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월
일개월
계월
현토
글월
문장
한달
d라이브러리
"
달
"(으)로 총 3,688건 검색되었습니다.
2 외계생명체 찾는 첨단로봇들의 화성침공
과학동아
l
200307
파고 들어갈 수 있다. 두더지 로봇은 표면 아래 1.5m 정도까지 파고 들어갈 수 있고, 끝에
달
린 ‘입’으로 소량의 표본을 수집한다. ‘오디세이’호에 의해 화성 표면 아래에서 상당량 얼음의 존재가 추정됐기 때문에 두더지 로봇의 역할은 중요하다. 어디선가 물을 발견하고 생명체를 발견할 수도 ... ...
태양에너지 무선전송시대 열린다
과학동아
l
200306
5GW급 우주태양광발전소에서 마이크로파를 수신하는 지상 안테나의 지름은 약 12km에
달
한다. 이 안테나의 중심부에 입사되는 마이크로파 전력 밀도는 약 25mW/cm2, 가장자리에서는 10mW/cm2 미만이다. 정밀한 이론적 계산에 따르면 안테나 바깥의 대부분 장소에서 마이크로파 전력 밀도는 0.1mW/cm2에 ... ...
보이는 것이 모두 진짜는 아니다
과학동아
l
200306
한다. 지평선에 떠오른
달
은 지평선의 어떤 사물보다 멀리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달
의 크기가 같음에도 불구하고 더 크게 보인다는 것이다.사람의 욕구도 착시현상을 일으킬 수 있다. 배가고플 때 다른 그림을 음식 그림으로 잘못 보는 현상이 이에 해당한다. 또 사막에서 있지도 않은 오아시스가 ... ...
안데스인의 피는 태평양인보다 붉다
과학동아
l
200306
경기에 잘 적응할 수 있다는 효과 외에도 대기 중의 산소를 이용할 수 있는 능력이 발
달
한다는 이점이 있다. 이 사실이 알려지면서 해수면 수준에서 수행하는 경기에 참여하기 전에도 고지대 훈련을 실시한 후 참가하는 것이 최근의 추세가 됐다. 산소가 부족한 상태에 적응하기 위해 증가한 ... ...
4백만년 전 묻힌 인류의 조상
과학동아
l
200306
있다 지구의 각 대륙이 오랜 지질시대에 대규모로 이동하여 상대적으로 위치가
달
라지게 되었다는 설 1912 년에 A L 베게너가 대서양의 두 해안선의 유사성, 고기후학, 고생물학 등을 근거로 각 대륙은 중생대까지 한 거대한 대륙이던 것이 그 후에 분열 · 이동하여 오늘의 형태가 되었다고 주장했으나 ... ...
과학이 정말 재밌어요!
과학동아
l
200306
좋은 출발을 보이고 있다. 찾아가는 실험실이란 예비여성과학자 5-6명이 조를 이뤄 한
달
에 한번씩 일선 학교로 직접 찾아가 한학기 과학반 수업을 전담하는 프로그램이다. 아이들은 WISE가 준비한 다양한 주제의 실험에 참가하여 스스로 흥미를 갖고 직접 만들어봄으로써 과학적 원리를 자연스럽게 ... ...
과학과 인문학 사이 다리 놓은 과학기술학자 송상용
과학동아
l
200306
과학적 휴머니즘을 표방하는 운동을 한 영향도 크다고 봅니다. 하지만 생활은 좀
달
라요.”송 교수는 1993년부터 환경운동연합의 초빙을 받아 환경운동을 벌이고 있다. 환경운동에는 2가지 극단적인 입장이 있다. 과학기술을 이용해 환경을 개선하자는 것과 과학기술을 완전히 거부하고 원시로 ... ...
북반구하늘 최고의 구형 별무리 M13
과학동아
l
200306
동쪽으로 자리를 옮겨가고 있다. 지난 5월 14일 화성은 해왕성에서 불과 2° 가량(1°는 보름
달
지름의 두배에 해당) 떨어진 곳을 통과했다. 오는 24일 화성은 천왕성과 역사적인 만남을 갖는다.물병자리의 한쪽 귀퉁이에서 6등급의 밝기로 빛나는 천왕성 옆을 -1등급인 화성이 약 3° 떨어져 통과한다. ... ...
로켓 원리 밝힌 치올코프스키 논문 1백주년
과학동아
l
200305
전체 로켓의 무게는 점차 가벼워지고 가속도는 점점 더해져 결국 빠른 최종속도에 도
달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오늘날 중력을 벗어나고자 하는 모든 로켓은 2-3단의 다단로켓으로 돼있다. 1990년대 미항공우주국(NASA)에서 다단계가 아닌 하나의 단계로 우주로 직행하려는 꿈의 우주발사체를 개발하기 ... ...
DNA를 향한 열정
과학동아
l
200305
분수령이 된 대발견은 겨우 20대였던 청년 왓슨이 이룬 성과였다. 왓슨은 그 성취가 한
달
동안 자신을 기쁘게 했다고 고백했다. 그리고 그 후에는 앞서의 성과에 만족하지 않고 다시 새로운 분야를 개척해 나갔다.원래 새를 좋아했던 왓슨은 동물학을 전공했지만, 대학시절 에르빈 슈뢰딩거가 쓴 ... ...
이전
215
216
217
218
219
220
221
222
2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