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발광
개똥불
반딧불
반디불
형작
형광도료
도료
뉴스
"
형광
"(으)로 총 526건 검색되었습니다.
[코로나 과학전쟁] PCR보다 빠르고 간편한 분자진단 기술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1.11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연구진은 코로나19 바이러스 RNA를 찾아가는 가이드RNA에
형광
입자를 붙였다. 가이드RNA가 바이러스 RNA와 결합할 경우 RNA가닥을 효소로 잘라낸다. 이때 잘린 RNA 가닥에 레이저를 비춰 빛이 나면 코로나바이러스 감염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방식이다. 연구진은 “코로나 ... ...
어린이나 어른이나 기억 조절 핵심은 ‘별아교세포’
동아사이언스
l
2021.01.05
뇌에서 시냅스가 어떻게 제거되는지 조사했다. 시냅스가 산성에서 재빨리 분해되면 녹색
형광
단백질을, 천천히 분해되면 적색 혁광단백질을 내놓게 했다. 그 결과 성인 해마에서는 별아교세포가 시냅스를 지속적으로 제거하고 특히 흥분성 시냅스를 더 많이 제거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뇌에서 ... ...
머리카락 굵기 입자 속 '고흐그림'이 위조 원천적으로 막는다
2021.01.05
위조 방치 장치의 예시다. a는 물과 같은 극성용액에 소재를 담그면 색이 사라지는 것과
형광
신호, 3차원 문양이 나타나는 것을 보여준다. b는 홀로그램으로 UNIST라는 글자가 나타나는 모습을 보여준다. c와 d는 빛의 각도에 따라 입자의 색이 변하면서 다른 글자가 나타나는 장치다. e는 물에 담그면 ... ...
국내 연구팀 "코로나19 감염됐다 회복하면 면역세포 기능 되돌아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2.15
기존 방법 대신 ‘MHC-I 다량체
형광
염색법’이란 측정법을 사용했다. MHC-I 다량체
형광
염색법은 ‘MHC’란 단백질을 이용해 특정 항원에 결합하는 T세포를 분리하고 식별해낼 수 있다 연구팀은 이 기법을 사용해 코로나19 관련 특이 T세포를 민감하게 검출했고, 그 특성과 기능을 분석할 수 있었다. ... ...
[슬기로운 동물원생활] 국내 처음으로 시도된 삵의 인공수정
2020.12.12
정자들의 움직임을 확인했습니다. 그때의 모습이 지금도 생생하게 기억납니다. 정자를
형광
염색한 뒤 어두운 배경에서 관찰하는 암시야 현미경으로 보았는데, 마치 밤하늘에 떨어지는 유성을 보는 느낌이었습니다. 채취한 정자는 혈연관계가 아닌 옆 칸 암컷 삵에게 인공수정했습니다. 하지만 ... ...
[랩큐멘터리] '세상의 모든 것'을 검출해 내는 탐정사무소
동아사이언스
l
2020.12.08
궁극적으로는 인간 세포 지도책을 만드는 목표를 향해 나아가고 있다. 연구실은
형광
분자를 활용해 '세상의 모든 것'을 검출할 수 있는 센서를 개발하고 있다. 포스텍 화학식별체학연구실 보러 가기 https://youtu.be/v6L1Go8xleA ※대학 연구실은 인류의 미래에 어떤 일들이 펼쳐질지 엿볼 수 있는 ... ...
병원균의 항생제 내성 여부 눈으로 판별한다
2020.12.08
용액의 색이 투명하게 유지했다. 연구팀은 여기에 도파민이 산소가 있을 때 잘 달라붙는
형광
물질을 넣고 산소 농도에 따른 빛의 양을 측정해 항생제 내성의 정도를 정량적으로 분석했다. 정현정 교수는 “이번 연구는 도파민의 자체 중합반응을 생체 시스템에서 규명한 연구로 큰 의미를 ... ...
6시간→1시간→5분…코로나19 진단법 속도경쟁 얼마나 빨라질까
동아사이언스
l
2020.12.07
유전자 가위가 코로나19 바이러스를 식별할 경우, 이 유전자를 절단하도록 하는 동시에
형광
분자 신호를 생성하도록 만들어 감염여부를 판별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고 국제학술지 네이처 바이오테크놀로지에 발표했다. 올해 노벨화학상을 받은 제니퍼 다우드나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 ... ...
국내 연구팀, 17분만에 코로나19 감염 판별하는 진단기술 확보
동아사이언스
l
2020.12.03
데 방해가 된다. 연구팀은 기기 안에 자석을 달아 증폭 후 MPN을 검체 아래로 모아
형광
물질이 활성화되도록 했다. 나노 PCR 기기를 이용해 150명의 코로나19 환자(양성 75명, 음성 75명)의 검체를 테스트한 결과 오차 없이 정확하게 양성 환자와 음성 환자를 구분했다. 나노 PCR 기기는 무게가 3kg ... ...
두개골 훼손 없이 뇌 신경망 구조 고해상도로 본다
연합뉴스
l
2020.12.03
[IBS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연구팀은 또 이광자 현미경(이광자 비선형
형광
현상 원리를 이용해 고해상도 영상을 얻을 수 있는 현미경)에 반사행렬 현미경을 적용, 쥐 두개골을 훼손하지 않고도 신경세포 수상돌기 가시 이미지를 고해상도로 얻는 데 성공했다. 최원식 ... ...
이전
17
18
19
20
21
22
23
24
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