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술"(으)로 총 12,250건 검색되었습니다.
- [언니오빠 논문 연구소] 치타가 던진 숙제과학동아 l2019년 05호
- 미래라는 사실을 잊지 말아야 할 것입니다. 김학민. 울산과학기술원(UNIST) 게놈산업기술센터 박사과정 연구원이다. 동식물의 유전자지도를 그리고 이를 토대로 종의 진화를 연구하고 있다. 호랑이, 고래, 표범, 독수리, 해파리 등의 유전자지도를 완성하는 동물 게놈 프로젝트에 참여했다.howmany2 ... ...
- 주기율표는 지금도 건설 중!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5호
- 기초과학연구원 중이온가속기건설구축사업단 장치구축사업부 부장), 박범순(KAIST 과학기술정책대학원 교수), 박준우(이화여자대학교 화학과 명예교수), 시어도어 그레이(울프럼 연구소 공동 창립자, 과학 작가) ▼관련 기사를 계속 보려면?Intro. 주기율표는 지금도 건설 중!Part1. 원소주기율표 대공개 ... ...
- [과학뉴스] 사막개미를 닮은 앤트봇 개발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5호
- 연구를 이끈 스테판 비올레 교수는 “대부분의 로봇은 GPS를 이용해 길을 찾는데, GPS 기술의 한계로 수m의 오차가 난다”며, “이번 실험으로 앤트봇이 매우 정확하게 길을 찾는다는 것을 알아냈으며, 재난 현장처럼 통신이 불가능한 상황에서 일을 수행하는 데 적합할 것”이라고 말했어요 ... ...
- 전자회로도 3D프린터로 인쇄하세요과학동아 l2019년 05호
- 이용해 3D프린터로 정교한 전자회로를 찍어내는 기술이 개발됐다. 특히 후처리를 거치지 않아도 돼 활용 가능성이 높다. 미국 드렉셀대와 아일랜드 더블린대 등 공동연구팀은 3D프린터에서 전도성이 우수한 물질인 ‘멕센(MXene)’을 잉크로 이용해 열처리 같은 후처리 없이 간단한 공정만으로 μm ... ...
- [혀의 진화] 400개 근육의 최종 지휘자과학동아 l2019년 05호
- 음악가의 발성을 조사하는 데도 적용할 수 있다고 밝혔다. 김 원장은 “실시간 MRI 기술이 아직 목소리를 시각화하는 수준은 아니다”라며 “향후 구강 내부의 움직임에 대한 데이터가 계속 축적되면 래퍼가 랩을 하는 동안 자신의 혀의 움직임을 확인하고 실력을 늘리는 데 활용할 수 있을 ... ...
- [혀의 진화] 영장류에서 인간으로 자유를 얻은 혀과학동아 l2019년 05호
- 위해서는 이를 구현하는 발성 기관의 발달도 뒷받침돼야 한다. 전현애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뇌인지공학전공 교수는 “인간의 뇌 구조는 침팬지 등 다른 동물과 다르고, 이것이 인간의 언어 능력의 핵심이라는 사실은 이미 밝혀졌다”며 “여기에 발성 기관의 발달이 더해지면서 인간이 지금과 ... ...
- [로보트 재권V] 사물인식에 음식인식까지 심부름 시켜보자과학동아 l2019년 05호
- 못했습니다. 아직 연구해야 할 것들이 많은 셈입니다. 물론 현재까지 개발된 인공지능 기술만으로 할 수 있는 일이 많은 것도 사실입니다. 스마트폰만으로도 사람의 얼굴을 인식하고 음성도 인식할 수 있으니까요. 로보트 재권V도 사람을 알아볼 수 있도록 사람의 사진 데이터를 많이 모아서 딥러닝 ... ...
- [수학미술관] 디즈니 애니메이션 만드는 마법 수학수학동아 l2019년 05호
- 영상을 함께 공개했습니다. 이것만 봐도 디즈니가 애니메이션을 제작할 때 수학적인 기술을 얼마나 중요하게 여기는지 알 수 있습니다. 올해 디즈니는 겨울왕국의 후속작 ‘겨울왕국2’를 개봉할 예정이라는데요, 특별히 이번 전시에서 국내 최초로 몇 장면을 공개합니다. 후속작에서는 얼마나 더 ... ...
- [과학뉴스] 한국형 인공태양, 1억℃까지 뜨거워졌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5호
- 지구에서 실현시켜 에너지를 생산하려고 해요. 이른바 ‘인공태양’이라고 부르는 기술이지요.지난 2월, 국가핵융합연구소 초전도핵융합연구장치(KSTAR)는 플라스마 이온온도를 1억℃까지 끌어올리고 1.5초 동안 유지하는 데 성공하며 인공태양에 한걸음 더 다가갔어요. 플라스마 이온온도 1억℃는 ... ...
- 과학으로 독립운동!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5호
- 어려웠어요. 물리와 화학연구는 실험실과 장비가 갖추어진 전문 교육기관이나 기술자를 육성할 기업과 기업 연구소가 있어야 해요. 하지만 당시 우리나라는 이러한 기반이 없었어요. 그래서 자연을 관찰해 연구할 수 있는 박물학이 먼저 발달했지요. 박물학이란 동물학, 식물학, 광물학, 지질학을 ... ...
이전21621721821922022122222322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