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
썬
sun
천체
햇빛
햇볕
햇님
스페셜
"
태양
"(으)로 총 939건 검색되었습니다.
최고 효율 페로브스카이트
태양
전지 모듈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2.01.18
수준의 정공 전달 성능과 소재의 안정성까지 확보한 연구”라며 “향후 페로브스카이트
태양
전지용 유기 소재 개발에 새로운 전략을 제시했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포토닉스’ 17일자(현지시간)에 공개했다 ... ...
中 베이징올림픽 경기장 100% 재생에너지로 전력 공급…첫 탄소중립 동계올림픽 추진
동아사이언스
l
2022.01.17
베이징시, 옌칭구, 장자커우시에서 열린다. 이 중 장자커우시에는 70GW(기가와트) 규모의
태양
광과 풍력 발전단지가 들어서 있다. 이를 통해 생산한 전력 중 매년 2만2500GWh(기가와트시)의 전력을 2020년 구축을 완료한 광역 직류 전달망으로 베이징시에 공급하고 있다. 한국의 연간 전력 총생산량은 약 5 ... ...
[지구는 살아있다]북아메리카가 얼어붙은 시절이 있었다
2022.01.15
간빙기가 주기적으로 찾아오고 있습니다. 지구의 궤도 운동 변화로 지구에 도달하는
태양
에너지가 주기적으로 변하면서 빙하기와 간빙기를 만드는 것으로 과학자들은 추정합니다. 그렇다면 지구는 수만 년 후 빙하기로 돌아가게 될까요? 현재 지구는 인류의 활동으로 더워지고 있어요. 이렇게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메탄이 이렇게 문제일 줄이야
2022.01.12
ISS)에서 촬영한 바다 위로 막
태양
이 떠오른 직후의 지구. NASA 제공 환경 저널리스트 마크 라이너스의 책 《최종 경고: 6도의 멸종》 한국판이 최근 출간됐다. 라이너스는 수많은 연구 자료를 바탕으로 지구 평균 온도가 1도씩 오를 때마다 어떤 일이 벌어지는가를 각 장 별로 그리고 있는데 연초에 ... ...
[표지로 읽는 과학]별 형성의 비밀 실마리 제시한 성간 자기장
동아사이언스
l
2022.01.08
표지로 황소자리의 분자 구름에 덮인 ‘성간 자기장’ 이미지를 실었다. 성간 자기장은
태양
과 같은 항성의 탄생 과정을 밝힐 열쇠와 같다. 항성의 탄생은 수많은 분자가 똘똘 뭉치는 것으로 시작된다. 대부분 수소 분자로 이뤄진 분자 구름은 질량이 커지면 중력에 의해 붕괴되는데, ... ...
[현장!CES2022] 한종희 삼성전자 부회장 "지속 가능한 미래는 기술의 지향가치"
동아사이언스
l
2022.01.05
삼성전자는 지난해 ‘CES(소비자가전전시회) 2021’에서 ‘솔라셀 리모컨’을 공개했다.
태양
광과 전등에서 나오는 빛을 수집해 충전하는 리모컨이다. 올해 삼성전자의 TV 신제품과 생활가전 제품군에 적용될 예정인데 폐배터리가 새로운 골칫거리로 떠올라 약 2억개의 배터리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 ...
[이덕환의 과학세상]혼란스러운 원전의 환경성 평가
2022.01.05
등 환경 보전에 유리하다는 사실도 명백한 진실이다. 발전 설비의 이용률을 고려하면
태양
광은 원전의 169배, 풍력은 37배의 면적이 필요하다. 원전의 가동에 필요한 연료인 우라늄은 저장과 수송이 용이하고, 특정 국가에 집중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에너지 안보 차원에서도 유리하다. 환경부가 ... ...
2021년 출연연을 빛낸 그들은 누구
동아사이언스
l
2022.01.04
인사위원회 심의를 통해 최종 결정한다. 전 책임연구원은 2008년부터 한국형 인공
태양
인 KSTAR 장치 실험을 주도하고 있다. KSTAR에서는 핵융합에너지 실현을 위한 주요 과제인 고성능 플라즈마 운전모드와 시나리오 개발이 이뤄지고 있다. 전 책임연구원은 지난해 KSTAR의 1억도 초고온 플라즈마 30초 ... ...
2022년 우주에서 뉴스 쏟아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1.04
지난해 성탄절에 발사된 차세대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JWST)가 테니스 코트 크기의
태양
빛 차광막을 펼치고 팽팽하게 고정하는 단계에 들어가고 있다. 제임스 웹 망원경은 약 한 달간 로켓 탑재를 위해 접었던 부품을 차례로 펼치며 지구에서 약 150만㎞ 떨어진 목표점인 라그랑주점 L2 지점으로 ... ...
웹 망원경 가장 위험한 전개 중이나 "순조롭게 진행"
연합뉴스
l
2022.01.04
끝나게 된다. 웹 망원경은 이후 비행을 계속해 1월 말께 지구에서 약 150만㎞ 떨어진
태양
과 지구의 중력이 균형을 이루는 제2라그랑주점(L2) 궤도에 진입하며, 약 5개월에 걸친 주경 미세조정과 과학장비 점검을 거쳐 본격적인 관측에 나서게 된다. 천문학계는 많은 성과를 낸 허블 ... ...
이전
17
18
19
20
21
22
23
24
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