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하나
일
한사람
한개
뉴스
"
1
"(으)로 총 34,819건 검색되었습니다.
피 몇 방울로 '폐암 돌연변이' 잡아낸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2.13
제
1
저자인 엘리자베스 마리아 클라리사 울산과학기술원(UNIST) 바이오메디컬공학과 연구원이 진단 칩을 살펴보고 있다. UNIST 제공. 혈액 몇 방울만 있으면 폐암을 조기에 발견할 ... 결과는 국제학술지 ‘ACS 나노’ 표지논문으로 지난
11
일 출판됐다. doi.org/
1
0.
1
02
1
/acsnano.4c
1
420 ... ...
[SW가 여는 의료의 미래]⑥ "심정지 예측 AI '딥카스', 도입하면 못끊어"
동아사이언스
l
2025.02.13
혁신성을 조명하고 미래 의료기술을 엿보는 기획을 진행합니다. 국내 혁신의료기기
1
호는 인공지능(AI) 기술을 이용해 안저(안구 속 뒷부분) 영상의 이상소견을 진단·보조하는 소프트웨어 의료기기 ‘뷰노메드 펀더스’다. 펀더스는 혁신의료기술 통합심사를 통과해 혁신의료기술로도 지정됐다. ... ...
기후 변화가 뎅기열 확산 가속
동아사이언스
l
2025.02.13
모기 매개 감염병인 '뎅기열'이 동남아시아, 아프리카 등에서 기승을 부리는 가운데기후 변화가 뎅기열 확산을 가속한다는 점을 수학적으로 보인 연구결과가 국내에서 나왔다. 게티이미지뱅 ... 와 올리비아 카위딩 IBS 연구원. IBS 제공 -http://www.science.org/doi/
1
0.
11
26/sciadv.adq
1
90 ... ...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
1
8대 회장에 구자균 회장 재선임
동아사이언스
l
2025.02.12
특히 기업 연구개발(R&D) 연구자들의 성과를 조명하고 사기를 진작하기 위해 2022년부터
1
월 24일을 ‘기술개발인의 날’을 선포하고 기념행사를 추진했다. 구 회장은 이날 “대내외 정세의 격변과 장기적인 저성장 기조로 기업의 기술혁신을 돕는 산기협의 역할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고 ... ...
[의학바이오게시판] 코어라인소프트,
1
9일 호주 ALCC 폐암학회 참가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2.12
기반 3D 영상 분석 기술 개발 기업인 '코어라인소프트'가
1
9일 참여하는 호주 폐암학회(ALCC 2025) 포스터. 코어라인소프트 제공 ■ 흉부 기반 3D 영상 분석 기술 개발 기업인 '코어라인소프트'가
1
9일 개최되는 호주 폐암학회(ALCC 2025)에 참가한다고
1
2일 밝혔다. 학회에서 코어라인소프트는 호주의 검진 ... ...
의정 갈등
1
년, 일상된 응급실 뺑뺑이…초과사망
1
만명 추정도
동아사이언스
l
2025.02.12
구해 추정해보면 최소 6000~8000명이 추가로 운명을 달리했을 것으로 예상된다”며 “
1
만명이 넘었을 거라는 전문가도 있다”고 덧붙였다. 의정 갈등 이후 표면적으로는 심각한 의료대란이 일어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보이지만 이면을 들여다보면 의료체계가 붕괴되는 흔적들이 확인되고 있다. ... ...
韓 참여 우주망원경 '스피어엑스' 28일 발사…"은하 전체 관측해 외계생명 탐사"
동아사이언스
l
2025.02.12
연구를 하는 사이언스팀은 약 80명이다. 이중 천문연 공식 참여 인원은 약 20명으로 4분의
1
을 차지한다. 특히 핵심 과제인 3차원 우주 지도 제작에서는 지도 정확도를 높이는 과정에 천문연과 서울대 연구진들이 크게 기여한다는 설명이다. 정웅섭 천문연 책임연구원은 "제작 과정에서 비공개 기술이 ... ...
[이덕환의 과학세상] 中 딥시크, 미국의 규제가 낳은 '아이러니'
2025.02.12
1
만 개를 핵심 자산으로 하는 스타트업이었다. ●추격형 연구개발도 유용한 전략 딥시크 R
1
은 전형적인 '추격형 연구개발'의 성공 사례다. 딥시크의 입장에서 2년 전에 처음 등장한 새로운 인공지능 기술인 대형언어모델(LLM)을 이용하는 생성형 인공지능의 가능성에 대한 고민으로 시간과 자원을 ... ...
0.0
1
나노미터 정밀 조절로 핵융합 원료 중수소 골라낸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2.12
약
1
8배 이상 증가한 것이다. JCM-
1
은 이은성 교수팀에서 개발한 소재다. 연구 논문의 제
1
저자인 김현림 UNIST 연구원은 “JCM-
1
(Cl⁻)은 기존 -249.
1
5°C에서 이뤄지는 극저온 증류방식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인 -223.
1
5°C에서도 안정적인 성능을 유지해 핵융합, 반도체 제조 등 다양한 산업에서 활용될 ... ...
충방전
1
000회에도 멀쩡한 물 기반 리튬이온배터리
동아사이언스
l
2025.02.12
수소 결합 네트워크를 깨뜨리는 방식으로 배터리를 만들어 배터리의 전위창을
1
.23V에서 3.
1
V 이상으로 높였다. 연구팀은 배터리 내에 리튬 플루오라이드(LiF) 기반 고체 계면을 형성함으로써 물 분해를 효과적으로 억제해 배터리 성능을 크게 향상시키는 데도 성공했다. 그 결과 연구팀이 개발한 ... ...
이전
215
216
217
218
219
220
221
222
2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