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증명"(으)로 총 2,786건 검색되었습니다.
- 확률론 방식으로 통계물리의 모형 연구수학동아 l2022년 08호
- 취리히연방공과대학교 교수에 의해 5차원 이상의 경우는 증명됐지만, 4차원에서의 증명은 지난 30여 년간 해결되지 않은 난제였습니다. 2020년 뒤미닐-코팽 교수는 에이즌먼 교수와 함께 4차원 문제를 해결했습니다. 교육자로서의 뒤미닐-코팽 교수 뒤미닐-코팽 교수는 뛰어난 연구 성과와 더불어 ... ...
- [김영훈 교수가 들려주는 허준이 교수 업적] 벡터 공간까지 범위를 넓히다! 로타의 추측수학동아 l2022년 08호
- 벡터 공간까지 범위를 넓히다! 로타의 추측 놀랍게도 연관성이 없어 보이는 다른 조합론 문제에서도 로그-오목이 나타납니다. 유한 차원 벡터 공간에 영벡터가 아닌 유 ... 여기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사영다양체를 거치지 않고도 특성 다항식의 계수들이 로그-오목이 됨을 증명했습니다. ... ...
- 수학 선진국으로의 도약! 앞으로 한국 수학은?수학동아 l2022년 08호
- 우리나라가 수학 선진국 대열에 올라섰다는 것을 증명하는 두 사건이 일어났습니다. 하나는 국제수학연맹(IMU)의 국가별 그룹에서 최상위인 5그룹 승격, 다른 하나는 허준이 교수의 필즈상 수상입니다. 이를 기념해 우리나라 수학의 과거, 현재, 미래를 짚어 봤습니다! 우리나라 근대 수학의 역사는 ... ...
- 주목! 한국 수학계를 이끌 차세대 수학자는?수학동아 l2022년 08호
- 리찌 흐름의 안정된 특이점을 분류해야 합니다. 최 교수는 2018, 2019년에 본인이 일부 증명한 3차원의 결과를 바탕으로 4차원에서 안정된 특이점 분류 연구에 매진하고 있습니다. 연구 분야 : 수리물리학, 기하위상수학수상 : 젊은수학자상(2016) 서로 다른 수학 분야를 연결하는 것이 최근 수학 ... ...
- 소수의 비밀에 다가가는 연구로 성과수학동아 l2022년 08호
- Wow)’를 외치며 장 교수의 증명에 대해 놀라워 했던 것이 기억납니다. 이처럼 장 교수의 증명은 경이로운 것이었습니다. 이처럼 경이로운 업적의 연장선으로 메이나드 교수는 연속한 두 소수의 간격을 600으로, 그리고 ‘폴리매스 프로젝트’를 통해 246으로 개선했습니다. 여전히 최종 목적인 ‘ ... ...
- [필즈상 인터뷰 ➍] 위고 뒤미닐-코팽 교수 “확률은 복잡한 우리 세계를 이해하는 도구예요”수학동아 l2022년 08호
- 훌륭한 결과를 낼 수 있는 최고의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뒤미닐-코팽 교수는 어떤 증명을 할 때 집착이라고 할 수 있을 정도로 직감을 믿는 편이에요. 해요. 직감은 아무 곳으로도 연결되지 않을 수도 있지만 때로는 올바른 길로 안내할 때가 있대요. 그의 대학원 지도교수인 스타니슬라프 ... ...
- [킹앤카] 소수의 아름다움을 연구한다 테렌스 타오수학동아 l2022년 08호
- 이처럼 항의 개수가 몇 개이든 즉, 임의의 항의 개수에 대해 소수 등차수열이 존재함을 증명한 것이 그린-타오 정리랍니다. 이와 같이 정수와 소수를 연구하는 정수론은 오랜 기간 별로 실용적이지 않은 분야로 여겨져 왔어요. 그런데 컴퓨터가 발달하면서 실용성이 입증돼 최근에는 활발하게 ... ...
- [주니어 폴리매스] 폴리매스 어셈블!수학동아 l2022년 08호
- ‘폴리매스 회원이여 모여라!’국제수학올림피아드(IMO) 출신 대학생 멘토 6명이 내는 폴리매스 어셈블 문제! 이번 필즈상 특별호 에서는 2022 ... 관한 여러 난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되길 바라며, 소수에 관한 유명한 정리 하나를 증명해 보려고 해요. 문제를 순서대로 차근차근 풀어 보세요 ... ...
- [수학자 가상인터뷰] 편견을 뛰어넘은 여성 수학자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8호
- 00보다 작은 모든 소피 제르맹 소수에 관해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가 성립한다는 것을 증명했지요. 과학 아카데미 모임에 여성 최초로 참석하기도 했고요. 앞으로는 여성 수학자의 노력과 재능을 인정해주는 시대가 오길 바라요 ... ...
- 조합론 난제를 대수기하학 도구로 해결수학동아 l2022년 08호
- 대수기하학의 이론이 조합수학에서 어떻게 대응할지 상상하며 좋은 추측을 만들고 증명해 나가는 작업을 진행하면서 ‘조합적 호지 이론’이라는 새로운 분야를 개척하고 다른 연구자들을 이끌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좋은 연구를 하기를 기대합니다 ... ...
이전1718192021222324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