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농업
농경
영농
농예
농법
농사일
농산업
어린이과학동아
"
농사
"(으)로 총 230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우주에서 키우는 싱싱한 채소
어린이과학동아
l
20140429
우주에서도 채소를 키울 수 있을까요? 조만간 ISS(국제우주정거장)에서도
농사
를 지을 수 있을 예정이에요. ISS에서 우주를 관찰하고 여러 실험을 하고 있는 우주인들은 채소를 먹기가 쉽지 않아요. 채소를 갖고 간다 하더라도 금세 상해버리거든요. [본 기사는 어린이과학동아 9호(2014년5월1일 발행)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월화수목금토일" 속에 숨겨진 비밀 1주일이 7일인 이유와 달력의 '일월화수목금토'의 순서가 태양계와 다른 이유
기사
l
20140414
지금으로부터 약 4천년전 '바빌로니아' (지금의 중동지방)라는 나라에는 '나일강'이 있었습니다. 그 강주변에서 사람들이
농사
를 짓고 살았는데 해마다 우기에 비가 많이 오면 빗물이 모아져 흘러 내려와 나일강의 끝부분인 하류쪽 강물이 넘쳐 주변을 덮치곤 했습니다. 이렇게 나일강이 넘칠 때쯤이면 꼭 동쪽 밤하늘에 '시리우스'라는 별이 '정 ...
초나라와 한나라싸워서 초나라 졌을때 초나라 전지역에 이 풀이 많이 피었대요..
탐사기록
l
20140402
초나라와 한나라싸워서 초나라 졌을때 초나라 전지역에 이 풀이 많이 피었대요...그래서 이름이 망초입니다 이풀이 자라면
농사
를 망친다고 합니다 앞에사진이 망초입니다 그리고 그보다 더
농사
에 방해되는게 그다음사진의 개망초입니다..아파트 화단에서 많이 찾아보세요 ...
우리 마을을 소개합니다 우리 마을에 있는 대표적인 공원 Best 3!!
기사
l
20140228
생태 공원 그 주위에는 또다른 공원인 생태공원(5단지~6단지 사이)도 있는데요 그곳도 오랜 역사를 간직하고 있기도 하고 아직도 벼
농사
또는 목화를 심기도 합니다. 목화를 심기도 하는데요. 목화 재배철이 되면 목화 주인님들이 목화 몇개를 가져가도록 해 주신답니다. 또는 앞에 땅이 있어서 저희 학교에서는 학교 수업 중에 모종이나 씨앗을 심고 ...
판타스틱! 2009 첨단 농업 쇼(1)
어린이과학동아
l
20091013
시간을 계산해, 식물의 생장 과정에 알맞은 파장과 세기, 간격으로 빛을 쪼여 준답니다." 김상철(농업진흥청 생산자동화기계과)
농사
짓는 로봇 출동! 그렇다면 일손이 부족할 때는? 걱정 마세요. 로봇 농민이 출동합니다~! 로봇 농민들은 혼자서 모내기와 접붙이기를 하고, 딸기를 수확할 수도 있어요. 로봇이 아니라 기계라고요? 그런 섭섭한 말씀을! 기 ...
쏴아아아~ 강이 거꾸로 흐른다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081111
소리를 친다. “와~, 사건도 해결됐으니 우리 철새 보러 가요. 겨울 철새들이 강에 몰려와서 장관을 이룬다구요!” “닥터고글, 겨울은
농사
일이 적어서 내가 시간이 많아. 그러니 이 곳에서 사람들에게 거꾸로 흐르는 강과 철새 떼를 보여 주며 관광 사업을 해 보는 건 어떻겠소? 내가 지은 햅쌀 밥은 실컷 먹여 주리다!” “아하하…, 저…, 저는 겨 ...
아기돼지 삼형제의 첨단빌딩 프로젝트(1)
어린이과학동아
l
20080813
농작물을 기를 수 있는 지하농장이 있어. 지하에는 햇빛이 들지 않아 식물이 자랄 수 없을 것 같지만 인공 광원을 이용해 1년 내내
농사
를 짓고 작물을 재배할 수 있단다. 계절에 상관없이 어느 때라도 모내기와 추수가 가능해 식량 문제도 어느 정도 해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농촌을 잘 모르는 학생들에게 좋은 체험 장소가 되고 있지. 그런데 첨단 ...
바닷물로
농사
를 짓겠다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080514
지을 수 있다고 믿는 것일까? [소제시작]사건 분석 1 바닷물로는 식물을 키울 수 없다?[소제끝] “므울 달라 씨라고 하셨죠? 바닷물로
농사
를 짓는다는 것은 말이 안 돼요. 바닷물은 염분 농도가 3.5%예요. 생물의 몸 안에 있는 물보다 훨씬 진하기 때문에 식물이 시들어 버린답니다.” 이장님이 연신 고개를 끄덕거린다. “아암, 그렇지. 그렇지. ...
거대 동물 멸종 미스터리(2)
어린이과학동아
l
20080313
있어요. 하지만 이건 사실이 아니랍니다. 인간은 매머드를 가축으로 이용하지 않았어요. 10000BC 경 사람들은 정착 생활을 시작하면서
농사
를 짓기 시작하고 동물들을 직접 기르기 시작했어요. 개도 이 시기에 가축화된 것으로 알려져 있죠. 하지만 매머드는 큰 몸집 때문에 사람이 기르기에는 부적합했답니다 ... ...
떡 속의 쫄깃쫄깃한 과학
어린이과학동아
l
20080131
먹나요? 한 해를 시작하는 명절인 설날에는 가래떡처럼 길게 오래 살라는 의미로 가래떡을 먹어요. 추석에는 한 해 동안 열심히
농사
를 지어 거둬들인 햅쌀과 햇곡식을 이용해 송편을 빚어 먹는답니다. 넷, 설탕이 없던 옛날엔 어떻게 꿀떡을 만들었나요? 설탕이 없던 과거에도 단맛을 내는 조청이라는 것이 있었어요. 조청은 엿기름을 이용해 쌀의 녹말을 당 ...
이전
17
18
19
20
21
22
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