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셈"(으)로 총 5,419건 검색되었습니다.
- ‘진짜 산학협력’ 해보고 싶다면.... 창원대로과학동아 l2023년 01호
- ‘냉동고에 성에가 많이 끼는데, 이 문제를 해결할 방법이 없을까. 냉동고 안쪽 벽에 얼음이 붙지 못하는 필름을 덮으면?’ 이상훈 창원대 스마트제조융합 ... 성공한 뒤 후배들에게 직접 교육을 하기도 한다. 진정한 의미에서 산학협동이 이뤄지는 셈이다.*이 기사는 창원대의 제작지원을 ... ...
- [SF영화로운 덕후생활] 아바타의 새로운 터전도 골디락스 존일까과학동아 l2023년 01호
- 흡수해 광합성을 하기 때문이죠. 식물의 입장에서 이산화탄소는 일종의 ‘먹거리’인 셈입니다. 이런 내용은 판도라의 울창한 열대우림과 일치하는 대목입니다. 하지만 베츠 박사는 식물의 빠른 성장이 생물의 다양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고 봤습니다. 식물 세계에서도 ‘부익부 빈익빈’ 현상이 ... ...
- [5년 후, 과학은]빛과 소리로 몸속을 샅샅이, 광음향 의료영상기술과학동아 l2023년 01호
- 때에는 동시에 광음향 영상도 촬영할 수 있습니다. 치료와 모니터링이 함께 이뤄지는 셈입니다.'광음향 영상기술 1등이 되려면 현재 광음향 영상기술은 매우 중요한 시점에 도달했습니다.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임상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관련 스타트업도 쏟아집니다. 하지만 광음향 영상기술을 ... ...
- [이달의 책] 공백과 예상을 뛰어넘는 한국의 판타지과학동아 l2023년 01호
- 크리처스 2 신라괴물해적전: 장인편 下곽재식·정은경 지음│안병현 그림 아르테│144쪽│1만 3000원 경주에 가서 분황사의 모전석탑을 마냥 바라본 날이 있었다. 돌을 깎아서 벽돌을 쌓은 ... 것이 바로 ‘꼰대’라고 말할 때 이 책은 물리학의 렌즈로 한국 사회의 입자를 관찰한 셈이다 ... ...
- [에디터노트] 처럼 되기를…수학동아 l2023년 01호
- 측면에서 보면 허 교수에게 은 인생 책, 히로나카 교수는 평생 은사인 셈입니다. 저는 2023년 가 독자 여러분께 허준이 교수님의 처럼 되길 바라며 개편 방향을 ‘사람 이야기’로 잡았습니다. 수학자는 물론 수학을 도구로 활용하는 여러 직업인의 이야기를 ... ...
- [이그노벨상] 똥과 오줌의 과학에 용감히 뛰어들다과학동아 l2023년 01호
- 나왔다. 사람의 배변 시 직장 압력이 약 0.15~0.26기압이니, 인간보다 2~4배의 힘을 더 주는 셈이다. 오줌 연구로 명성(?)을 얻은 양 교수의 다음 연구 주제도 똥이었다. 2019년 양 교수가 속해 있던 데이비드 후 조지아공대 교수의 연구팀은 웜뱃이 정육면체 똥을 누는 이유를 밝혀내 두 번째 이그노벨상을 ... ...
- [지웅배의 '최애 은하'] 우주를 헤엄치는 해파리의 정체과학동아 l2023년 01호
- 그 반대 방향으로 휘어져 있었다. 별 꼬리와 가스 물질 꼬리가 반대 방향을 향하는 셈이다. 이것은 램 압력이 별과 가스 물질에 작용하는 방식이 다르기 때문이다. 은하 속의 가스 물질은 단순히 램 압력에 밀려 그 뒤로 흘러나간다. 그런데 이때 밀려나간 가스 물질의 중력은 은하가 품고 있던 ... ...
- [뉴스&인터뷰] 형보다 나은 아우, 차세대 쇄빙연구선과학동아 l2023년 01호
- 2021년 6월의 일이었지만, 첫 논의는 아라온호가 운항을 시작하면서 거의 곧바로 시작된 셈이다. 그 이유는 바빠도 너무 바쁜 아라온호의 스케줄 때문이었다. 아라온호는 북극해와 남극해에서 연구를 진행할 뿐만 아니라, 남극에 있는 세종 과학기지와 장보고 과학기지에 물자를 보급하는 역할까지 ... ...
- [SF소설] 망자를 위한 땅은 없다과학동아 l2023년 01호
- 평 남짓한 땅을 살 수가 있었다. (물론 중간에 많이 날려 먹기는 했지만) 기회를 붙잡은 셈이었다.핍의 아버지에게는 작은 꿈이 있었다. 그는 돈을 많이 벌면 길이 1.7 미터짜리 모르고 디오라마를 제작하고 싶다고 했다. 그것은 아주 작은 미니어쳐들의 집합체로 아버지가 원하는 세상 그 자체였다. ... ...
- [특집] 2000년 전부터 열심히 그리는 중! 별지도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4호
- 별의 좌표를 기록하던 별 지도가 발견됐습니다. 프랑스 국립과학연구원의 빅토르 지셈버그 연구원은 인류 최초의 별 지도를 복원해 10월 18일 발표했지요. 2000년 전 하늘을 바라보고 별지도를 그리던 조상들과 같이 현대 인류 역시 우주 망원경을 띄워 별 지도를 그리고 있습니다. 2000년 역사를 관통해 ... ...
이전1718192021222324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