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마지막
끝
최후
극도
결국
극단
연극단
d라이브러리
"
궁극
"(으)로 총 834건 검색되었습니다.
[손바닥 인터뷰] ‘셀프 디스’는 계속돼야 한다
과학동아
l
2015년 03호
배웠던 노하우를 전시해요. 인두와 납은 어디서 구하는가 같은 깨알 팁들을 소개합니다.
궁극
적으로는 원래 제가 궁금해하던 것인 ‘우리가 왜 존재하는가’에 대한 질문을 해결하기 위해 어떤 일이든 하고 있을 겁니다. 그게 무엇이든지 간에요 ... ...
[Knowledge] LHC 이번엔 암흑물질 찾는다
과학동아
l
2015년 03호
나타나는지에 대해서는 아무 것도 이야기해주지 않는다. 표준모형은 분명 옳지만
궁극
적으로는 더 심오한 이론으로 설명돼야 하며, 그렇게 될 것이라고 물리학자들은 믿고 있다. 이것이 바로 더 높은 에너지에서 새로운 실험을 하는 이유다. 표준모형을 넘어선 새로운 물리학 법칙을 찾기 위해서다 ... ...
Part 2 수학이 만든 “결혼의 법칙”
수학동아
l
2015년 02호
바로 카리에라족의 결혼제도가 ‘클라인 4원군’(35쪽 참조)을 따랐던 것이다. 이는
궁극
적으로 ‘평행사촌’끼리의 결혼을 피하기 위해서였다. 즉 삼촌의 아들과 딸이나 이모의 아들과 딸처럼 ‘아버지의 형제’나 ‘어머니의 자매’의 자녀와 결혼하는 것을 막아 준다. 하지만 부모와 성별이 다른 ... ...
INTRO. 상대성이론 vs 양자역학
과학동아
l
2015년 01호
“과학자는 흔히 뛰어난 연구결과를 성취하는 것만을 목표로 합니다. 하지만 과학은
궁극
적으로 과학자의 전유물이 될 수 없으며, 사회의 공감 없이 나 홀로 발전하는 과학은 현실과 엇나갈 수밖에 없습니다. 과학자는 일반인과 소통하는 노력을 간과해서는 안 되며, 과학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에 ... ...
PART4. 일반상대성이론 완성한 집단지성의 힘
과학동아
l
2015년 01호
방정식으로 만들고 이를 풀었습니다. 외부에서 보면, 내파하는 별은 내파가 느려지다가
궁극
적으로 임계 크기에서 멈추는 것처럼 보입니다. 이는 실제로 내파가 멈추는 것이 아니라 중력에 의한 시간 지연 때문입니다. 별 입장에서 보면 임계 크기 이하로 내파는 계속되고 별은 계속 수축하지요. ... ...
[Life & Tech] 두꺼운 패딩 벗어야 겨울 추위 이긴다
과학동아
l
2015년 01호
된다. 하지만 추위에 대한 적응력을 떨어뜨려 결국에는 추위에 굴복하게 만든다. 추위를
궁극
적으로 물리치기 위해서는 두꺼운 옷을 하나씩 벗으며 추위에 적응해야 한다 ... ...
PART3. 핵융합의 장점과 발전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된다. 중성자 발생도 절반 정도 줄어든다.마지막으로 3세대인 중수소-헬륨3 핵융합은
궁극
의 핵융합 방식으로 인류가 꿈꾸던 최종에너지라고 할 만 하다. 3세대는 중성자가 전혀 발생하지 않고(핵융합로가 방사화 되지 않는다), 반응 후 발생하는 양성자도 직접 전기로 바꾸는 데 쓸 수 있다. 에너지 ... ...
PART5. 핵융합의 난관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연구자들은 높은 열에너지를 견딜 수 있는 재료를 개발하고 있다. 다행히 문제를 잠재울
궁극
의 재료들이 연구되고 있다. 발전소를 지을 때까지는 이 문제 역시 무난하게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필자는 확신한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인류최후 에너지 핵융합PART1. 에너지 비정상회담PART2. ... ...
PART4. 핵융합 실현 기술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하지만 외부 에너지 공급을 최소화한 채 플라스마 자체의 움직임으로 핵융합을 해야
궁극
의 핵융합 에너지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그밖에도 토카막은 풀어야 할 과제가 많다. 하지만 핵융합 방식 가운데 가장 연구가 많이 돼 있고 가장 많은 연구자들이 몰입하고 있는 방식이 토카막이다. 그만큼 ... ...
[career] “3D 프린터로 하늘 나는 새를 만든다”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균형 유지 같은 복잡한 요소까지 고려해야 새의 움직임을 제대로 모델링 할 수 있습니다.
궁극
적인 목표는 3D 프린터를 활용해 새의 움직임을 똑같이 따라할 수 있는 로봇을 만드는 것입니다. 3D프린터로 새를 출력해 배터리만 끼워 바로 날려 보낼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컴퓨터공학의 미래 꿈꾸던 ... ...
이전
17
18
19
20
21
22
23
24
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