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디자인
계획
구상
입안
착상
도안
건설
d라이브러리
"
설계
"(으)로 총 3,554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화를 말로 바꿔주는 장갑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망원경이라 불리는 시야가 넓은 광학계(光學系)를 발명했다 그는 통신기사·사진기사·
설계
기사 등으로 일하면서 천문학과 광학을 독학하고 경혐을 쌓았다1916~ 스웨덴의 생화학자 스톡홀름 태생 1938년 런던에 유학한 후 뉴욕의 컬럼비아 대학, 스위스의 바젤 대학에서 연구를 계속했다 47년 스웨덴 ... ...
3 분자 하나로 컴퓨터 메모리 기능 수행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이를 구성하는 분자들 자체가 수nm(나노미터) 크기다. 또한 유기물은 원하는 크기로 쉽게
설계
할 수 있다. 게다가 최근에는 이렇게 작은 유기분자가 정보를 처리하는 트랜지스터의 기본특성인 전류의 on/off를 구현하고 신호의 증폭 기능도 갖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유기분자들을 ... ...
산모 음식이 자식 유전자의 기능 바꾼다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새끼 쥐는 사실 보통 쥐가 아니다. 이들은 모두 ‘아구티’라는 유전자를 갖도록 특별히
설계
된 모델쥐였다. 아구티 유전자는 쥐의 털 색깔을 노란색으로 만드는 기능을 한다. 즉 저틀 교수는 이런 모델쥐를 사용함으로써 변화를 지켜볼 수 있는 요소를 아구티 유전자 하나로 제한한 것이다.실험에서 ... ...
과학을 입힌다 첨단도료의 세계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작은 열의 발생이 화재로 진행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난연성 도료에서 분자구조
설계
를 통해 열적으로 안정화한 고분자 물질이 도막에 형성되도록 하는 이유다.한편 난연성 도료에서는 인계화합물이라는 첨가제를 사용하는데, 이것은 열에 분해되더라도 휘발성물질이 발생하지 않고 오히려 ... ...
48시간 동안만 재생되는 일회용 dvd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병증 할리병(病)이라고도 한다발작성이고 암갈색인 것이 특정이다 발전을 주목적으로
설계
된 원자로 현재 사용되고 있는 발전용 원자로는 발전 터빈을 돌리는 고온·고압의 수증기 또는 고온 가스를 제조하는 열에너지를 원자로에서 얻는 방식이다이 밖에 원자로 내의 핵반응에서 직접 전력을 얻는 ... ...
고양이 눈이 밤에 빛나는 이유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동공도 훨씬 크게 열린다. 이렇게 야행성 동물의 눈은 빛을 많이 받아들일 수 있도록
설계
됐기 때문에 깜깜한 곳에서도 희미한 빛을 잡아낼 수 있다.또한 야행성 동물의 눈에는 사람과 다른 독특한 구조가 있다. 눈의 망막 뒤쪽에 있는 타페텀(tapetum)이라는 반사층이 바로 그것. 이곳에서는 동공으로 ... ...
1 체온 2℃만 내려도 1백50살까지 산다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결국 사망한다.10℃에서 90분 냉각시킨 일이 최고이렇듯 인간은 저온에서 살 수 없도록
설계
됐다. 왜 저온에서 살 수 없는 것일까. 저온에서는 어떤 생물학적 현상이 나타나며 세포와 조직, 기관은 어떤 변화를 겪는가. 이런 질문에 대한 답을 구하는 학문이 바로 ‘저온생물학’(cryobiology)이다. ... ...
대형 구조물 안전 책임지는 시뮬레이션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이에 대해 곽 교수는“실용성을 추구하던 과거와는 달리 이제는 아름다움이 구조물을
설계
하는데 가장 먼저 고려하는 사항”이라며“멋을 부리려면 이를 받쳐줄 수 있는 복잡한 기술도 필요하지만 무엇보다도 미적 감각이 있어야 한다”고 말한다.현재 선진국의 예를 보더라도 이 분야에서 여성의 ... ...
3 21세기 미라 냉동인간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생중계할 정도로 괴짜였다. 1996년 병사한 리어리 교수는 사후에 출간된 저서인 ‘임종의
설계
’(Design for Dying)에서 냉동보존으로 부활하는 꿈을 포기하지 않았다.리어리 교수의 경우에서 보듯이 인체 냉동보존술은 진취적 사고를 가진 미국 실리콘밸리의 첨단기술자들을 매료시켰다. 세계 최대의 ... ...
전설의 섬 이어도에 우뚝 선 과학기지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이어도 해양과학기지 건설의 산 증인이자 한국을 해양 선진국으로 끌어올린 인물이다.
설계
부터 완공까지 그의 손때가 묻지 않은 곳이 없다. 심 박사는 얼마 전 국립해양조사원에 요청해 국내 해도에도 이곳을 암초가 아닌 ‘이어도’로 표기하도록 했다.심 박사는 “해양과학기지가 해양, 기상 ... ...
이전
215
216
217
218
219
220
221
222
2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