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개구리밥
부평초
수선
추렴
수축
징수
스페셜
"
수렴
"(으)로 총 253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2000년 전 가야시대에 정말 차나무가 들어왔을까
2018.12.11
카페인 생합성 유전자 네트워크를 진화시켰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식물의 방어를 위한
수렴
진화인 셈이다. 참고로 커피 게놈은 2014년, 카카오 게놈은 2011년 해독됐다. 음료에 들어있는 카페인 함량을 나타내는 자료를 보면 커피가 차보다 두 배 이상 많고 코코아는 미미하다(대신 다크초콜릿에는 ... ...
[과학게시판] 제3차 전파진흥기본계획 공청회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18.12.06
7일 서울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관에서 '제3차 전파진흥기본계획'에 대한 각계 의견을
수렴
하는 공청회를 개최한다. 제3차 전파진흥기본계획안은 향후 5년간 초연결 지능화 시대의 혁신적 전파활용 방향을 담고 있다. 지난 4월부터 전파 분야 기술·산업·법제 등 관련 전문가로 구성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구글은 왜 벌거숭이두더지쥐에 주목했나
2018.02.06
오래 살 게 진화한 동물이다. 즉 사람과 벌거숭이두더지쥐는 장수하는 방향으로 ‘
수렴
진화’한 셈이다. 이처럼 오래 살기 위한 게놈의 변화가 독립적으로 일어났기 때문에 설사 우리보다 수명이 짧다고 해도 벌거숭이두더지쥐를 연구하다보면 뭔가 영감을 주는 발견이 있을 수 있고 이를 적용하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설탕보다 낫다더니... 트레할로스의 씁쓸한 이면
2018.01.30
RT027과 RT078은 각각 독립적인 방식으로 저농도의 트레할로스를 먹이로 이용할 수 있게 ‘
수렴
진화’한 것이다. 2000년대 들어 여러 병원에서 감염 사고를 일으킨 RT027와 RT078 유형은 트레할로스가 저농도일 때도 오페론이 켜진다는 사실이 밝혀졌는데 그 메커니즘은 달랐다. 즉 RT027은 treR 유전자에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파란빛의 두 얼굴
2017.11.14
그 뒤 G1의 RG가 조금 올라갔고 G2의 RG도 살짝 올라가 3.5분에서 5분 사이 RG가 0.2 수준에서
수렴
했고 그 뒤 둘 다 조금씩 올라가 10분 뒤에는 0.3 부근이었다. 다음으로 방을 바꿔 10분 간 있었는데, 두 그룹의 RG는 큰 차이 없이 0.2~0.3 수준에 머물렀다. 즉 스트레스를 받은 직후 파란빛이 있는 공간에 머물 ... ...
아프리카인 피부색 결정 유전자 확인
과학동아
l
2017.10.30
오랫동안 수수께끼였다”며 “일부 사람들은 이런 유사성이 적응의 결과로 나타난 ‘
수렴
진화’ 때문이라고 주장했지만, 이번 연구 결과로 오래 전부터 피부색과 관련한 유전자 변이가 존재했던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10월 12일자에 실렸다. doi:10.1126 ... ...
백두산은 과연 어떻게 생겨났나?... BMW vs 판구조론 격돌
동아사이언스
l
2017.09.27
백두산은 세계적으로 학자들의 관심이 높은 화산이다. 화산은 크게 판이 모이는
수렴
경계나 판이 멀어지는 발산경계 또는 열점 등 세곳에서 생성되는데 백두산은 어디에도 속하지 않는 육상화산이기 때문이다. 일본 도호쿠대 자오 교수팀은 2004년 해양판이 섭입되는 과정에서 맨틀이 상승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우린 어떻게 습기를 느낄까
2017.07.25
잘 날아가므로 IRa40a가 두 역할을 하는 게 결국은 공기가 건조하다는 하나의 신호로
수렴
되는 셈이다. 그렇다면 사람에서도 초파리의 IR40a와 IR68a에 해당하는 유전자가 습도수용체 유전자일까. 놀랍게도 사람의 게놈에는 해당하는 유전자가 없을 뿐 아니라 습도수용체 유전자 자체가 없는 것으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네안데르탈인 화석, 알고 보니 호모 사피엔스!
2017.06.20
진화가 일어났다. 저자들은 세 종에서 뇌가 커지는 방향으로 진화가 일어났지만(
수렴
진화) 뇌의 세부적인 구조에서는 차이가 생겨 결과적으로 인지능력이 더 뛰어나게 진화한 현생인류가 다른 인류를 몰아내고 지구를 차지했을 거라고 설명한다. 즉 30만 년 전 초기 호모 사피엔스는 아직 ‘슬기로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식충식물 세팔로투스 게놈을 해독해보니...
2017.02.21
기능이 바뀌는 과정에서 일어난 아미노산 치환까지 동일한 경우도 많았다. 즉 실제로
수렴
진화가 일어났다는 말인데 연구자들은 논문에서 “속씨식물이 식충식물이 되는 진화과정에서 선택의 여지가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고 결론지었다. 식충식물은 대부분 척박한 환경에서 진화했다. 즉 ... ...
이전
17
18
19
20
21
22
23
24
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