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어둠
컴컴함
암흑계
불투명체
야음
어두움
검음
뉴스
"
암흑
"(으)로 총 317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 3대 난제를 풀어라” 물리학자 1200명 서울서 머리 맞대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7.06
힉스 입자도 한 개가 아니라 여럿이다. 중력을 전달하는 입자를 포함시키기도 한다.
암흑
물질이나 초대칭이론을 실험으로 직접 검증하려면 오랜 시간이 필요하다. 우주 초기처럼 굉장히 높은 에너지(고에너지) 상태에서만 관측이 가능한 것도 있어서다. LHC같이 현존하는 가장 강력한 ... ...
한국에서 물리학 최신 성과 1100개 발표된다...
암흑
물질, 표준모형 등
동아사이언스
l
2018.07.04
강연을 비롯해 30여개의 기조강연이 열린다. 마이클 터너 미국 시카고대 석좌교수는 ‘
암흑
에너지’를 소재로, 삼성전자 심은수 전무가 삼성의 인공지능(AI)기술에 대해 발표할 예정이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잃어버린 물질을 찾아서
2018.07.03
같은 관측을 토대로 추측한 양의 60% 수준이기 때문이다. (중력으로 존재를 알 수 있는
암흑
물질은 광자와 상호작용을 하지 않는 비가시(非可視) 물질이다.) 그렇다면 가시 물질의 나머지 40%는 어디에 있는 것일까. 은하간공간 텅 빈 건 아냐 학술지 ‘네이처’ 6월 21일자에는 우리가 ... ...
월드컵보다 기대되는 입자물리학계 축제, ‘아이챕’ 7월 한국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5.17
둘째 날은 반물질과 힉스입자등 우주의 초장기에 대한 내용, 셋째 날은
암흑
물질과
암흑
에너지에 대한 발표들이 이어진다”고 말했다. 그는 “한국 입자 물리의 역사는 이제 30년이다. 해외의존형 연구를 벗어나,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의 뮤온입자 검출기 제작에 기여하는 등 약 8년 전부터 ... ...
‘백두산 과학기지’에서 분화 모니터링 한다
과학동아
l
2018.04.27
성층권까지 올라갔다가 함경도 쪽으로 향한다. 약 300만 명의 함경도 주민은 전기가 끊긴
암흑
속에서 살게 된다. 국제 사회에서 고립된 북한이 견디기 어려운 수준의 재난 상황에 처하게 되는 셈이다. 남북 과학기술협력이 백두산에서 이뤄질 가능성이 높은 이유다. 이윤수 한국지질자원연구원 ... ...
암흑
물질 거의 없는 은하 첫 발견… 우주론 뒤집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8.03.30
존재한다면
암흑
물질이 부족한 은하도 존재해야 한다’고 주장해 왔다”며 “
암흑
물질이 부족한 은하를 발견했으니 수정뉴턴역학의 가정은 틀린 셈”이라고 주장했다. 다만 오 연구원은 “은하의 회전속도가 아닌 내부 천체의 시선속도로 총 질량을 추산한 것은 간접적인 방법이기 때문에 연구 ... ...
우주가 그린 수채화는 어떤 모습일까
동아사이언스
l
2018.03.23
www.kasi.re.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대상 ‘우주 수채화’ 전영준作 - 은하수 방향으로
암흑
대 먼지와 함께 안타레스 주변부의 성단과 성운이 길게 뻗어 있다. 강원도 홍천군 공작산 등산로 입구에서 촬영했다. 심우주 분야 금상 ‘부자은하’ 정병준作 - 북쪽하늘 사냥개자리에 있는 M51 부자은하. ... ...
빅뱅의 순간으로 시간여행, 우주 최초의 별을 찾아라
동아사이언스
l
2018.03.17
big bang) 우주론에 따르면 138억년 전 탄생한 우주는 아직 검증되지 않은 급팽창 거친뒤 긴
암흑
시대(dark ages)에 접어들었다. 그로부터 약 1억년 뒤 우주의 새벽(cosmic dawn)을 깨운 최초의 별이 생겼을 것으로 설명되고 있다. 최초의 별을 찾기 위해 인류는 우주로 꾸준히 더 성능 좋은 망원경을 쏘아 ... ...
[全기자의 영화 속 로봇⑤]사이보그 몸 입은 인간의 고뇌… ‘로보캅’
동아사이언스
l
2018.03.08
경우가 자주 등장한다. 로봇과 인간의 싸움, 로봇이 인간을 지배하려고 드는 디스토피아 (
암흑
사회)도 로봇 영화의 단골 소재다. 하지만 주인공의 ‘정체성’이 갈등의 핵심으로 부각되는 경우도 의외로 많다. 발전된 생체공학기술 때문에 인간과 로봇의 구분이 모호해지는 것이다. 완벽한 한 ... ...
빅뱅 후 2억년, ‘우주의 새벽’ 단서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8.03.01
받아들여진 초기 물질 생성 과정 가설은 초기 우주에 있던 일반물질인 중립자(베리온)가
암흑
물질과 상호작용을 통해 에너지를 뺏겼다고 보고 있다. 이때 빼앗긴 에너지의 양이 생각했던 것보다 컸을 수 있기 때문에 온도가 지금 생각보다 두배 이상 차가웠을 것이라는 설명이다. 그는 이어 “그 ... ...
이전
17
18
19
20
21
22
23
24
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