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호
탄도
비상경로
d라이브러리
"
곡선
"(으)로 총 946건 검색되었습니다.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자연에서 답을 찾다! FOMA 자동차 디자인 미술관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5호
그렸네요. 지금도 참 멋지지만, 한 가지만 얘기할게요. 멋진 자동차를 그리려면 선과
곡선
을 자신 있게 그릴 줄 알아야 해요. 앞으로 선 하나를 그어도 손을 자신 있게 뻗을 수 있도록 연습해 보세요.”또한 관장님은 디자이너를 꿈꾼다면 과학의 원리를 기억하라고 강조했어요.“보지 말고 자전거를 ... ...
과학마녀 일리의 한자풀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5호
나타내는 단어가 되었답니다. 공을 앞으로 던지면
곡선
을 그리며 땅에 떨어져요. 이
곡선
을 포물선이라고 해요.이중 ‘포(抛)’는 ‘아홉 구(九)’와 ‘힘 력(力)’, ‘손 수(扌)’로 이뤄져 있어요. 특이하게도 ‘아홉 구(九)’는 ‘사람의 팔’을 뜻하는 글자로 쓰였지요. 손가락 세 개를 펼친 손과 ... ...
[Career] 사람에게 가장 편안하고 편리한 사물을 고민하다
과학동아
l
2017년 05호
것은 곡률반지름이 600mm와 1200mm인 모니터였고, 400mm와 평면 순으로 불리했다.곡률반지름
곡선
을 만들기 위해 사용한 원의 반지름또 눈의 피로도는 평면에서 가장 심하고, 600mm에서 가장 덜했다. 연구팀은 모니터의 곡률반지름이 600mm일 때 가독성이 높고 사용자의 눈이 피로를 덜 느낀다는 결론을 ... ...
[비주얼 과학교과서] 엄치나의 등장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5호
태양과 지구 근처로 돌아오는 주기가 달라지지요. 타원이 무한히 길어서 포물선이나 쌍
곡선
형태가 되면 태양계를 한 번 지난 뒤, 다시 돌아오지 않아요. 태양계를 반복적으로 돌아오는 혜성을 ‘주기 혜성’, 한 번 왔다가 돌아오지 않는 혜성을 ‘비주기 혜성’이라고 해요.지구 멸망을 막아라?‘2 ... ...
Part 2. [두 번째 실험] 한 점도 겹치지 않게 모나리자 구기기
수학동아
l
2017년 05호
들리는 말도 수학적인 언어로 엄밀하게 증명하려고 노력해요. 이렇게 증명된 조르당
곡선
정리와 브라우어르의 고정점 정리는 그 밖의 다양한 정리를 수학적인 언어로 증명하는 데 다시 쓰입니다.마지막으로 이러한 노력이 빛을 발한 사례를 하나 더 소개할게요. 바로 ‘알렉산더의 뿔 달린 구’!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스타인버그의 추측
수학동아
l
2017년 03호
이으면 그래프가 됩니다.어떤 지도든 지도의 각 영역에 꼭짓점을 그리고 두 꼭짓점을
곡선
또는 직선으로 이어서 그래프를 만들면 평면 위에서 어느 두 선도 교차하지 않게 되는데요, 이처럼 어느 선도 교차하지 않는 평면위의 그래프를 ‘평면그래프’라고 합니다. 4색 정리는 이런 평면그래프와 ... ...
[Future] 잘 팔리는 책의 비밀 인공지능이 풀다
과학동아
l
2017년 03호
베스트셀러 자리를 놓치지 않고 있는 영국 소설 ‘해리포터와 죽음의 성물’의 감정
곡선
을 분석했다.소설의 길이가 워낙 길다 보니 여러 감정선이 혼합돼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과학동아는 ‘과연 우리나라의 전래동화 역시 인공지능을 이용해 감정선을 분석할 수 있을까’해서 앤드류 레건 ... ...
[Photo] 티타늄과 그 광물들 下 예술이 된 광물
과학동아
l
2017년 03호
자아냈다. 흐린 날씨에도 황금색에서 은회색 빛으로 다양하게 변하는 색감과, 다양한
곡선
이 교차하는 부드러움, 그리고 따뜻한 느낌이 어우러져 건축물이 아니라 하나의 예술작품으로 다가왔다. 마법의 주인공은 미술관을 감싸고 있는 주 소재인 티타늄 패널이었다.세계인을 끌어 모은 0.38mm의 ... ...
[감수성] 사인
곡선
수학동아
l
2017년 03호
...
[수학뉴스] 사랑이 피어나는 미분과 적분
수학동아
l
2017년 02호
순간에 어떤 속도로 움직이는지 알고 싶다면 미분을 이용해서 구할 수 있지요. 적분은
곡선
으로 이뤄진 도형의 넓이를 구하기 위해 도형을 다각형 모양으로 아주 잘게 쪼갠 뒤 각 넓이를 구해 더한 거예요. 이렇게 보니 미분과 적분은 아무런 관련이 없어 보이죠. 그런데 왜 항상 함께 다니는 걸까요 ... ...
이전
17
18
19
20
21
22
23
24
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