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건축
구축
공사
건조
건립
설계
가설
d라이브러리
"
건설
"(으)로 총 1,955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동아가 파헤친다, 2021 수능
과학동아
l
2020년 12호
가림막은 높이가 45cm로 낮아 이보다는 효과가 떨어질 순 있습니다. 하지만 이윤규 한국
건설
기술연구원 실내공기품질연구단장은 “모든 수험생들이 마스크를 착용하고, 수험장에서는 대화할 일이 거의 없기 때문에 상황이 다르다”고 말했습니다.또 교육부는 수능 당일, 휴식 시간마다 환기를 ... ...
[인터뷰] 핵융합 에너지는 후손에게 남길 자랑스러운 유산
과학동아
l
2020년 12호
정상적으로 진행되기 어려울 정도로 대단한 기술력을 갖추고 있다. 한국의 역할은 ITER가
건설
된 후에 더욱 중요해질 것이다. 특히 한국의 플라스마 운전 기술이 세계 최고 수준이기 때문이다. Q. 마지막으로 한국의 독자들에게 한 마디?→ 핵융합 에너지는 후손에게 남길 자랑스러운 유산이라고 ... ...
핵융합 에너지 또 다른 융합으로 완성하다
과학동아
l
2020년 12호
핵융합 발전소에도 로봇공학이 적용되면 더 안정적인 발전이 가능할 것”이라며 “향후
건설
될 DEMO에서 다양한 임무를 수행할 수 있는 로봇팔을 개발해 나갈 계획”이라고 포부를 밝혔다 ... ...
2020 과학동아가 만난 과학기술 이슈 TOP 5
과학동아
l
2020년 12호
설치하는 것이 올해 9월 결정됐으며, 이를 비롯해 현재 국내 40여 곳에서 해상풍력단지가
건설
또는 추진되고 있다. 더불어 현대자동차가 개발한 수소연료전지차 ‘넥쏘’가 국내 누적 판매 1만 대를 넘겼고, 7월에는 세계 최초로 수소연료전지 기반 대형트럭도 양산됐다. 과학동아는 2월호 특집 ... ...
50년 인류 최대 프로젝트 ITER 본격 조립 시작
과학동아
l
2020년 12호
실제 전기를 생산할 수 있는 동력 변환 장치가 포함된 한국형 핵융합실증로(K-DEMO)를
건설
할 계획이다. 한국은 비록 핵융합 에너지 연구에 뒤늦게 뛰어들었지만, KSTAR 프로젝트와 함께 엄청난 성장을 거뒀다. 그리고 현재는 핵융합 연구의 중심인 ITER에서 전 세계 연구자들과 나란히 핵융합 에너지 ... ...
서울시 3D 지도 나왔다
과학동아
l
2020년 12호
이번 스마트 서울맵을 만들었다고 설명했다. 스마트 서울맵은 서울시 면적 605km2에
건설
된 건물 60만 동을 3차원(3D)으로 보여 준다. 이를 위해 서울시와 네이버랩스는 1800m 상공에서 항공기를 지그재그로 움직이며 사진을 촬영했다. 집중적으로 촬영한 기간은 17일 정도지만, 기상 조건 때문에 5개월 ... ...
[인포그래픽] 핵융합 에너지가 도시를 밝히기 까지
과학동아
l
2020년 12호
상용화는 총 네 단계로 이어진다. 초전도 핵융합 연구장치(KSTAR)부터 핵융합 발전소가
건설
되기까지 약 50년이 걸릴 것으로 예측되는 초장기 프로젝트다. 각 연구 과정에서 필요한 장치의 특징과 중점적 연구분야 등을 알아봤다 ... ...
[비하인드 로켓] 태풍을 이겨낸 나로호의 마지막 도전
과학동아
l
2020년 11호
동시에 진행되고 있었다. 나로우주센터의 시설과 건물은 초속 60m 강풍에도 견딜 수 있게
건설
됐지만 자연의 힘은 인공적인 것을 초월하기에 긴장을 늦출 수가 없었다.아니나 다를까 나로호 1단과 2단을 분리하는 부품인 역추진 로켓을 보관하는 창고가 폭우로 침수됐다. 어느 틈에 들이쳤는지 모르는 ... ...
달에 전파망원경을 세워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11호
JPL)의 셉타르시 반디요파디예 박사는 달 뒷면의 크레이터에 전파망원경을
건설
하자는 ‘달 크레이터 전파망원경(LCRT)’ 아이디어를 발표했어요. 전파망원경은 파장이 긴 전자기파인 전파를 관측하는 망원경으로, 안테나처럼 수신기에 전파 신호를 모으지요.지금까지 만들어진 가장 큰 단일 ... ...
슬기롭고 과학적인 전동킥보드 생활
과학동아
l
2020년 10호
전동 킥보드는 무게중심이 쉽게 이동해서 주행 중 넘어질 가능성이 더 크다. 노창균 한국
건설
기술연구원 스마트모빌리티연구센터 수석연구원은 전동 킥보드의 주행 안전성을 평가할 수 있는 실험을 진행했다. 노 수석연구원은 전동 킥보드 주행 영상을 촬영하고 동작분석시스템을 이용해 전복 ... ...
이전
17
18
19
20
21
22
23
24
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