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보정"(으)로 총 345건 검색되었습니다.
- [영상+]주요 관계자들이 말하는 천리안2B호 발사 성공 의미동아사이언스 l2020.02.19
- 기능을 갖추고 있기 때문에 동남아나 호주 등과 협력해서 영상도 공유하고 데이터를 보정받을 부분은 받을 예정이다. 장기적으로는 미국이나 유럽과도 협력을 할 계획이다. 천리안2B호 발사 영상 보러가기 https://youtu.be/rl5XKQK ... ...
- 천리안 2A, 2B 발사로 대기·해양 환경 동영상처럼 관측…여러 센서 활용한 융복합 연구 시도도동아사이언스 l2020.02.19
- 기능을 갖추고 있기 때문에 동남아나 호주 등과 협력해서 영상도 공유하고 데이터를 보정받을 부분은 받을 예정”이라며 “장기적으로는 미국이나 유럽과도 협력을 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쌍둥이 위성을 정지궤도에 둔 만큼 여러 종류의 센서를 동시에 활용해 전에 없던 새로운 융복합 임무를 ... ...
- 천리안2B호 발사 성공…’동영상’ 관측으로 대기·해양 환경 감시 역량 높인다(종합)동아사이언스 l2020.02.19
- 전력분배장치 등 핵심부품을 국산화했다. 비행 소프트웨어와 관측영상기하보정시스템 등 소프트웨어도 독자 개발했다. 이렇게 확보된 정지궤도 국산화 플랫폼은 향후 공공 또는 민간에서 국내 정지궤도 임무위성을 개발할 때 기본 플랫폼으로 활용할 예정이다. 졍병선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 ... ...
- [프리미엄리포트]19일 우주로 향하는 '천리안2B호‘과학동아 l2020.02.15
- 갱신해줘야 한다”고 설명했다. 데이터의 정확성을 보장받기 위해 필수적인 검정 및 보정 과정인 것이다. 그리고 이때 해양탑재체가 태양을 직접 관측하면 내부 장비가 타버릴 수 있다. 그래서 뚜껑 모양의 캘리브레이션이라는 장치를 회전시켜 감쇠 필터를 씌워주는 등의 기능이 필요한데, 이를 ... ...
- 30년 전 우주에서 포착된 '창백한 푸른 점'동아사이언스 l2020.02.14
- 이달 12일 창백한 푸른 점 사진 촬영 30주년을 맞아 최신 영상처리 기술을 활용해 사진을 보정한 ‘리마스터링’ 버전을 내놨다. 보이저 1호 임무에 참여했던 칼 세이건은 지구를 촬영하자는 아이디어를 냈고 먼 우주에서 촬영한 작디 작은 지구의 사진을 얻을 수 있었다. 이 사진은 보이저 1호가 ... ...
- [의학게시판] 한국화이자, 국제백신연구소에 후원금 전달 外동아사이언스 l2020.01.20
- 도입했다. 새로 도입된 기종은 4세대 다빈치Xi로 최소 절개 및 고화질 3D 영상, 손 떨림 보정을 통해 더 정교한 수술이 가능하다. 강남세브란스병원은 이번 추가 도입으로 2대의 로봇수술기를 운영한다. ■ 한림대강남성심병원이 ‘We路(위로)캠페인'의 일환으로 15일 소외된 이웃들에게 ‘사랑의 쌀 ... ...
- "우유, 매일 1잔 이상 마시면 유방암 위험 최대 42%↓"연합뉴스 l2020.01.08
- 영향을 미치는 출산력, 첫출산 나이, 초경 나이 등 여성력과 사회인구학적 변수는 모두 보정했다. 그 결과, 50세 미만 여성의 경우 우유를 하루에 1컵(200㎖) 이상 마시는 그룹(6천261명)의 유방암 발생 위험이 일주일에 1컵 미만으로 마시는 그룹(1만2천464명)에 견줘 42% 낮았다. 매일은 아니지만, ... ...
- "노벨상 받은 우주가속팽창 연구, 잘못된 가정에서 출발했다"동아사이언스 l2020.01.07
- 1a 형 초신성을 '표준 촛불'로 삼는 연구에서 초신성의 밝기를 표준화하기 위한 일종의 보정 과정을 거치는데, 적색편이가 큰 먼우주에서 관측되는 초신성에서 이 과정이 과도하게 이뤄져 표준화 뒤 오히려 0.25등급 정도 어두워지는 결과를 낳았다는 것이다. 똑같은 밝기를 가진 등불이 더 어둡게 ... ...
- QR코드에 산업재산권 정보 다 담긴다동아사이언스 l2019.12.27
- 제품의 산업재산권 등록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최우수상으로 선정된 등록마크는 보정작업을 거친 뒤 내년 하반기부터 제품과 홍보자료에 활용될 예정이다. 산업재산권을 보유한 기업은 내년 상반기 중 구축될 ‘아이디어 거래 온라인 플랫폼’에 접속해 산업재산권 등록마크를 무료로 ... ...
- [사이언스N사피엔스]뉴턴이 있으라 하시매2019.12.26
- 질량이 클수록 카메라가 덜 움직이기 때문이다. 물론 요즘에는 스마트폰에 손 떨림 보정기능들이 다 들어 있기는 하다. 야구에서 포수가 3루 주자의 홈 쇄도를 블로킹으로 저지할 때 주자의 몸무게가 클수록 저지하기 더 힘들 것이다. 질량이 클수록 같은 힘으로는 속도의 변화를 주기 어렵기 ... ...
이전1718192021222324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