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강도
격렬함
계수
셈
힘
능력
효력
뉴스
"
세기
"(으)로 총 2,442건 검색되었습니다.
생의 진정한 목표는 꿈과 현실의 융합
동아사이언스
l
2014.12.02
이쯤이면 이공계 여성 인력 중 손꼽을만한 이색 경력의 소유자다. ‘융합의 시대’ 21
세기
에 IT와 문화예술의 접목을 꿈꾸는 서울대학교 라틴아메리카연구소 백미숙 문화기획팀장을 만났다. 어린 시절의 꿈은 쇼윈도 디스플레이 전문가 한국전자통신연구소 재직시절 - 백미숙 팀장 제공 ... ...
생활 속에 숨어있는 수학을 찾아서
동아사이언스
l
2014.11.26
대칭성에 대한 그림 - 한국연구재단 제공 보형 형식은 타원 함수의 형태로 등장하며 19
세기
수학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디리클레의 업적에 타원 함수의 용어를 가지고 등장했지만, 그 이전에 이미 세타 함수 등의 형태로 등장했다. 이후 헤케에 의해 조직적으로 연구되어 다른 대상들과의 연관성이 ... ...
첨단 정보기술 - 총체적 협업 시스템 활용해 차근차근
동아일보
l
2014.11.26
외부 연구기관과의 협업도 빼놓을 수 없다. 이탈리아 아시시 ‘성 프란치스코 성당’의 14
세기
치마부에 벽화의 경우 피사대가 3차원(3D) 복원을 시도하고 있다. 1997년 대지진으로 부서진 치마부에의 벽화 조각 5만 개를 일일이 3D 카메라로 찍은 뒤 특수한 컴퓨터 소프트웨어로 원래의 모양을 맞추는 ... ...
거짓말만 하면 딸꾹질 ‘피노키오 증후군’ 진짜 있나?
2014.11.23
반응한다. 드라마 속 여주인공만큼은 아니지만 호흡과 맥박 등이 빨라지는 식이다. 19
세기
유럽에선 기계를 이용해 거짓말 여부를 판단하려는 시도가 시작됐으며, 1915년 미국에서는 혈압 변화를 이용한 현대적인 거짓말 탐지기가 고안됐다. 최근 예능 프로그램에 종종 등장하는 간이 거짓말 탐지기도 ... ...
쥐의 웃음이 가득한 곳은?
2014.11.16
미적분. 사실 미적분은 와인을 제 값에 사려는 매우 실용적인 목적에서 탄생했다. 16
세기
에는 와인의 양을 막대기로 측정해 해당 금액을 치르는 식으로 와인을 구입했다. 병의 4분의 1 분량의 와인이라면 와인 한 병의 4분의 1 값을 내는 것이다. 하지만 와인의 병은 반듯한 원통이 아니기 때문에 ... ...
[채널A] 혜성 ‘터치다운’
세기
의 우주쇼…3시간 뒤 첫 발
채널A
l
2014.11.13
밤 하늘을 가르는 혜성은 어디서 왔고 어떻게 만들어졌을까요? 과학자들이 이 오랜 물음에 답하기 위해 직접 혜성에 로봇을 보냈습니다. 앞으로 약 3시간 뒤면 인류가 혜성에 역사적인 첫 발을 내딛게 됩니다. 이영혜 기자입니다. [리포트] ‘지구로부터 5억 8000만km 떨어진 혜성에 세탁기보다 작은 ... ...
“진리와 지식을 갈구하는 진정한 과학자라면…”
2014.11.02
판도라를 닮은 듯하다. 게다가 생명체의 조작과 복제를 넘어 제조가 시도되고 있는 21
세기
바이오 시대에 생명은, 그 유명한 상자를 들고 있는 판도라처럼 보이기도 한다. 그 상자를 열면 인류에게 큰 행복이 올 것이라는 기대만큼이나 전혀 예상치 못한 재앙이 닥칠 수고 있다는 우려도 있다.” ... ...
요즘 아이들은 왜 이렇게 클까?
2014.10.27
추세(그렇다. 우리나라만의 현상이 아니다!)에 대한 예상치 못한 설명이 실려 있다. 즉 20
세기
후반부터 시작된 항생제 남용이 장내미생물 균형을 무너뜨려 인체에 다양한 영향을 미쳤고 그 가운데 하나가 키가 커지는 현상이라는 것. 참고로 이 책의 부제는 ‘왜 항생제는 모든 현대병의 근원인가 ... ...
[과학기자의 문화산책]내 똥배는 정말 밀가루 때문일까?
2014.10.26
뜻이다. 수천 년 이상 인류의 주식으로 사랑받아 온 밀이 왜 이렇게 된 걸까. 저자는 20
세기
중반부터 이뤄지기 시작한 유전적 변형이 그 원인이라고 지목한다. 국제 옥수수 및 밀 육종 센터(IMWIC)가 멕시코의 식량 자급을 돕기 위해 1943년부터 생산성을 높인 밀을 육종하기 시작했고, 1980년대까지 ... ...
매주 토요일, 우리는 멘토 만나러 간다
2014.10.19
옮겨 넣었다. 그리고 공동기기실로 자리를 옮겨 세포 속에서 일어나는 전사 활성을 빛의
세기
로 측정하기도 했다. 실제 분자생물학 실험실에서 쓰는 실험 기법을 그대로 배워 본 것이다. 4일 오전 사이언스 오픈랩에 참여한 여고생들과 송윤선 숙명여대 약대 교수(맨 왼쪽)가 숙명여대 약대 ... ...
이전
215
216
217
218
219
220
221
222
2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