 또는 근자외선 영역의 빛을 활용하는
데
그쳤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에서 사용하는 가시광의 영역을 녹색광까지 확대해 범용성을 크게 높였다. 실제 실험에서 녹색광을 조사했을 때 이산화질소 감지 반응성이 기존 대비 52배로 증가했다. 특히 ... ...
라그랑주점이 뭐길래...문 연 우주청, 탐사목표 제시한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24.06.10
여겨진다. 우주 공간을 수억 km 비행해 지름이 1km도 되지 않는 소행성에 정확히 안착하는
데
첨단 과학과 수학, 기술이 필요하다. 아포피스 탐사를 위한 기술 개발 과정 자체가 한국의 우주 기술 역량 제고로 이어진다는 설명이다 ... ...
이전
214
215
216
217
218
219
220
221
2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