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세계"(으)로 총 13,669건 검색되었습니다.
- 질문하면 답해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1호
- 하네요! A 커피는 약 6~7세기, 아프리카 동부의 에티오피아 고원지대에서 발견되어 세계로 퍼졌어요. 하지만 커피에서 머리를 맑게 하고 잠을 깨우는 성분인 ‘카페인’이 분리된 것은 훨씬 나중인 19세기의 일이에요. 1819년, 독일의 과학자 프리들리프 페르디난트 룽게가 처음으로 커피콩에서 ... ...
- [신년기획] 내 이름은 ‘쥐D’, 인간 질병 대신 앓쥐, 그렇게 인류를 구하쥐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새끼들은 6~8주가 지나면 어른이 됩니다. 이 정도가 되면 출산을 할 수 있습니다. 포유류 세계에서 이런 역대급 번식력을 보유한 건 아마 우리 같은 설치류가 유일할 겁니다. 작고 가벼운 것도 인기 요인이라고들 해요. 제 몸무게요? 25g이랍니다. 옆집 개는 10kg이나 나간대요. 제 몸무게의 400배죠. ... ...
- 곡물 고기는 진짜 고기 맛 날까?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시장조사기관인 이노바마켓인사이트(Innova Market Insights)의 조사에 따르면 2017년 기준 전 세계 육류 생산량은 돼지고기 1억1100만t(톤), 가금류 9050만t, 소고기 6130만t 등 총 2억6280만t에 달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한 2018년의 육류산업 규모는 약 1001조1293억 원이며, 대체육류 시장 규모는 약 ...
- 차세대 유전자 가위 '프라임 에디팅' 크리스퍼 아성 누르고 혜성처럼 등장!과학동아 l2020년 01호
- 놀이에 비유했다. 하지만 양자역학은 실재하며 우연의 산물로 가득 차 있다. 생물의 세계도 마찬가지다. 생명체가 사는 지구의 물리적, 생물학적 환경은 고정된 것이 아니고, 얼마나 변할지 예측할 수 없을 만큼 우연히 이뤄지는 것들이 많다. 변화하는 환경에 적응하고 살아남기 위해 인간을 포함한 ... ...
- 나는 과학동아 키즈 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질문했다. 3학년 여름방학이 되자 큰 기업에서 인턴십을 해보고 싶었다. 그래서 세계적인 IT 기업인 마이크로소프트(MS)에 지원했다. 큰 회사들의 여름 인턴십 자리는 전년도 가을학기에 거의 다 차기 때문에 2018년 여름 인턴십을 1년 전인 2017년 9월경에 지원하고도 불안했던 기억이 있다. 다행히 ... ...
- 도시를 바꾸다! 환경을 생각한 똑똑한 도시수학동아 l2020년 01호
- 발견했어! 공기부터 다른 친환경 도시들이야. ▲ PDF에서 고화질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세계 곳곳에서 이런 친환경 도시들을 만들기 위해 노력 중이래. 어때? 당장 동물들을 구할 순 없겠지만, 꾸준히 노력한다면 기후변화의 속도를 늦출 수 있지 않을까? 나도 기후변화로 위험에 빠진 동물들을 ... ...
- 강아지 나이 계산법이 틀렸다고? 수학으로 바로잡는 반려견 나이 변환 공식수학동아 l2020년 01호
- 1살 강아지가 있으면 ‘대략 7살이겠군!’이라고 생각한 거지. 이건 한국뿐만이 아니라 전세계에서 공공연히 쓰던 환산법이었어. 하지만 여기에 아무런 과학적 근거도 없었다는 사실, 알고 있니?강아지 나이를 구할 때 막연히 7을 곱했던 건 사람의 평균 수명을 70살, 개의 평균 수명을 10살이라고 여겨 ... ...
- 칠교놀이 한판 승부수학동아 l2020년 01호
- 것을 증명했어. 하지만 5차원 이상에서 분할합동을 증명하는 일은 아직 멀어 보여. 전세계의 여러 수학자들이 연구하고 있지만, 아직까지 이렇다 할 연구 결과가 나오지 않고 있거든. ‘업그레이드’된 21세기 힐베르트 3번 문제인 셈이지. ▲ PDF에서 고화질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로그] 좋은 문제 찾는 게 문제!수학동아 l2020년 01호
- 20세기 가장 위대한 수학자 중 한 명인 다비트 힐베르트는 1900년 파리에서 열린 세계수학자대회에서 기존과는 아주 다른 방식의 강연을 선보였습니다. 자신의 연구 결과를 발표하는 대신 훗날 ‘힐베르트의 23가지 문제’라고 알려진, 본인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문제를 수학자들에게 ... ...
- [이달의 책] 우리는 연결될수록 강하다 외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약 11조3906억 명에게 정보가 전달된다. 서로 겹치는 지인을 감안하더라도 이런 식이면 전 세계 인구 정도는 쉽게 커버할 수 있을 것 같다.이렇게 한 단계가 늘어날 때마다 연결되는 사람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연결된 다수(전체)의 문턱값을 넘어서는 순간이 생긴다. 바로 사회에서 ... ...
이전216217218219220221222223224 다음