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궁극
마지막
극도
결과
d라이브러리
"
결국
"(으)로 총 6,098건 검색되었습니다.
화학자가 본 플루오린화 수소 유출 사고의 진실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플루오린화 수소에 가루 상태의 소석회를 뿌리는 것으로는 실질적인 효과가 없다.
결국
처음부터 소석회를 사용하지 않았다고 비난한 정치권과 언론의 지적은 목숨 걸고 사고처리에 나섰던 소방대원들에게 옳지 않았던 것이다.플루오린화 수소가 휘발성이 크다는 점과 칼슘이나 규산(실리케이트)과 ... ...
위대한 역사의 비밀 수학을 사랑한 王
수학동아
l
2012년 12호
연구하는 관리에게 1777년부터 100년 동안, 천문과 절기를 예측하는 책을 만들게 했다.
결국
5년간의 작업 끝에 87년간의 절기를 예측한 을 편찬한다.정조는 세종대왕이 그랬던 것처럼 수학자 발굴에 힘을 쏟았다. 그렇게 찾아낸 대표적인 수학 천재가 김영과 이가환이다. 김영은 농사꾼 ... ...
천재수학자의 완벽한 알리바이 용의자 X
수학동아
l
2012년 12호
>라는 수학 교재 사이에서 첫번째 단서를 발견한다. 다시 수사에 박차를 가한 민범은
결국
, 석고가 화선을 좋아해 이성적 판단이 흐려졌다는 결론을 내린다.원작 VS 영화지난 10월 18일에 개봉한 영화 는, 일본 작가인 히가시노 케이고의 을 바탕으로 제작됐다.원작은 수학자가 ... ...
Part 1. 응답하라 백두여우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그러나 2009년까지 5년 동안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흔적을 찾을 수 없었습니다.
결국
인간들은 우리를 다시 백두대간에 복원하기로 했답니다.10월 말부터 자연과 사투를 벌이게 될 나와 내 친구의 부모님은 2008년 북한에서 왔습니다. 정확히 말하자면 북한 지역에 살던 여우입니다. 국경은 인간한테나 ... ...
Part 3. 에너지드링크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써지지 않고 뭔가 허전할 때 편의점으로 발길을 돌리는 버릇이 더 문제일지도 모르겠다.
결국
편의점을 나서는 기자의 손에는 커피가 들려 있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먹거리 X파일 - 당신은 제대로 알고 먹는가?Part 1. 조미료Part 2. 유기농Part 3. ... ...
‘불산’ 무섭지만 버릴 수 없는 이유는?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염을 만든다.칼슘이온과 불소이온이 만나 만든 염의 화학식은 CaF2, 바로 형석이다.
결국
우리 몸 안에 미세한 돌가루가 쌓이는 셈이다. 불소이온이 뼈에 도달하면 뼈를 이루는 칼슘을 빼낸다. 그 결과 체내 칼슘이온과 마그네슘이온 농도가 떨어지면서 몸에 이상이 생긴다. 특히 칼슘이온이 결핍되면 ... ...
죽음의 공포를 삭제할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생존과 성공을 위해 사는 풍조가 만연하다. 하지만 나나 내 가족만 추구하는 것은
결국
나 자신을 죽음의 공포로 이끌고, 더 큰 스트레스로 자신과 가족을 파멸로 이끌 수 있다. 뇌는 우리에게 나 자신만이 아니라 ‘우리 모두’를 위한 삶을 살아야 한다고 말해주고 있다.*참고문헌1. Neuroscience: ... ...
Part 4. 우리 함께 살 수 있어요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때문이다. 도요오카 주민들은 스스로 농약과 화학비료 사용을 줄였다. 이러한 노력 끝에
결국
‘황새쌀’이라는 브랜드가 탄생했다.뿐만 아니다. 도요오카시는 ‘황새 공생과(共生課)’란 부서를 설치했다. 시장은 관용차 옆면에 황새 그림을 큼지막하게 새겨 넣는가 하면 시내버스, 하수도 맨홀 ... ...
GMO 안전성에 빨간 불?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가능하게 한 데이터를 공개하지 않는 한 나도 자료를 공개하지 않겠다”고 맞서고 있다.
결국
어떤 식으로든 안전성과 건강 문제가 더욱 이슈가 될 전망이다 ... ...
농사는 인류를 부자로 만들었을까?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집단이 클수록 많아집니다). 오늘날 우리가 세계에서 볼 수 있는 무궁무진한 다양성은
결국
농경 덕분입니다. 농경의 발달과 유전자 다양성은, 사람의 문명이 오히려 인류의 진화에 직접 영향을 미친 예입니다. 오랫동안 사람들은 문명과 문화가 발달하면 진화는 멈춘다고 생각했습니다. 하지만 ... ...
이전
215
216
217
218
219
220
221
222
2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