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잘못"(으)로 총 2,349건 검색되었습니다.
- [우주순찰대원 고딱지] 4화. 사라진 말캉 다이아몬드, 범인은 바로 삐뚤란?!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4호
- 눈빛에 넘어가지 않는다고.”“이 행성에 관해 알고 있었어요?”“당연하지. 여기서는 잘못 걸리면 귀찮은 부탁만 들어주게 된다고. 그래서 다들 여기를 싫어해. 결국, 나 혼자 일해야 하니 나도 귀찮아서 싫고.”“역시 그런 거였어…. 그럼 이제 임무는 어떡해요?”딱지가 묻자 프로보는 괴상한 ... ...
- [특집] 과학법정 열렸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4호
-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특집] 과학법정 열렸다!Part1. [과학법정] 인공지능의 잘못? 책임 공방전!Part2. [과학법정] 인공지능의 창작품, 주인을 찾아라!Part3. [과학법정] 왜 내 데이터로 기업만 돈을 버나요?Part4. [과학법정] 우주 자원, 소유권 전쟁! ★ 도움 및 사진최경진(가천대학교 법과대학 ... ...
- [과학법정] 인공지능의 잘못? 책임 공방전!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4호
- 것”이라고 했어요. 인공지능에게 법인격을 주면 무엇이 달라질까요? 성인이 저지른 잘못은 부모가 아닌 성인 스스로 책임을 지듯, 인공지능도 독자적으로 재산을 관리하고, 손해에 대해 보상하는 등 스스로 책임을 지게 돼요. 하지만 이는 제조·개발사가 결함이나 문제에 대해서 책임을 ... ...
- [에디터 노트] 식물과 다양성과학동아 l2021년 04호
- 모든 희망을 버려라’라는 문구 앞에서도 떳떳했습니다.하지만 문을 통과하자마자 뭔가 잘못됐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나무가 초록 잎을 떨며 말했습니다. “학살자!” 파인애플 열매가 얼굴을 붉게 물들이며 외쳤습니다. “도살자!”금세 의미를 깨달았습니다. 그의 자연에는 식물이 빠져 ... ...
- [SF 소설] 미래에게 가르치다과학동아 l2021년 04호
- 사는 터라 이모며 고모도 부탁하기 어려운데, 외할머니라니. 나는 순간 엄마가 말을 잘못 한 줄 알았다. 그도 그럴 것이, 우리 외할머니는 85세까지 사시다가 3년 전에 돌아가셨으니까. 심령사진도 포함이 되나? 아니, 이런 걱정을 할 때가 아니었다. 나는 집으로 와서 엄마에게 전화를 다시 걸었다 ... ...
- [2021 소미더뭐니] 최고의 흰 소는?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쓰인 수의학책에도 남아 있어요. 그런데 일제강점기를 거치며 백우는 나쁜 잡종 소라고 잘못 알려지며 대부분 사라졌지요.국립축산과학원 가축유전자원센터에서는 2009년부터 복제 기술을 활용해 백우의 멸종위기를 극복하고자 노력했어요. 그리고 지난 2013년 백우 복제에 성공했지요. ... ...
- AI 치우침을 가르치다과학동아 l2021년 03호
- 발언을 학습하도록 유도한 것이다. 그 결과 ‘홀로코스트는 조작됐다’ ‘히틀러는 잘못이 없었다’ ‘페미니스트는 지옥에서 불타 죽어야 한다’ 등의 혐오 발언을 쏟아냈다. 이내 서비스는 중단됐다. 이 사건의 원인으로는 AI가 자신의 발언에 대한 도덕적 판단 없이, 학습한 대로 내뱉는 기술적 ... ...
- [이슈] 헷갈리는 꼭짓점의 정의, 각뿔의 꼭짓점은 하나라고?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3호
- ‘각뿔의 꼭짓점’과 ‘꼭짓점’은 정의가 다른데 용어가 비슷해 최은혜 기자가 문제를 잘못 이해한 걸로 밝혀졌어요.각뿔에서 모서리와 모서리가 만나는 점을 ‘꼭짓점’이라고 해요. 꼭짓점 중에서도 옆면이 모두 만나는 점이 ‘각뿔의 꼭짓점’이에요. 각뿔에서 밑면에 있지 않은 ... ...
- 이루다의 이루다 만 꿈, 대화형 AI의 미래는?수학동아 l2021년 03호
- 가능한 AI’를 적용하면, 대화형 AI가 답변을 결정한 이유를 확인하고 알고리듬에서 잘못된 부분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AI 안에 설명을 위한 네트워크를 추가해 결정에 영향을 미친 요소들을 그래프로 그려 보여주는 방식이 있습니다. 이 방식을 이용하면 데이터를 분석하는 AI의 다양한 ... ...
- 태양계 옆집엔 이웃이 살까요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있다고 주장했습니다.하지만 연구가 발표되고 한 달이 채 지나지 않아 분석 결과가 잘못됐다는 논문이 나왔습니다. doi: 10.1051/0004-6361/202039717 포스핀을 발견한 그리브스 교수팀은 제임스 클러크 맥스웰 천문대(JCMT)와 아타카마 대형 밀리미터 집합체(ALMA)에 감지된 파장을 분석했는데, 반박 논문을 낸 ... ...
이전1718192021222324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