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정확
정교
적확
명확
면밀
상세
세밀
스페셜
"
정밀
"(으)로 총 573건 검색되었습니다.
1~2시간 내 코로나19 진단한다는 신속PCR 쟁점3
과학동아
l
2021.05.01
“대부분의 음성 환자는 빠르고 저렴한 신속PCR로 관리하고 양성 판정이 나온 집단을
정밀
조사하는 방식을 도입하면 방역이 훨씬 효율적일 것”이라고 말했다. 반면 방역 전문가들은 정확하지 않은 진단 기술이 오히려 방역에 혼선을 가져오고 사태를 악화시킬 수 있다고 우려한다. 가장 큰 우려는 ... ...
[의학바이오게시판] 국립중앙의료원, 기금운용특별위원회 구성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04.30
사례중심으로 구성됐다고 병협은 설명했다. ■분당서울대병원은 지난 29일 인공지능(AI)
정밀
의료솔루션 ‘닥터앤서 2.0’ 착수보고회를 개최했다고 30일 밝혔다. 닥터앤서는 의료데이터의 분석을 기반으로 새로운 소프트웨어를 개발해 개인 특성에 맞춰 질병을 예측하고 진단하는 최적의 ... ...
맛의 비법 알려주는 AI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4.29
특징과 생활습관, 건강상태 등을 함께 고려한 개인 맞춤형 레시피 및 식단을 추천하는
정밀
영양 프로그램을 구축하기로 했다. 연구결과는 1월 국제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츠’에 실렸다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아인슈타인의 생애 가장 행복했던 생각
2021.04.29
그보다 낮은
정밀
도에서 매우 잘 작동한다는 의미이다. 일반상대성이론도 그 정도까지의
정밀
함을 요구하지 않는 수준에서는 매우 잘 작동한다는 뜻이다. 다만 일반상대성이론이 그보다 더 근본적인 어떤 새로운 이론의 근사적인 이론일 뿐임이 드러난 것이다. 새 이론은 보다 근본적이고 포괄적인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호모 에렉투스, 사건의 재구성
2021.04.27
화석 다섯 점이 잇달아 보고되면서 주목을 받았다. 최근 이들의 두개골 내부 표면을
정밀
하게 분석해 뇌 표면 형태를 추측한 결과 현생인류보다 유인원에 가깝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취히리대 제공 얼마 전 고인류학 논문을 읽다가 흥미로운 문구를 발견했다. 2000년대 들어 고인류학의 핫플레이스가 ... ...
위성 관측데이터로 테킬라 최고급 원료 '블루 아가베' 키워낸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4.26
선인장 ‘아가베’ 중에서도 최상위 품종에 해당하는 ‘블루 아가베’를 기르는
정밀
농업에 데이터를 활용한다는 계획이다. 이와 함께 ‘멕시코의 초록금’이라 불리는 아보카도 농업에도 데이터가 활용될 전망이다. ... ...
첨단소재·안전건축·
정밀
의료 전문가들 과학정보통신의 날 훈포장... IT 원로 첫 공로상
동아사이언스
l
2021.04.21
고려대 안암병원 교수는 클라우드 기반 병원정보시스템 개발과 의료기관 적용을 통해
정밀
의료 환경 조성에 기여한 공로로 2등급 황조근정훈장을 수상했다. 이혁재 서울대 교수는 인공지능 영상처리 최적화 기술 상용화 등 국내 인공지능 산업 발전에 공로를 인정받아 3등급 홍조근정훈장을 받았다 ... ...
[인터뷰]"문제 빨리 푸는 것보다 논리적 해결력이 더 필요한 시대"
2021.04.18
행렬)에 가중치를 곱하여 아웃풋 신호인 벡터와 행렬을 구한다. 그럼 이것을 얼마나
정밀
하게 계산하느냐가 관건이다. 예를 들어 인풋이 1비트(bit·정보 최소 단위)일 때 입력은 1 아니면 0이겠지만 결과는 그렇지 않다. 결과는 1과 0이 여러 번 합쳐진 경우일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인풋이 1비트여도 ... ...
[IBS 코로나19 리포트 시즌2] 코로나19 감염 여부를 신속·정확하게 진단하는 새로운 방법
2021.04.16
바이러스를 검출한다. 이렇듯 나노물질 기반 진단법은 물질 특성을 나노 단위에서
정밀
조정하여 정확성과 신속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하지만 여전히 한계는 있다. 우선 나노물질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기술력이 뒷받침돼야 한다. 대규모 진단을 위한 나노물질 생산·관리 시스템도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이 우주의 속도제한, 그리고 E=mc²
2021.04.15
않는 유령 같은 입자이다. 중성미자의 비행거리는 약 730킬로미터였고 비행거리와 시간을
정밀
하게 측정하기 위해 GPS까지 동원했다. 이 실험에서 1만6천여 개의 중성미자를 분석한 결과 평균적으로 빛보다 약 61나노초 빨리 비행한 것으로 관측되었다. 이 실험의 측정오차는 거리가 약 20cm, 시간은 약 1 ... ...
이전
17
18
19
20
21
22
23
24
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