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명"(으)로 총 9,637건 검색되었습니다.
- (광고) 상상한 대로 만드는 나만의 트랙! 그래비트랙스 앱 콘테스트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1호
- 그래비트랙스 앱 콘테스트> 결과가 발표됐어요! 무려 120명의 그래비트랙서가 지원한 이번 콘테스트에서 놀랍고 창의적인 트랙을 보여준 5개의 수상작을 소개합니다. 그래비트랙스 앱으로 만든 가상의 트랙들을 확인해 볼까요? 그래비트랙스 앱에서 자유롭게 트랙을 뚝딱! ‘GraviTrax’는 가상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자외선, 달팽이관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섭취가 자외선으로 인한 피부 질환에 면역 효과가 있다고 발표하기도 했어요. 연구팀이 29명의 실험 참가자에게 2주 동안 매일 포도를 먹게 했더니, 3분의 1 정도의 참가자에게 자외선 질환에 면역력을 갖는 장내 미생물이 활성화되었습니다. 연구팀은 이 원인을 포도 속 폴리페놀이란 성분 ... ...
- [어수티콘] 몫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1호
- 친구와 내가 똑같은 개수로 나눠 가진다고 생각해 보세요. 8을 2로 나눈 몫은 4니까, 두 명이 과자 4개씩을 각자 자신의 몫으로 갖게 되겠지요. 어수동 : 몫을 구하는 다른 방법도 있나요? 수달 : 네, 그럼요. 예를 들어는 8을 2로 나누는 거니까, 반대로 2에 어떤 수를 곱해야 다시 8이 되는지 ... ...
- 정부 발표부터 9월 모의평가 결과 분석까지, 킬러문항 논란 일지수학동아 l2023년 11호
- 가까이 되기 때문에 (만점자) 2500명 정도 수준으로 충분히 변별이 가능할 것”이라고 설명했어요. 올해 수능은 9월 모평과 유사한 문제 유형과 난도로 출제될 거란 분석이 유력해요. 킬러문항 사라질 수 없다! 취재 과정에서 킬러문항이 언제 처음 등장했냐고 물어보니 5년, 10년 심지어 15년 ... ...
- [Reportage] 영재학교판 두뇌 서바이벌 게임, 제2회 과학예술영재학교 수학교류전수학동아 l2023년 11호
- 맡아 준비위원회를 통솔하고 각자의 역할을 분배하는 역할을 해야 했어요. 1학년이 12명으로 워낙 많다 보니 어려운 점도 있었지만 행사를 운영하면서 리더십을 키울 수 있었지요. 또 저는 수학의 대중화에 관심이 많아요. 그래서 이번 행사처럼 수학을 게임화하면 수학을 평소에 어려워하는 ... ...
- [Space Math] 우주를 향한 인류의 호기심이 현실이 되려면?수학동아 l2023년 11호
- 입시를 위한 도구로만 여겨져 걱정된다. 우주에 관한 유명한 영화인 ‘인터스텔라’의 명대사를 통해 이 우려를 씻고 싶다. 우리는 답을 찾을 것이다. 늘 그랬듯이. (단, 지적 호기심을 잊어버리지 않는다면…. ... ...
- [최신 이슈] 사회 곳곳의 언어장벽, 과학 연구에도?과학동아 l2023년 11호
- 극복을 개인의 책임으로 떠넘길 게 아니라, 전반적인 사회의 변화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야마노 교수 역시 과학 연구의 다양성을 존중하기 위해 각 나라의 언어로 연구 논문을 작성하는 환경이 조성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한계가 있다. 송 교수는 “나라마다 다른 과학 용어를 ... ...
- [SF영화로운 덕후생활]영화 ‘팟 제너레이션’ 인공 자궁으로 아이 낳는 미래 가능할까?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수 있는 ‘팟’의 경우 더 많은 논의가 필요하겠죠. 임신과 출산의 과정이 과학적으로 명백하게 밝혀지지 않아서 아이에게 미칠 영향에 대해서도 완전히 알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이번 영화가 인공 자궁이 가지고 있는 많은 사회적 함의를 생각해 보는 계기가 되길 바랍니다. ❋이 콘텐츠는 ... ...
- [과학사 극장] 파스퇴르는 생명 윤리를 위반 했을까?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이는 반세기가 지난 이후에야 밝혀졌다.21세기의 시각에서 볼 때 이런 일들은 모두 생명 윤리나 연구 윤리를 중대하게 위반한 사례다. 오늘날 우리의 윤리적 잣대를 과거에 백신을 처음 개발한 선구자들에게 들이대는 일은 시대착오적이다. 그럼에도 파스퇴르의 연구 윤리 위반은 시대를 초월해 ... ...
- 불임 모기로 퇴치?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1호
- 박테리아에 감염된 모기가 뎅기열 예방에 효과가 있었다는 뜻이지요. WMP는 매년 200만 명의 뎅기열 환자가 나오는 브라질도 볼바키아 감염 모기가 효과를 볼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 ...
이전1718192021222324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