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바이러스
병독
세균
비루스
d라이브러리
"
병원체
"(으)로 총 244건 검색되었습니다.
1. 참을 수 없는 고통의 메커니즘 : 몸 이상 알리는 적신호 위험 경고하는 통각신경
과학동아
l
1996년 07호
몸 전체를 둘러싸고 있는 피부의 가장 중요한 기능은 외부
병원체
로부터 몸의 조직을 보호하는 일이다. 피부가 손상될 때 느껴지는 아픔은 이 보호 기능을 돕기 위한 것이다. 피부의 통증은 '면역적 방어 메커니즘' 으로 설명하는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선천적으로 통증을 느끼지 못하는 기형아들이 ... ...
3. 의약품 '붙이는 약' 전성시대 열린다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나왔고 '약발'이 오래도록 유지되는 약이 개발된 지 오래다. 이제 계면공학은 정확하게
병원체
를 공격하는 약을 가능케 하고 있다. 이미 '먹는 약' 만이 유일한 시대는 지났다. 로숀타입의 바르는 약은 우리에게 친숙해진 상태이고 어깨 결림이나 신경통에만 쓰이던 붙이는 약이 이제는 담배를 ... ...
4 유전자 치료법 개발, 질병없는 세계 꿈꾼다
과학동아
l
1995년 09호
지금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는 방법이다.바이러스는 사람에게 질병을 일으킬 수 있는
병원체
지만 유전자재조합기술을 이용하여 바이러스의 병원성을 제거하고 인체 세포로 들어갈 수 있는 감염성만 유지시킨 상태로 만든다. 치료에 쓰일 유전자를 바이러스에 삽입시켜 투입하면 '트로이의 목마' ... ...
페스트, 왜 지상에서 사라졌나
과학동아
l
1995년 07호
정체를 밝히고 백신을 개발한 후에야 다시 운하를 개발할 수있게 되었다. 이처럼
병원체
가 처음으로 사람에게 기생을 시작하면 결말은 어느 한쪽이 파멸되는 무서운 질병으로 나타날 수 밖에 없다.아직 에이즈의 기원에 대해 학자들마다 의견이 다른 실정이다. 에이즈의 원인 바이러스인 HIV와 ... ...
에이즈를 극복하는 사람들
과학동아
l
1995년 05호
공포의 질환이었던 천연두에 대해 면역성을 보인 것(우두 바이러스와 천연두 바이러스는
병원체
는 서로 '사촌'간이다.)과 같은 이치이다. 따라서 병원성이 크게 떨어지는 약골 HIV 바이러스를 잘 연구하면 우두와 천연두의 관계를 조사하다가 1796년 사상 최초의 백신인 천연두 백신을 개발한 영국의 ... ...
수수께끼의
병원체
프리온 정체 밝혀진다
과학동아
l
1995년 04호
동반하는 치사성 신경변성질환은 모두 프리온이 원인이 돼 발병한다.프리온은 다른
병원체
와는 달리 핵산이 없는 게 특징이다. 병원성의 본체는 프리온단백질(PrP)이다. PrP는 우리들 모두가 가지고 있는 것으로 평상시에는 무해하다. 생체 내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는 밝혀지지 않았다.이 PrP의 ... ...
미의학계, 신종 바이러스 추적 비상
과학동아
l
1995년 03호
사람들이 급성 호흡기계 질환에 의해 돌연사망한 6건을 조사했으나 한탄바이러스나 다른
병원체
에 대한 테스트는 음성이었다. 환자는 설치류 등과의 접촉을 포함, 한탄바이러스 증후군의 전형적인 증상을 나타내고 있었다.이에 대해 CDC 한탄바이러스대책반의 책임자는 1993년 1월까지 ... ...
금잔화, 살충제 발산 해충 격퇴한다
과학동아
l
1995년 01호
같은 병원균을 옮길 수 없는 모기를 개발하여 대항하려 하고 있다.가령 말라리아
병원체
에 저항하는 유전자를 모기에서 찾아 이용하는 방법이나 말라리아 항원에 대해 항체를 만들어내는 포유류 면역체계 유전자를 모기에 넣어주어 모기의 유전자 구조를 바꿈으로써 모기가 그런 병을 매개하지 ... ...
컴퓨터 바이러스 새 치료법 개발
과학동아
l
1994년 12호
비유하면서 '생물학적 컴퓨터 면역 시스템'이란 것을 제안하고 있다.이 시스템은 자신이
병원체
를 찾아 내 파괴하는 인간 면역시스템의 놀라운 기능을 모방한다는 것이다. 이 소프트웨어에서 불가결한 요소는 대식 세포에 해당하는 것이다. 동물에서는 이 세포가 침입해오는 유기물을 잡아내 ... ...
1. 유성생식, 종족보존에 유리한가
과학동아
l
1994년 12호
많은 기생충이 달팽이를 핍박하면 할수록 성에 대한 동기는 더욱 커졌다.만약 세상에
병원체
가 없다면 많은 종들에게서 무성생식형 클론이 우세할 수 있었을 것이다. 그러나 병균이 창궐하는 세상에서는 유성생식형이 지배적이다. 유전자를 섞음으로써 성은 드문 인자형을 가진 다양한 후손을 ... ...
이전
17
18
19
20
21
22
23
24
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