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세"(으)로 총 7,755건 검색되었습니다.
- [Tech & Fun] 직장과 집만 고집하는 당신, 변해야 ‘동안’된다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사는 지름길입니다.” 지난 30여 년간 스트레스와 노화페로몬의 관계를 연구한 백융기 연세대 생화학과 교수의 말이다. 백 교수는 2005년에 예쁜꼬마선충이 주위 환경에서 스트레스를 받게 됐을 때 자신의 유전자를 변형시켜수면기에 접어 드는 방법으로 수명을 7~8배 늘린다는 사실을 2005년 ... ...
- Part 2. 미세먼지보다 작은 살균제가 폐로?!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2호
- Intro. 가습기 살균제, 무엇이 문제였을까?Part 1. 세포를 죽이는 살균제의 능력!Part 2. 미세먼지보다 작은 살균제가 폐로?!Part 3. 규제는 철저하게, 확인은 꼼꼼하게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장미꽃 뒤의 검은 그림자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2호
- 나타나요. 옥신은 식물이 자라는 데 꼭 필요한 ‘생장호르몬’으로, 옥신이 많을수록 세포가 잘 자라요. 그런데 옥신은 빛을 싫어해요. 그러다 보니 옥신은 식물에서 빛을 받지 않는 쪽에 모이게 되고, 이 부분이 상대적으로 더 길어져요. 반대로 햇빛이 있는 쪽은 옥신이 적은만큼 덜 자라기 때문에 ... ...
- [지식] 해밀턴 회로가 있을까? 가운데층 문제수학동아 l2016년 12호
- 제시할 당시 21살에 불과했습니다.로바스는 우리나라와도 인연이 깊어서 2014년에 열린 세계수학자대회를 유치할 당시인 2009년 국제수학자연맹의 회장으로, 우리나라를 여러 번 방문했습니다. 지금은 헝가리의 과학자를 대표하는 정부 기관인 헝가리 과학 아카데미의 총장입니다.1969년 로바스는 ... ...
- [수학동아클리닉] 수학으로 만나는 우리 고장의 근대역사수학동아 l2016년 12호
- 찾을 수 있습니다. 열한 번째 미션으로 화교소학교에서 테셀레이션을 찾아보세요.대구 매스 투어는 여기까지입니다. 선생님은 수학을 하는지도 모를 만큼 재미있는 수학, 학생들의 삶과 역사가 융합된 수학을 전하고 싶었답니다. 앞으로 현장 중심의 프로그램이 많이 개발돼 수학을 사랑하는 ... ...
- [과학뉴스] 세포와 함께 하는 메리크리스마스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세균에 속하는 마이코플라즈마류에는 소의 전염병인 우폐역, 그리고 폐렴의 원인이 되는 세균들도 있다. 하지만 이들이 공개한 마이코플라즈마의 모습은 크리스마스 트리의 방울처럼 아름답다. 굿쉘 박사의 그림은 단백질 데이터 뱅크 홈페이지(pdb101.rcsb.org)에서 확인할 수 있다 ... ...
- Part 1. 백두산 암석 ‘샘플파티’에 가다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세계적인 화산 전문가가 양성될 것”이라며 “남북이 협력해서 국제백두산과학기지를 세우면 중국의 장백산이 아닌 한국의 백두산이라는 이름을 널리 알릴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백두산 탐사, 어떤 장비 쓰일까?백두산 화산이 언제, 어떤 규모로 폭발할지 알기 위해서는 마그마 가까이 직접 ... ...
- [News & Issue] 대통령 담화문에서 배우는 올바른 사과 비법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정치인이나 기업인이 쓰는 표현을 비꼰 말이다.사과 아닌 사과를 만드는 방법에는 크게 세 가지가 있다(김호, 정재승 저 ‘쿨하게 사과하라’에서 재인용). 첫째는 ‘그러나’다. 사과란 동의를 전제로 한다. 가해자가 피해자의 아픔에 공감하며 잘못했다는 사실을 가해자와 피해자가 동의해야만 ... ...
- Part 2. 가상현실(VR) 드론의 미래를 만나다과학동아 l2016년 12호
- 버들리를 내놓았다. 그는 “버들리의 3차원 경험은 가난하거나 건강하지 못한 사람들도 세계 곳곳을 누비도록 만들어줄 것”이라고 말했다. 이런 주장을 하는 사람이 라이너 교수만은 아니다. 9월 25일 독일 쾰른에서 만난 광학장비회사 ‘자이스(ZEISS)’의 프란츠 트로펜하건 시니어 매니저도 ... ...
- Part 2. 수학동아, 조직 S의 비밀을 파헤치다!수학동아 l2016년 12호
- 근사치를 구해 봅시다.미국의 잡지 ‘애틀랜틱’에 따르면, 어린이들은 만 5세부터 산타의 존재를 의심합니다. 재클린 울리 미국 텍사스대 심리학과 교수의 논문에 따르면 만 5세 어린이의 83%, 7세 어린이의 63%, 9세 어린이의 33%만이 산타가 있다고 믿습니다. 이를 토대로 조직 S가 선물을 전해야 할 . ...
이전21621721821922022122222322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