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복사
군사
병사
베끼기
필사
등사
카피
뉴스
"
전사
"(으)로 총 543건 검색되었습니다.
코로나19 감염 폐 손상 일으키는 면역반응 특성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8.04
연구결과는 코로나19 환자의 폐가 경험하게 되는 선천 면역반응을 단일세포
전사
체라는 오믹스 데이터를 이용해 다각적으로 분석했다“며 ”바이러스 감염 시에 발생하는 대식세포 면역반응의 이중성을 이해하는 중요한 자료ˮ라고 설명했다. 이 이사가 속한 지놈인사이트는 유전체 정밀분석 전문 ... ...
[IBS 코로나19 리포트 시즌2] 인체는 코로나19에 어떤 면역반응을 나타내나
2021.08.03
확보한 혈액 샘플에서 면역을 담당하는 백혈구 세포를 분리해냈다. 이후 ‘단일세포
전사
체 분석기법’을 활용해 각 면역세포의 유전자 발현 특성을 개별 세포 단위에서 분석했다. 이를 토대로, 코로나19 중증 및 경증 환자의 혈액을 다른 호흡기 바이러스 질환인 중증 독감(인플루엔자) 환자의 ... ...
[과기원은 지금] 박현규 KAIST 교수팀, RNA 바이러스 검출 신기술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07.16
등온 핵산 증폭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RNA 바이러스를 검출하는 표준 진단방법은 역
전사
중합효소 연쇄반응(qRT-PCR)으로 정교한 온도 조절 장치가 필요하고 진단에 걸리는 시간이 길다. 연구팀이 개발한 기술은 온도 변환 과정 없이 동일한 온도에서 표적 바이러스의 RNA를 초고감도로 20분 이내에 ... ...
RNA 바이러스 표적 초고감도로 검출…"코로나19 조기진단 기여"
연합뉴스
l
2021.07.15
(RT-PCR) 기술이 쓰인다. 바이러스 내부 유전물질인 RNA를 상보적 DNA로 역
전사
한 뒤 DNA의 짧은 조각인 '프라이머'로 유전자를 증폭시켜 표적을 검출하는 방식으로 이뤄진다. 정확도는 높지만, 바이러스 검출을 위해 온도를 올렸다 내리는 과정에 시간이 오래 걸리고, 대형 장비를 갖춘 병원 등에 ... ...
현미경 없이 현미경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
과학동아
l
2021.07.09
인식해 공간지도를 작성한다. 그리고 조직 샘플 내 발현되는 모든 유전자와 여기에서
전사
된 mRNA를 증폭시켜 이미지로 만든다. 이를 분석하면 세포 내부의 유전자 정보뿐 아니라 발현된 유전자의 종류도 알 수 있다. 연구팀은 식스코프 기술로 간 조직 내 정상 간세포, 죽어가는 간세포와 유전자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작물 게놈 2세대 녹색혁명 이끌까
2021.06.30
지베렐린의 생합성 유전자가 고장난 변이체다. 그 결과 델라(DELLA) 단백질이 쌓여
전사
인자인 NGR5가 자유로워진다. 여기에 질소비료를 많이 뿌리면 NGR5 양이 늘어나 곁가지 생성을 막는 유전자의 발현을 효과적으로 억제해(오른쪽 아래) 곁가지가 많아지며 수확량이 늘어나는 것으로 밝혀졌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피부에 흉터 남기지 않고 나을 수 있을까
2021.06.22
마이클 롱가커 교수팀은 지난 2015년 ‘사이언스’에 발표한 논문에서 En1이라는
전사
인자 유전자를 발현하는 섬유아세포인 EPF가 흉터 형성에 관여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그런데 평소 피부 진피에는 이 유전자를 발현하지 않는 섬유아세포인 ENF가 더 많다. 따라서 흉터에 많이 분포하는 EPF의 기원을 ... ...
에이즈, 첫 보고 40년..."현대판 흑사병에서 관리만 하는 만성질환으로"
동아사이언스
l
2021.06.21
만들어진 수많은 돌연변이로 면역기능을 상실한다. 지도부딘은 바이러스의 RNA가 DNA로 역
전사
하는 과정을 억제해 바이러스의 증식을 막는다. 코로나19 치료 후보물질로 꼽혔던 칼레트라도 원래는 에이즈 치료를 위해 만든 항레트로바이러스제다. 1990년대 중반부터는 여러 치료제를 함께 섞어 쓰는 ... ...
[표지로 읽는 과학]비밀 공유하지는 않지만 서로 배우는 AI
동아사이언스
l
2021.06.12
림프모구 백혈병, 결핵, 코로나19 발병 여부를 분석했다. 그 결과 환자의 발병 여부를
전사
체로 분석할 확률은 네 가지 질병에 대해 평균 약 90%로 나타났다. X선 영상을 토대로 평가했을 때는 76~86% 범위였다. 슐츠 교수는 “이 방법론은 유전자 활동 특이성이 특히 눈에 띄는 백혈병에서 가장 ... ...
5분만에 코로나19 검사하는 PCR 기술 국내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1.06.07
확산 방지를 위해서는 빠르면서도 정확히 바이러스를 검출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이중 역
전사
(RT)-PCR은 가장 표준화된 코로나19 진단법으로 정확도가 높다. 그러나 바이러스 검출을 위해 유전자 양을 늘리려 온도를 올렸다 내리는 과정이 오래 걸리고 대형장비를 갖춘 실험실에 검체를 운송한 뒤 ... ...
이전
17
18
19
20
21
22
23
24
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