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역"(으)로 총 6,494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획] UFO? 아닙니다. 과학 임무 중인 풍선입니다과학동아 l2023년 04호
- 드문 광활한 평야나 사막지대가 필요하다. 그런데 우리나라는 산악지형과 인구 밀집 지역이 많고, 국토가 작아 대부분의 영공이 항공로로 편성돼 있다. 지형적 한계를 극복할 만큼 국내에서 과학기구에 대한 수요가 확실하지 않은 것도 또 다른 이유다. 일본의 경우엔 홋카이도 동쪽 끝에 과학기구 ... ...
- [SF영화로운 덕후생활] 디즈니+ 오리지널 시리즈 ‘만달로리안’ 처음 등장하는 만달로어 행성은 어떤 모습일까과학동아 l2023년 04호
- 천체가 있다고 해보겠습니다. 그렇다면 어떤 지역은 낮이 계속되고, 반대 쪽에 위치한 지역은 밤이 계속되겠죠. 달의 하루 주기는 무려 29.5일입니다. 또는 지구처럼 자전과 공전 주기가 똑같지 않다면, 하루 주기는 자전 주기가 짧거나 공전 주기가 길수록 짧아집니다. 자전 주기가 짧은 행성은 ... ...
- [논문탐독] 녹조라떼, 머신러닝이 해결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23년 04호
- 연구도 함께 이뤄져야합니다. 의암호는 수도권 상수원인 팔당호로 유입돼 이 지역의 식수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인근 주민들의 귀한 휴식 장소이기도 합니다. 시선을 돌려보면 독자 여러분의 주변에서도 작은 시냇물부터 커다란 호수까지 정말 다양한 형태의 담수를 만날 수 있습니다. 매일 ... ...
- [인터뷰] 우리나라 수학 역사를 그대로 담다! 보물 창고 만든 '김영구 수집가'수학동아 l2023년 04호
- 썼는지 알기도 힘들지요. 또 800평 가량의 산지를 사서 수학 박물관을 설립하려고 했는데 지역 주민의 반대로 무산된 적도 있었어요. 지방자치단체에 문의했지만 큰 관심이 없었고요. 그러다 보니 지금은 조금 지쳤어요. Q. 어떤 바람이 있을까요?이 책들의 가치를 알아주는 곳이 생겼으면 ... ...
- [킹앤카] 벚나무가 가장 많은 지역은?수학동아 l2023년 04호
- 여러분에게 꼭 필요한 수학 개념을 누구보다 잘 알고, 그에 맞는 문제를 내 줄 사람은 과연 누구일까요? 바로 얼마 전까지 여러분과 같은 고민을 했던 대학생 선배일 겁니다. 2023년 킹앤카에서는 KAIST 수학 문제 연구회(수문연) 회원 안녕하세요. KAIST 수리과학과 2학년이자 수문연에서 킹앤카를 ... ...
- [지구사랑탐사대 X SK하이닉스] 내가 만든 데이터가 생물을 지킨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4호
- 영향을 받는 기상요인이 달라 각 매미종의 관측 시간과 관측 기간, 분포를 통해 해당 지역과 우리나라 전체의 기후 변화를 예측해 볼 수 있겠다 싶었어요. Q. 처음 지사탐 데이터를 받아 보셨을 때 어떠셨나요?데이터양이 풍부하고 퀄리티도 높아 좋았어요. 분석하기 마땅한 데이터가 없는 경우가 ... ...
- [뉴스&인터뷰] 드릴처럼 땅속 파고든다, 씨앗 심어주는 종자 운반체과학동아 l2023년 04호
- 드론이나 헬리콥터 등을 사용해 씨앗을 뿌리는 방법이다. 사람이 접근하기 힘든 지역에 씨앗을 넓고 빠르게 뿌릴 수 있어 농업이나 화재 후 산림 복원 등에 사용된다. 그러나 씨앗을 공중에서 뿌리면 땅에 묻히지 않고 강한 햇빛과 바람, 씨앗을 먹는 새에 노출돼 발아율이 낮다는 단점이 있다. 이를 ... ...
- 사람 같은 생성형 AI는 언제? MIT-IBM 왓슨 AI 연구소에 묻다과학동아 l2023년 04호
- 3 연구소 소속 MIT 교수진과 학생들, IBM 연구진들.4 미디어 투어에 온 아시아 태평양 지역 기자들과 인터뷰 중인 연구원. “사람 같은 AI는 2050년 이후에나” 요즘 우리 모두가 느끼는 것처럼 생성형 AI 기술은 매우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필자가 방문한 IBM 외에도 마이크로소프트(MS), 구글, ... ...
- [이달의 책] 경쾌하게 반박한 동물에 관한 속설들과학동아 l2023년 04호
- 이곳에 수많은 사람의 발길이 이어졌다. 이 성공을 바탕으로 826 내셔널은 글쓰기 센터와 지역에 맞는 상점을 함께 운영하며 미국을 넘어 전 세계로 확장됐다. 어린 이용자들의 넘치는 에너지를 공간이 간신히 견디는 듯한 평범한 글쓰기 센터나 도서관과 달리, 이 책 속 장소들은 진심을 다해 ... ...
- [기획] 미래일기 60여 년 뒤, 한반도의 겨울은?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3호
- 시달려야 했다. 또한 제주도와 같은 남쪽은 이미 겨울이 없어지고 중부지방과 산간 지역 정도에만 한두 달 남짓한 겨울이 남아 있을 뿐이다. 더욱이 겨울이면 생각나는 어마어마한 한파는 과거에 비해 그 맹위가 약해져 지금은 한파일수가 과거의 반 정도 밖에 되지 않아 일년에 겨우 하루 이틀 ... ...
이전1718192021222324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