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개요
요약
개략
적요
개괄
결론
요지
d라이브러리
"
대의
"(으)로 총 697건 검색되었습니다.
왼손잡이에 대한 또다른 발견
과학동아
l
201009
결과다. 이 확률을 더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 유전학이 발전했다. 최근 영국 옥스포드
대의
연구팀은 분자 정신분석학(Molecular Psychiatry)지에 게재한 논문에서 ‘LRRTM1 유전자’가 오른손잡이와는 다른 왼손잡이만의 특성과 뇌의 구조에 관한 단서를 밝혀줄 수 있을 것이라고 발표했다. 고려대 ... ...
중력은 없다?
과학동아
l
201009
위기에 처하게 된다.중력이 워낙 약하다보니 이 실험을 벌인 독일 라이프니츠
대의
에른스트 라셀 박사팀은 복잡한 물리현상을 동원해야 했다. 먼저 루비듐 원자를 가장 낮은 온도인 절대 영도보다 고작 10억분의 9도, 즉 9nK(나노켈빈) 높은 정도까지 극저온 상태로 얼렸다.연구팀은 이 원자를 담은 ... ...
덩치 큰 슈퍼컴퓨터, 소프트웨어로 다이어트하다
과학동아
l
201009
그리드 시스템을 포함한다면 세계에서 가장 빠른 컴퓨터는 재규어가 아니라 UC버클리
대의
‘보닉(BOINC)’이었을 것이다.방안 3 구름처럼 한계를 지을 수 없는 - 클라우드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일회성 연구를 진행할 개인 또는 소규모 조직이라면 클라우드 컴퓨팅을 눈여겨 볼 필요가 있다. ... ...
바닷가재와 문어, 누가 더 많을까
과학동아
l
201009
제한적이었다는 점도 해양생물종의 수를 낮춘 원인으로 지목된다. 캐나다 댈하우지
대의
론 도르 교수는 “이번 조사에서는 세균 같은 미생물이 대상에서 빠졌다”며 “5600종의 신종이 추가됐지만 아직 발견되지 않은 생물종이 10만 종 이상 더 있을 것이며 미생물까지 합치면 그 수는 수백만으로 ... ...
감쪽같은 소금 흉내로 뇌 속인다
과학동아
l
201009
5월부터 통각에 대한 식품성분의 연구를 시작했다. 또 일본 도쿄대, 이탈리아 밀라노
대의
연구진과 함께 매운 맛과 더불어 톡 쏘는 맛에 대해서도 연구하고 있다. 누구나 다 인정하는 얼큰한 한국인의 입맛이 단순한 통증이 아닌, (아직 발견되지 않은) 여섯 번째 맛임을 밝히고 싶다. ... ...
위험할 땐 통돌이 로봇 불러주세요
과학동아
l
201008
있으면 넓은 해수욕장이나 계곡이 있는 큰 산 하나를 전부 감시할 수 있다”며 “여러
대의
로봇을 상황실에 앉아 있는 사람 혼자서 조종할 수 있어 굉장히 효율적”이라고 설명했다.이런 일은 RC헬리콥터로는 할 수 없다. 하늘에서 내려다보며 감시할 수 없으니 결국 사람이 눈으로 보초를 서야 ... ...
젊고 열정적인 연구 문화
과학동아
l
201008
구현을 강조하며 연구중심대학으로 자리잡는 데 중점을 둔다. 10년 내 홍콩과기
대의
위상을 따라잡을 것을 목표로 하며, 이공계 인재 양성에 집중적으로 투자하고 있다.젊은 캠퍼스, 젊은 교수진신생대학으로서 UNIST의 강점은 무엇보다 젊고 유능한 교수진이 확보됐다는 점. 전 과목을 전임교수가 ... ...
말라리아 없는 모기
과학동아
l
201008
확인했다. 연구팀은 변형된 유전자 부분에 형광물질을 추가해 빛이 나게 만들었다. 다음
대의
모기 유충의 유전자에서 변형된 부분이 밝게 빛났고, 이 유전자가 대를이어 발현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리엘 박사는 “모기가 말라리아를 옮기지 않으면 수많은 환자들을 구할 수 있다”며 “유전자 ... ...
발명자도 놀랄 21세기 생활 속 레이저
과학동아
l
201005
인공 번개를 만드는 첫 단계를 성공한 것이나 다름없다. 연구를 진행한 프랑스 리용
대의
제롬 카스파리안 박사는 “이번 실험에 사용한 펨토초 테라와트 레이저보다10배 정도는 출력이 더 센 펄스 레이저를 사용해 연속적으로 쪼이는 방법을 찾고 있다”며 다음 연구 계획을 밝혔다.미 해군연구소 ... ...
인류 진화의 비밀 풀리나
과학동아
l
201005
놓은 듯 닮았다”며 버거 박사의 주장에 힘을 실었다. 그러나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
대의
팀 화이트 박사는 “세디바는 해부학적인 특성이 약간 다를 뿐 아프리카누스가 틀림없다”며 반박했다.그는 세디바 화석에 대해 “아프리카누스가 지금까지 알려져 있었던기간보다 더 오래 살았다는 ... ...
이전
17
18
19
20
21
22
23
24
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