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위
뉴스
"
인공적임
"(으)로 총 391건 검색되었습니다.
[뉴스페이스&뉴디펜스]우주 모빌리티와 새로운 우주무기의 가능성
2020.03.30
박종원 스타버스트 에어로스페이스 부사장. 동아사이언스 한국에선 아직 다소 낯선 표현이지만 '뉴스페이스와 뉴디펜스'라는 주제로 이달부터 매달 글을 쓰게 됐다. '뉴스페이스'는 우주 항공 산업의 전통적인 진입 장벽을 낮추고 우주에서 더 고품질의 데이타를 저렴하게 수집하며 이를 통해 과학 ... ...
[IBS 코로나19 리포트]바이러스로 코로나바이러스를 잡는다
2020.03.23
유전자 가위로 코로나바이러스-19 증식 차단 연구 코로나-19(COVID-19) 확진자가 현재 10만 명을 넘어섰다. 무섭게 증식하면서 감염자를 늘리고 있는 코로나바이러스-19(SARS-CoV-2 또는 2019-nCoV)는 RNA(리보핵산) 계통의 바이러스다. 숙주의 세포에 자신의 RNA를 주입한 후 바이러스의 RNA를 복제하는 RNA 중합 ... ...
[사이언스N사피엔스] 금 대신 약을 만든 파라켈수스, 연금술의 새 장 열다
2020.03.05
픽사베이 제공 연금술이라고 하면 흔히 중세와 중세의 연금술사가 떠오른다. 하지만 연금술 연원은 그보다 훨씬 오래됐다. 고대 이집트나 메소포타미아, 바빌로니아의 야금술에까지 연줄이 닿는다. 야금술이란 광석에서 금속을 뽑아내는 기술이다. 바빌로니아의 야금술은 기원전 13세기까지 거슬 ... ...
中연구진 "코로나19 감염력 사스의 1000배"…에이즈·에볼라와 닮아
동아사이언스
l
2020.02.27
코로나19가 에이즈를 일으키는 HIV와 에볼라바이러스와 닮은 유전자가 있어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사스)보다 전염력이 1000배나 크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코로나19 3D 이미지. Felix Donghwi Son. Felixvis 제공 중국에서 시작해 한국과 일본, 이탈리아, 이란으로 급속히 확산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 ...
"신종 코로나, 고의적으로 만들었나" 의사SNS 달군 印논문 …전문가들 "가능성 희박"
2020.02.03
바이오아카이브 화면 캡처 중국 우한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가 인공적으로 만들어졌을 가능성이 있다는 소문이 일부 소셜네크워크서비스(SNS)를 타고 확산하고 있다. 중국의 한 연구소에서 생물무기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를 개발했으며 알 수 없는 이유로 유출되면서 규모 확산사태로 번졌다는 ... ...
작았던 천연기념물 애벌레, 과학관에서 성체로 탈바꿈
동아사이언스
l
2019.12.15
국립과천과학관이 천연기념물 218호이자 멸종위기 야생동물 1급인 장수하늘소 애벌레를 성체로 키우는 데 성공했다. 왼쪽은 아직 애벌레 상태이던 9월의 모습이고, 오늘쪽은 성체로 자란 수컷의 지난 11일 모습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천연기념물 218호이자 멸종위기 곤충인 장수하늘소 애벌 ... ...
0.5nm 초박막 다이아몬드 제작 기술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2.10
새롭게 개발된 초박형 다이아몬드(F-다이아메인)의 구조를 묘사했다. IBS 제공 세상에서 가장 얇은 다이아몬드를 인공적으로 만드는 데 성공했다. 두께가 탄소 원자 두 개와 불소 원자 두 개를 쌓은 높이에 불과하다. 우수한 전기적 특성을 지니면서 강한 새로운 소재 개발 가능성을 열었다는 평가다. ... ...
한강 '리튬'에 무방비 노출…폐배터리·치료약 성분 원인 추정
동아사이언스
l
2019.12.04
한강이 경금속 리튬에 무방비로 노출됐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류종식 부경대 지구환경과학부 교수 연구팀은 한강의 리튬 농도를 측정한 결과를 이달 4일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에 발표했다. 연구팀이 측정한 수계의 모습이다.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제공 국민 절반이 마시는 식수 ... ...
핵융합 난제 플라스마 불안정성, 외부 자기장 쪼여 해결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9.30
핵융합의 플라스마 불안정성을 높일 기술을 서울대 공대 나용수 교수와 양성무 미국 플린스턴플라스마물리연구소 연구원팀이 해결했다. 서울대 공대 제공 국내 연구팀이 핵융합 구현의 가장 큰 난제 중 하나로 꼽히는 플라스마의 가속을 안정화시킬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플라스마의 불안정성 ... ...
한미 공동연구팀, 태양 코로나 온도·속도 동시 측정 첫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19.09.19
한국과 미국 국제연구팀이 함께 개발한 태양 코로나그래프 기술의 모습이다. 이 장비를 가지고 태양 대기의 가장 바깥층을 뜻하는 ‘코로나’의 온도와 속도를 동시로 측정하는데 성공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태양의 바깥층을 이루는 코로나 온도는 과학계의 난제로 꼽힌다. 코로나는 태 ... ...
이전
17
18
19
20
21
22
23
24
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