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구"(으)로 총 8,834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음악으로 느껴보는 우주의 크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7호
 
                            - 먼 은하에는 낮은음을, 가까운 은하에는 높은음을 합성했어요. 즉 소리를 들으면 지구에서 은하까지의 거리를 알 수 있는 사진을 만든 거예요. 그레그 박사는 자신의 홈페이지에 올해 1월부터 한 달에 한 개씩 천문학 데이터로 만든 음악을 공개하고 있어요. 그중에는 태양계 내행성의 공전 주기와 ... ...
                            
 
                        
                        
                                            
                                                            
                                                             - [통합과학 교과서] 새로운 능력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생물 멸종에는 다양한 원인이 있어요. 그중에서도 과다한 이산화탄소 배출로 생긴 지구온난화는 생태계에 아주 큰 영향을 주고 있지요. 육상의 기온을 높일 뿐만 아니라, 바다에 이산화탄소가 녹아들면서 산성도를 크게 높이고 있어요. 바다의 산성도가 높아지면 조개는 탄산칼슘으로 이루어진 ... ...
                            
 
                        
                        
                                            
                                                            
                                                             - Part 4. 별별 행성사냥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시민과학자들의 많은 참여를 부탁해요!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제2의 지구를 찾아라! 행성 사냥꾼Part 1. 베테랑 사냥꾼 등장!Part 2. 행성사냥꾼들의 비법 대공개!Part 3. 우주 망원경으로 외계행성을 찾는다!Part 4. 별별 행성사냥꾼!Part 5. 우리나라의 행성사냥꾼 ... ...
                            
 
                        
                        
                                            
                                                            
                                                             - Part 6. 상상할 수 있는 초고층건물의 끝은?수학동아                                        l2018년 07호
 
                            - 뚫고 우주까지 높아진 초고층건물을 상상해보자. 초고층건물 꼭대기 우주전망대에서 지구를 내려다보고, 우주를 바라보는 상상을 해보자. 르 코르뷔지에의 현대 도시 계획처럼 처음에는 불가능해 보이지만 점점 실현 가능해지는 것처럼, 이 또한 언젠가 가능할 수도 있지 않을까? 하 수석연구원은 ... ...
                            
 
                        
                        
                                            
                                                            
                                                             - [Issue] 양서류 흑사병 발원지가 한국?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실렸다. 지난 25년간 개구리를 비롯해 전 세계 양서류의 30%를 감염시켜 일부 종(種)은 지구상에서 자취를 감추게 만든 병균, ‘항아리곰팡이(Batrachochytrium dendrobatidis)’의 출처가 밝혀진 것이다. 그런데, 발원지는 바로 한국이었다.   전 세계 38개 연구팀, 항아리곰팡이 계보 추적1993년 호주에서 처음 ... ...
                            
 
                        
                        
                                            
                                                            
                                                             - 과학동아 대중 과학강연 ‘2018 사이언스 바캉스’과학동아                                        l2018년 07호
 
                            - 구축 지원 임무, 보현산천문대에 있는 지구 자기장 측정기 운영 등을 담당하고 있다.그는 지구 방사선, 자기권, 오로라, 태양 플레어, 코로나물질방출(CME) 등 우주 날씨 연구 분야의 다양한 주제를 종합해 2012년 청소년을 위한 책으로도 펴냈다.처음부터 과학대중화에 뜻이 있었던 것은 아니었다고 ... ...
                            
 
                        
                        
                                            
                                                            
                                                             - [Career] ‘꽃잎 엔딩’의 비밀 밝힌다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이런 변화에 적응해 최적화된 행동을 하는 식물만 생존할 수 있다. 이런 식물을 연구하면 지구온난화로 인한 미래 변화에도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하지만 식물의 수많은 세포를 일일이 관찰해 최적화된 반응을 이끌어내기란 사실상 불가능하다. 세포 모델을 이용하면 모델에서 일어나는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7호
 
                            - 때 적응하지 못한 생물은 살아남지 못하거든요. 특히 운석 충돌, 화산 분화 등으로 지구의 환경이 급격하게 변해서 생태계 전체에 걸쳐 멸종이 일어나면 ‘대멸종’이라고 불러요. 지금까지 총 5번의 대멸종이 있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지요. 그런데 과학자들은 현재 6번째 대멸종이 진행되고 있다고 ... ...
                            
 
                        
                        
                                            
                                                            
                                                             - Part 1. 베테랑 사냥꾼 등장!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7호
 
                            - 나중에 엄청난 발견을 이뤄낼 지도 몰라요!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제2의 지구를 찾아라! 행성 사냥꾼Part 1. 베테랑 사냥꾼 등장!Part 2. 행성사냥꾼들의 비법 대공개!Part 3. 우주 망원경으로 외계행성을 찾는다!Part 4. 별별 행성사냥꾼!Part 5. 우리나라의 행성사냥꾼 ... ...
                            
 
                        
                        
                                            
                                                            
                                                             - Part 5. 수학으로 새 옷 입은 초고층건물수학동아                                        l2018년 07호
 
                            - 뒤 최적의 설계안을 찾는 방식을 써야 한다”고 말했다.  스트라우토는 용산 국제업무지구에 건설될 예정이었던 초고층건물 블레이드 타워 설계에 쓰였다. 코어 벽의 콘크리트를 어떤 두께와 강도로 할지 최적화하는 문제를 해결해야 했는데, 결과적으로 기존 재료를 약 18% 줄인 최적의 대안을 ... ...
                            
 
                        
                        
                                         이전2152162172182192202212222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