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짐작
어림
추리
억측
상상
공상
추정
스페셜
"
추측
"(으)로 총 358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코로나바이러스, 진화의 끝은 어디인가
2020.01.21
소에 감염하는 코로나바이러스와 게놈서열이 꽤 비슷한 것으로 밝혀졌고 이를 토대로
추측
한 결과 1890년 무렵에 둘이 공통조상에서 갈라진 것으로 나왔다. 사람이 OC43에 감염돼 감기에 걸리기 시작한 게 100여 년 전이라는 말이다. 사스코로나바이러스도 박쥐 코로나바이러스와 공통조상에서 ... ...
보건당국 "우한 폐렴 확진환자 접촉자 모니터링에 총력" …美도 검역 강화(종합)
동아사이언스
l
2020.01.21
18일과 19일 우한시에서만 136명이 새로 확진을 받아 실제 환자는 더 많은 것 아니냐는
추측
도 제기된다. 20일 중국중앙방송(CCTV)에 따르면 내륙 쓰촨성과 베트남 국경 인근 원난성, 동부 저장성과 산둥성 등 중국 전역에서도 의심 환자가 속출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우한시에서는 198명 가운데 25명은 ... ...
로봇 동료와 함께 일할 준비 얼마나 됐습니까 (2부)
동아사이언스
l
2020.01.16
주장도 나온다. 속도와 규모로 보면 충격은 3000배에 이른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런
추측
에는 문제가 없지 않다. 매우 적은 증거에 근거하고 역사적 분석 방식에 완전히 기대지 않고 있다는 점이다. 맥킨지 추정치와 같은 기하급수적 추정치는 대부분 기술 혁신과 생산성 향상을 비율로 추정하기 ... ...
"베젤프리·슈퍼씬…" 외신들, 삼성 인피니티 TV에 '주목'
연합뉴스
l
2020.01.06
CES(Consumer Electronics Show)에서 '완전 무(無)베젤', '제로(zero) 베젤' TV를 내놓을 것이라는
추측
이 나왔다. 삼성전자가 "베젤을 없앴다"며 '인피니티 디자인'을 공개하자 여러 외신은 베젤을 2.3㎜라고 특정하며 "완전한 베젤리스는 아니다"라고 지적하기도 했다. 삼성전자 베젤이 구체적으로 어느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작은 과학이 아름답다
2020.01.03
등장했을 때, 대부분의 연구자들은 심증으로만 거대규모의 실험실은 효율이 낮을 것이라
추측
하고 있었던 것이다. 의생명과학계에 박사후연구원은 무조건 큰 실험실로 가야한다는 말이 있다. 왜냐하면 교수로 성공한 대부분의 과학자들이 큰 실험실 출신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물론 ... ...
15년새 천식·아토피 줄고 알레르기 비염 2배로
동아사이언스
l
2020.01.02
비교적 어렵고, 대기오염 등으로 원인도 다양해지면서 환자가 급증했을 것”이라고
추측
했다. 임대현 인하대병원 환경보건센터장은 "정확한 원인을 밝히고 치료방법을 찾아내려면 추후 연구가 더 필요하다”며 "국내 환자 수와 증상 등을 모니터링해 알레르기 비염을 유발하는 환경적인 요인과 ... ...
엘러간사 유방보형물 희귀암 환자 또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2.26
국내에서 인공 유방 이식수술로 인한 희귀 암 환자가 두 번째로 발생했다. 지난 7월 미국 식품의약국(FDA)는 미국 제약사 엘러간사의 ‘거친 표면 유방보형물(사진)’을 삽입 ... 표면에 있는 직물 구조로부터 미세 입자가 퍼지면서 변종 림프암을 일으킬 수 있다고
추측
하고 있다. FDA 제공 ... ...
[주말 고고학산책] 최초로 닭을 키운 사람은 누구였을까
2019.12.21
동남아시아의 정글에 살고 있던 야생종 닭인 ‘적색야계’를 인간이 길들인 것으로
추측
합니다. 고고학자들이 사람이 키운 가장 오래된 닭의 흔적을 발견한 곳은 파키스탄을 가로질러 흐르는 인더스강 주변의 유적입니다. 인더스강 유역에 세워진 도시인 하라파와 모헨조다로에서, 세계 ... ...
월성1호기, 표결로 늘어난 수명 표결로 끝날까
동아사이언스
l
2019.12.15
건 논의를 끝내겠다는 의미기 때문에 표결 찬성은 원안 가결로 이어지리라는
추측
이 가능하다. 원안위 주요 안건이 상정 3번째 만에 통과되는 ‘3의 법칙’을 따를지도 관심사다. 원안위는 원전 건설이나 수명연장 등 굵직한 사안이 있을 때마다 안건이 3번 상정을 거쳐 의결됐다. 2015년 월성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치매 환자가 암이 잘 안 걸리는 이유
2019.12.10
과산화물 축적을 억제해 암세포의 페롭토시스를 막는 또 다른 메커니즘이 있을 것으로
추측
됐는데 이번에 코큐텐과 FSP1 경로가 밝혀진 것이다. 따라서 FSP1 효소의 작용을 방해하는 약물을 만들면 항암제로 쓰일 수 있을 것이다. 자신이 발견하고 명명한 페롭토시스에 애착을 갖게 된 스톡웰 교수는 ... ...
이전
17
18
19
20
21
22
23
24
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