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재미
관심
호기심
취미
감흥
취향
잼
스페셜
"
흥미
"(으)로 총 415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하루 주기 변덕은 생체시계 때문?
2019.10.08
“사람에서도 초파리처럼 하루 시간대에 따라 조명 색 선호도가 바뀌는지 알아보면
흥미
로울 것”이라고 덧붙였다. 필자 생각엔 그럴 것 같고 앞서 소개한 필자의 변덕이 왠지 일반적인 패턴일 것 같다. 그리고 저녁에 백색광보다 노란색 계열의 빛을 선호하는 이유는 백색광에 포함된 파란빛이 ... ...
박수만 쳐야하는 ‘노벨상 시즌’ 돌아왔네
동아사이언스
l
2019.10.07
도움을 줄 것이라는 편견이 지배적이지만 일단 도입되면 ‘파괴적’이라는 점에서
흥미
를 끈다. 또 해당 연구가 노벨상 후광효과 덕분에 급격히 확산되기도 한다. 지난해 노벨 생리의학상을 받은 면역항암제 연구는 수상을 계기로 세계적 제약사들이 앞다퉈 관련 연구에 뛰어들게 할 만큼 큰 효과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액상 전자담배, 제2의 가습기살균제 되나
2019.10.01
12명 나와 말이 나온 김에 친구는 전자담배에 대해 여러 얘기를 들려줬는데 나름
흥미
로웠다. 궐련 대신 플라스틱 용기 끝을 빠는 액상 전자담배는 영 피울 맛이 안 날 것 같았는데 의외로 만족도가 높다고 한다. 앞서 언급했듯이 향을 바꿔가며 피우는 재미도 쏠쏠하고 무엇보다도 니코틴이 농축돼 ... ...
[만연하는 가짜 의학정보] "백신이 뇌손상 일으켜" "임산부 비타민A 피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19.09.25
홍보 수단으로 전락한 경우도 있다"며 안타까워 했다. 전문가들은 유튜브에서
흥미
롭거나 신기한 의학 정보를 볼 경우에는 곧이곧대로 믿을 것이 아니라 반드시 전문의와 상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아프리카돼지열병 어떻게 한국까지 들어왔을까
2019.09.24
RELA 유전자의 서열이 달라 그 산물인 단백질의 아미노산 세 곳의 종류가 달랐다.
흥미
롭게도 돼지의 RELA 단백질은 활성이 높았지만 혹멧돼지의 RELA 단백질은 활성이 낮았다. RELA 단백질의 활성 차이가 ASFV에 감염됐을 때 돼지와 혹멧돼지가 보이는 증상의 극단적인 차이를 적어도 일부는 설명한다는 ... ...
[인류와 질병] O형의 비밀
2019.09.21
한 가설에 의하면 Rh +/- 이형접합체는 톡소포자충 감염에 내성을 가진다. 이는 아주
흥미
로운 진화적 현상이다. 이형접합체가 동형접합체보다 유리하기 때문에 두 가지 다형성이 계속 유지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Rh +/- 유전형을 가진 사람의 혈액형은 Rh 양성이다. 그런데 이들은 Rh-/- 유전형을 가지고 ... ...
[인류와 질병] 큰 뇌를 가진 인간, 변화에 적응하는 인류에겐 숙명인 질병
2019.09.14
민족은 바스크족이다. 스페인과 프랑스 경계에 사는 유럽 내 소수민족이다. 그런데
흥미
롭게도 바스크족은 혈액형이 거의 O형이다. 바스크족의 피에 과연 무슨 일이 일어났던 것일까? ※필자소개 박한선 .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신경인류학자. 서울대 인류학과에서 진화와 인간 사회에 대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알코올의존증, 침(針)으로 고친다
2019.09.10
것이다. 이 위치는 사람에서 손목 바깥쪽에 있는 혈자리인 양계혈((陽谿穴)에 해당한다.
흥미
롭게도 양계혈에 침을 놨을 때는 떨림을 줄이는 효과가 미미했다. 침을 놓을 때 혈자리가 중요하다는 말이다. 이는 침을 찌를 때 자극이 작용할 뿐 혈자리는 엉터리 개념이라는 서양 의학의 관점을 반박하는 ... ...
[인류와 질병] 사르데냐섬의 비극
2019.09.01
별로 높은 유병율을 보이지 않는다. 그런데 1995년 하버드 의대의 C.M. 포저 등은 아주
흥미
로운 제안을 내놓았다. 다발성 경화증이 빈발하는 지역은 바이킹이 지배하던 지역과 정확하게 일치한다는 것이다. 바이킹은 대부분의 유럽 국가를 침략했고, 노르망디와 시칠리아, 남부 이탈리아까지 ... ...
[인류와 질병] 투유유의 세 번째 낫
2019.08.25
지식이 집대성해가면서 수백 년에 걸쳐 형성된 공동 저작으로 보는 추세다. 그런데
흥미
롭게도 황제내경에 말라리아에 대한 기록이 있다. 지역적으로 집단 발병하며, 비장이 커지고 발작적인 고열이 나는 질병에 대한 처방이 있는 것이다. 확실하지는 않지만 아마 그 당시에도 중국은 말라리아가 ... ...
이전
17
18
19
20
21
22
23
24
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